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Submerged Marine Debri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by using GI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GIS를 활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침적쓰레기 성상 및 공간 분포 특성 연구
Abstract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많은 강과 하천이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육상에서의 쓰레기 유입이 되기 쉽고, 또한 해상에서는 활발한 수산업 활동과 다양한 레저 활동으로 인해 쓰레기 유입이 많다. 바다에 유입된 쓰레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게가 가해져 가라앉아 해저에 침적하게 된다. 해저에 있는 쓰레기들은 해저에 산재되어 있다는 특성상 직접 확인이 불가능하고 수거에 어려움이 있다. 수거되지 못한 해양침적쓰레기는 해저 생태계 및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폐그물로프와 폐어구로 인한 유령어업과 선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성상의 쓰레기들(폐그물로프, 폐어구)은 우선적으로 수거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분포 형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48개 항을 대상으로 해양에 침적되어 있는 쓰레기 조사를 실시했다. 현장 조사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GIS 기반의 공간 분석을 통해 해양침적쓰레기 성상별 분포를 격자 형태의 지도로 작성하고,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해역마다 해양침적쓰레기의 총 침적량과 격자별 침적량을 활용한 물량이 집중되어 있는 핫스팟을 도출하였다. 또한 해역별로 구분한 해양침적쓰레기의 성상별 무게 자료와 공간 자료를 활용한 공간 자기 상관 분석을 통해 성상별 공간 패턴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체 해역에서 폐합성수지가 52%, 폐타이어가 34%, 고철 13%, 기타 1% 순으로 구성되었다. 해역마다 가장 많이 차지하는 성상의 차이가 있었으며, 각 성상별 뚜렷한 분포 특성을 격자 형태의 지도에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 지역마다 폐합성수지가 다른 성상들과 비교하여 항내뿐만 아니라 항외에도 분포하며, 넓게 퍼져 분포하는 특성이 있었다. 다른 성상들보다 비교적 가벼운 무게로 이루어진 폐합성수지가 해류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항외로 이동하고, 또는 넓게 퍼져서 침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공간 패턴은 각 해역마다 차이가 있었는데 서해에서 폐합성수지, 남해에서 폐타이어가 99%로 유의미하게 군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격자 형태의 해양침적쓰레기 성상별 분포 및 공간 패턴을 통해서 해양침적쓰레기 수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uthor(s)
정민지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해양침적쓰레기 GIS 공간 분포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779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Advisor
윤홍주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5
2.1. Study area 5
2.2. Field survey 12
2.2.1 Diving survey 12
2.2.2 Side Scan Sonar (SSS) survey 12
2.2.3 Unmanned Aerial Vehicle (UAV) survey 14
2.3. Study Methods 21
2.3.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 Jenks Natural Breaks Classification 22
2.3.2 Glob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 Moran's I 24
3. Results and Discussion 27
3.1. Compositions of submerged marine debris by sea area 27
3.2. Inflow origin of submerged marine debris by sea area 47
3.3. Distribution maps of submerged marine debris by sea area 49
3.4.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submerged marine debris compositions by sea area 70
4. Conclusions 75
References 7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