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학 학습의 흥미 유발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Learning : Focused on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Abstract
수학 교육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수학을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보았을 것이다. 그것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대부분이 싫어하는 과목으로 수학을 선택하는 데 있다. 과연 무엇 때문에 학생들이 수학을 이처럼 싫어하게 된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이 주입식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최근에는 학생들의 흥미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기엔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다.
본 연구는 그러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고, 더 나아가 수학 교과서 속에서 다루어지는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하고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종이접기, 퍼즐, 놀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였고,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종이접기 활동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학생들은 도형을 조금이나마 재미있고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일정한 규칙 내에서 완성되는 종이접기를 통해 학생 스스로 도형의 개념 및 성질 등을 학습할 수 있다.
둘째, 퍼즐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 및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으며, 퍼즐 속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 상황으로부터 수학적 사고력·논리력·창의력 등을 키울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켜 줄 수 있으며, 놀이를 하면서 수학을 즐겁게 접할 수 있다. 또한 놀이 속의 상황을 통해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습관 및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는 다양하다. 학생들의 기호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나타나겠지만, 수학 교육에 지속적으로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다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나은 수학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또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길러주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를 함양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를 마치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와 더불어 더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모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수학 교육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둘째, 기존의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기존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가 스스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면 한다. 다른 누구의 것이 아닌 교사 자신만의 교수-학습 자료로써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자료에 대한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것이라 생각한다.
셋째, 수학 교육에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그 자료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정·보완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였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부단한 노력과 흥미 유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똑같은 교수-학습 자료가 제시되더라도 교사의 지도방법에 따라 다양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interest in mathemat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top of that, we analyz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timulating interest of students which are used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then we develop new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so we can make the best use of this materials. For this purpose, we introduce new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using folding papers, puzzles, and play. Through utilizing thi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timulating interest of students, it would be expected the result by following:
First, students are able to become familiar with figures by using folding papers activities, and they can learn concepts and features of figures by themselves in a regular order.
Second, students are able to have motivation as learning through mathematical puzzles. In these situations, students will be learning mathematical thinking, logic and creativity as they solve the problems.
Finally, students are able to have a positive recognition on mathematics with pleasure by learning through mathematical play-activities. Besides, students cultivate mathematical thinking habits and attitudes while they are playing.
Author(s)
윤효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교수-학습 자료 수학 흥미유발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00
Alternative Author(s)
Yoon, Hyo J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Advisor
김도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제7차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 4
2. 흥미의 개념 및 원리 = 8
3. 학습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수학 학습 = 11
4. 흥미 유발을 위한 수업모형 = 13
Ⅲ. 연구의 내용 = 17
1. 종이접기를 활용한 도형 지도 = 17
2. 퍼즐을 활용한 지도 = 23
3. 놀이를 활용한 지도 = 30
Ⅳ. 결론 및 제언 = 36
참고문헌 = 38
부록 = 4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