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이동수업에서 수학과 서술형평가 방법 개발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S FOR SCHOOL MATHEMATICS IN THE LEVEL-BASED CLASSES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서술형평가에 올해부터 확대 실시 예정인 수준별 이동수업을 반영하여 각각의 연구학교 자료를 분석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는 상황에 맞추어 서술형평가의 평가방법을 개발해 보았다. 현재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학교에서는 여러 가지 환경적 제약조건과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 때문에 서술형평가가 잘 시행되고 있지 않지만 점점 그 중요성의 정도는 커가고 있다는 것을 연구 자료들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더욱 눈여겨 볼 것은 점점 중요시 되고 있는 대학별 고사에 맞추어 서울의 많은 고등학교는 일찍이 그러한 시험을 위한 대비를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상황만 보아도 서울을 제외한 학교에서는 경쟁력을 갖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서울외의 지역의 학교에서도 현재 교육정책에 맞추어 나아갈 수 있도록 각 학교 실정에 맞추어 평가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그래서 여러 연구학교의 자료들을 분석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에 맞춘 서술형평가의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서술형평가에 있어서 해가 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지면서 반영하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서술형평가의 반영 비율을 높이는 이유는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고등 정신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사들이 지적한 서술형평가의 문제점으로 중.상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유리한 평가라는 반응에 대해 모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지도방법과 평가방법의 개선에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현행 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수준별 이동수업의 실시 학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더욱더 증가할 예정이다. 수준별 이동수업 실시전과 후의 반응을 비교해 보면 대체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보충반 학생들이 그 필요성과 효과성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더욱이 성적변화를 보면 성적의 향상이 보충반 학생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효과를 더욱 입증해 보이는 결과이다. 그러나 수준별 이동수업이 자기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교실이동의 불편함과 정서상의 문제를 수준별 이동수업의 단점으로 지적하고 있는데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함께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평가에 있어서는 학생, 학부모와 교사 모두 수준별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큰 반응을 보인 것으로 보아 수준별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자는 중·상위수준의 학생들에게 유리했던 서술형평가를 보충반 학생들에게 효과가 컸던 수준별 이동수업과 접목시켜서 서술형평가를 모든 수준의 학생들에게서 효과를 기대한다.
수준별 이동수업에 따른 서술형 평가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 보충반, 기본반, 심화반에서 학습한 내용을 일정한 비율로 평가에 반영하되 공통학습 요소인 기본내용에 난이도를 달리하여 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이다. 이는 모든 수준의 반에서 공통으로 학습한 내용이기 때문에 공정성에 있어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단지 주의할 것은 각 수준의 문항을 다른 비율로 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문제를 풀이과정에 따라서 다단계로 평가하는 방안이 있다. 이 평가방법은 문제풀이 과정을 문제로 제시함으로써 서술형평가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평가 방법이라고 보인다. 또한 서술형평가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처음에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그래서 서술형 평가를 처음 시행하는 학교에서는 문제를 제시해주고 빈칸을 채워나가는 형태의 평가를 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또한 교사의 의도에 따라 풀이과정이 진행됨으로 평가에 좀 더 객관성을 더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위의 두 가지 평가 방법은 수준별 이동수업 이전에도 사용된 평가방법으로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교육의 제도의 변화에 따른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문항별로 수준별 선택 세트문항을 출제하여 평가하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기존의 공통 문항 위주의 평가에서는 풀 수 없었던 문제를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의 형태를 풀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시험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없었던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부는 여러 가지 문항을 연구.개발하여 다양한 문항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 제안한 방법은 현직교사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현장에 적용해 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위의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현장에서 적용하기 전 몇 번의 테스트를 거친 후에 적용하기 바란다.
The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higher level thinking skills, instead of memorization and shallow understanding. Analytical, critical and systemic thinking skills get more and more important;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are also highly valued. To answer the request of today, the education system has tried several devices such as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s which now begin to gain ground in secondary education.
Level-based classes also spread out with the advent of student-based curriculum. Student-based curriculum takes individual difference into best consideration. It provides students with differential curriculum, and finally aims at maximizing the capacity and diversity each individual student holds. While student-based curriculum and level-based classes are believed to have such good influences, it has left unsolved the issue of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s for level-based classes, focusing on level-base classes. Two traditional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s have been explored. First, each level of classes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test sets of difficulty, but the test items basically cover the same contents throughout all the levels. Second,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explorat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assessment method for level-base classes. Provided with selective item-sets, each student can choose items of his own level and apply the knowledge he has learned during level-base classes. Contrary to common items, the selective items are expected to bring back self-confidence to each student.
- Author(s)
- 서유미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준별 이동수업 서술형평가 방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5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95
- Alternative Author(s)
- Seo, Yu-m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 Advisor
- 신준용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1.2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2.1 수학과에서의 평가 = 4
2.2 서술형 평가 = 9
2.3 수준별 이동수업 = 12
2.4 선행 연구 고찰 = 20
Ⅲ. 수준별 이동수업 내에서의 서술형평가 방법 개발 = 22
3.1 현황 분석 = 22
3.2 수준별 서술형평가 방법 개발 = 37
Ⅳ.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