PUKYONG

소집단 활동을 통한 통합적 독서 교육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bstract
독서는 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고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는 통로가 된다는 점에서 개인의 지적, 정의적 성장의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독서는 글을 읽는 지적 행위로 학습능력을 발달시킬 뿐 아니라 개인의 삶에서 충족할 수 없는 다양한 정서적 체험을 통한 심성의 계발 및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므로 자아가 성립되고 인격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고도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를 활용하고 분석, 이해, 종합하여 지식을 구조화 할 줄 아는 능동적인 정보처리능력을 구비해야 할 시기인 청소년기에 독서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여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고 평생 독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렇다면 교과교육 못지않게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꾸준한 독서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하는 상황이지만 현실은 아직까지 형식적이고 전시행정적인 운영에 그치거나 매년 초 학생들에게 권장도서 목록을 제시하는 정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 교육과정상의 문제, 독서의 중요성이나 가치를 경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문제, 학생들을 교과교육 위주로 몰고 가는 입시위주의 학습행태 등 호락호락하지 않은 여러 문제들이 산재해 있어 독서 교육의 문제는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렇게 어려운 여건이지만 독서 교육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없는 상황이기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독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고는 학생들의 독서동기 유발과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소집단 활동을 통한 통합적 독서 교육을 제안하였다. 통합적 독서 교육은 현행 독서 교육의 문제점인 독해식 독서 지도 및 획일적 독후감 쓰기식 지도, 체계화되지 못한 나열식 독서 지도, 주도적인 소수 학생만이 참여하는 독서토론지도, 학생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독서 행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과정에서 자신의 배경지식을 동원해 텍스트와 의사소통하거나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글의 이해와 감상을 쓰고 발표하는 종합적인 표현활동이다. 아울러 소집단 구성으로 학생 상호간 의견 교환 및 토론 등의 통합적 독서 활동을 통해 언어기능과 고차원적 사고력 및 표현력을 신장시키고 바람직한 독서태도 및 습관을 형성하여 바른 인격을 갖추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통합적 독서 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 언어(Whole language) 이론’을 살펴보았다. ‘통합 언어 이론’의 개념은 언어의 각 영역이 근본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언어를 사용하는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황 안에서 통합, 사용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상황이 이루어지려면 언어의 각 영역은 다른 영역에 기여하고 강화시킨다는 의미의 통합적 독서 교육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학습내용보다는 학습자에 초점을 두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알려주는데 있다. 이것은 학습자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작품내용의 인지보다는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것을 독자의 몫으로 강조하는 이론이다.
통합적 독서 교육 모형의 단계별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다양한 독서활동을 통해 작품을 충분히 해석하고 내면화하여 자신만의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독서교육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해 소집단을 조직하여 구성원끼리 의사소통의 장을 열어 줌으로써 상호보완이 되고 학생들의 작품 감상력과 작품 이해의 극대화 및 독서 흥미를 부여해 주고자 했다.
통합적 독서 교육은 언어 기능간의 통합 독서 지도의 원리, 통합교과적 독서 지도의 원리, 삶과의 통합 독서 지도의 원리, 표현 중심의 원리, 활동 중심의 원리,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독서 활동의 원리, 상호 작용성의 원리, 스키마 활성화의 원리, 독서 학습 전략의 원리를 전제로 하고 있다. 독서 학습 전략으로는 독서 과정별 전략을 통합하여 글을 읽을 때 읽기 목표를 고려하여 읽기 전 전략 중 필요한 것을 골라 사용한 후 본격적으로 읽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읽은 후 전략을 사용하는 단계별 모형을 제시하였다. 단계별 모형은 크게 동기 유발단계, 인지단계, 반응 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동기유발단계는 학생들의 체험을 유도하기 위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단계로, 독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독서와 친화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통해 자연스럽게 독서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인지단계는 글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여러 독서전략을 제시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반응형성으로 이어지게 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의미를 구성해가는 단계로, 덧붙여 쓰거나 바꿔서 다시 쓰는 등 창조적 참여를 통해 더욱 확산적으로 텍스트를 인지하는 과정이다. 반응단계는 글의 틀에서 벗어나 비판적 반응까지 구체화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며 통합적 독서 교육모형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단계로 제시된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 활동을 통한 통합적 독서 교육을 적용함으로써 이제 막 중학교 생활을 시작한 학생들에게 독서흥미와 독서능력의 발판을 마련해주기 위한 독서활동의 초기적인 시도를 감행해 보았다. 1개 반을 6모둠의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집단별로 독서 자료를 부여한 뒤 단계별 독서모형을 6차시의 실제수업으로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학생들 상호간의 소통으로 언어기능의 신장은 물론 독서이해력 및 감상력이 풍부해지고 바람직한 인격이 형성되었다. 물론 학생 개개인의 독서능력과 표현력에서 차이가 많이 나고 개인 성향에 따라 집중력도 다르고, 독서에 대한 흥미의 있고 없음과 장르의 선호도도 천차만별인 학생들을 일률적인 방법으로 지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지만 교사의 지도에 부응하고 능력껏 최선을 다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독서 교육이 현장에서 실천된다면 학생들은 우리가 바라는 독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의욕과 역량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이 드는 기회였다. 본고에서는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지만 본고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나름대로 정리된 현 독서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독서 교육은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독립된 과목으로, 교육과정안에서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과목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둘째, 앞으로 독서 교육에 관한 연구는 독서 교육의 이론이나 수업모형의 연구에 머물기보다 독서 교육을 교육과정에 어떤 식으로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거시적인 대안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모든 교과목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연계되는 도서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고 교사는 이를 평가하는 체제로 운영되어 학생들이 책을 읽을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교과 관련 독서 자료를 제공하거나 각 교과 간 관련성을 확대시키는 독서 활동, 각 교과에서 함께 운영될 수 있는 독서 프로그램들을 개발해 통합교과적 독서 교육이 이루어질 때 종합적인 사고력의 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 매스미디어나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독서를 권장하고 독서를 중요시하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상의 제언 및 실험연구는 학교 교육에서의 독서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독서 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독서 교육이 뿌리내릴 수 있기 위해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독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argeted to provide effective and practical reading education model for students at school by integrated reading method. With small group activities, I'd like to suggest general guidelines how to educate students through reading efficiently and practicall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are supported by Whole Language Theory. The Whole Language Theory means reading can teach and practice how each language function (reading, speaking, hearing, writing) is embodied and integrated in very natural and realistic situation in books. This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method reaches and includes other basic reading education purposes and previous reading strategy - unified language process, unified reading instruction principle, expression focused reading principle, activity focused reading principle, reader focused individual learning method, interaction reading theory, schema revitalizing reading activity, and other read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is writing,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method" will follow three steps: motivation, recognition, reaction. In the motivation step, students will be stimulated to find interests and fun of reading. In the recognition step,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ontents of books. By communicating readers and writers inside books, students need to use schema and find various strategies to understand them efficiently. This part is very important it will arouse emotional feelings and lead into the last step, reaction. In reaction step, readers will embrace their own feelings through reading and digest them into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 They can touch their deeper inside, synchronize and participate writer's thoughts, and can even spread to other people with their own words.
As a study method, I plan to divide students in a class into 6 groups and prepare 6 different carefully systemized steps. In each step, I will apply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method flexibly with planned order. Students will read a book applying to systemized 6 steps. They will acquire and expand integrated language functions individually as a first target.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hearing). And after that, they will have group activities to exchange thoughts and feeling. This group activity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about what they read and raise appreciation ability of reading.
As you could see through above activities, I applied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to real school place with systemized steps I demonstrated before using small groups. When you consider reading education's effectiveness will take some period of time to see the result, two month with 6 step period doesn't seem to be enough, and it could bring some limited results. However, while previous reading instruction methods were focused on separate targets and didn't have synchronized and integrated targets, "combined reading method" shows systematic and targeted reading strategy program. After I even applied to the program at schools in real life, I could confirm this method is a positive approach to students and bring effective results. With only even this possibility, integrated reading method can find its meaning as a successful reading tool.
Author(s)
윤은숙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독서교육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5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91
Alternative Author(s)
Yun, Eun Su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송명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4
3. 연구 방법 = 12
Ⅱ. 통합 언어(Whole language) 교육 = 15
1. 통합 언어 교육의 개념 = 16
2. 통합 언어 교육의 지도 원리와 방법 = 20
가.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안 = 20
나. 말하기와 듣기의 통합지도 방안 = 27
3. 통합 언어 교육의 필요성 = 30
4. 통합 언어 교육의 시사점 = 34
Ⅲ. 통합적 독서 활동 = 37
1. 통합적 독서 교육 = 37
가. 통합적 독서 교육의 개념 = 37
나. 통합적 독서 교육의 기초 = 38
다. 통합적 독서 교육의 원리 = 40
라. 단계별 모형의 선행 연구 분석 = 54
2. 통합적 독서 활동의 단계별 모형 = 64
가. 동기 유발 단계 = 65
나. 인지 단계 = 65
다. 반응 단계 = 67
3. 소집단 활동의 의의 및 구성 = 73
가. 소집단 활동의 의의 = 73
나. 소집단의 구성 = 75
Ⅳ. 통합적 독서 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실제 = 79
1. 독서 지도의 전제 = 79
가. 소집단의 구성의 의의와 조직 = 79
나. 독서 자료의 선정 = 80
다. 독서 지도의 대상 및 지도 방법 = 81
라. 독서활동의 평가 = 82
2. 통합적 독서교육의 계획 수립 = 82
가. 통합적 독서교육 계획의 실제 = 82
나. 통합적 독서활동의 교수·학습 과정 = 84
3. 통합적 독서 교육 프로그램 차시별 적용의 실제 = 85
가. 동기 유발 단계의 프로그램 적용 = 85
나. 인지 단계의 프로그램 적용 = 92
다. 반응단계의 프로그램 적용 = 124
Ⅴ. 결론 = 131
▣ 참고문헌 ▣ = 136
부록 1 중학생 권장 도서 목록 = 14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