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시각장애학교 중·고등학생의 영어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S FOR THE BLIN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생의 영어 학습전략과 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하여 학생들의 영어 학습전략사용 향상 및 영어 학습 지도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학생은 기억전략과 인지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을 남학생보다 더 많이 사용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보상전략은 고등학생 보다 중학생이 더 많이 사용했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각장애정도별에 따라서는 저시력학생이 맹학생 보다 기억전략에 대한 사용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명시기는 후천적으로 눈이 나빠진 학생이 선천적으로 나쁜 학생 보다 기억전략과 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기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특수학교 영어교사들은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개인차 심화 및 교사들의 회화력 부족으로 인해 비롯되었다. 교사들은 수업의 조건으로는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를 느끼는 것과 교사의 완벽한 수업준비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수업 시 가장 힘든 점은 회화력 부족이라고 했다.
셋째, 시각장애학생 지도 시 어려운 점으로는 다양한 교재를 활용하고 싶으나 점역이 어려우므로 점자 문제집이 한정되어 있어 교재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본 조사에서 사용한 Oxford(1990)의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학습전략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외국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나온 결과를 목록화 시킨 것이므로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일반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
시각장애학생은 기억전략과 정의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기억전략이다. 기억전략은 배운 단어를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관 시키는 것, 새로운 단어의 이미지·발음을 연관시켜 외우는 것, 단어 암기장이나 목록을 기록하고 암기하는 것 등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기억전략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수업시간에 기억전략과 관련된 학습 방법을 많이 제시해야 하며 정의적 전략은 감정과 관련된 부분들로 영어 사용 시 두려움을 느끼는 것, 스스로에 대한 칭찬, 영어를 공부할 때 긴장하거나 불안해하는 것, 영어를 배울 때 나의 감정들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시각장애학생들은 영어 학습 시 감정의 변화에 대해 솔직했으며 자유롭게 감정들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덜 긴장하도록 더욱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학생들이 더욱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유발을 충분히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지전략은 하루에 몇 분이라도 영어로 말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어려운 발음들을 소리 내어서 연습하는 것, 영어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영어를 해석할 때 전체의 문맥을 통해 이해하려고 하는 것 등이다. 시각장애학생은 듣기가 뛰어나며 듣기로 대부분의 정보를 입수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생들이 듣기를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청각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켜야 한다.
시각장애 학생들의 학습전략 사용도가 가장 낮은 것은 초인지 전략이다. 이는 영어공부를 위해 계획 세우기, 영어를 많이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 영어를 더 잘 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이 전략의 사용도가 낮은 이유는 시각장애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영어실력 향상을 위해 명확한 목표를 갖고 있지 않으며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지속적으로 노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시각장애학생들이 초인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영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인식시켜야 하며 학생들의 영어 학습계획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또한 초인지 전략의 사용법도 가르쳐야 할 것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맞는 다양한 학습전략과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좀 더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사들은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가운데 놓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과 질 높은 영어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충족될 수 있는 양질의 수업을 제공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의 핵심 개념인 개별화를 철저히 하여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English teaching method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One hundred and seven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fifte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rategy Inventory of Language Learning(SILL), a survey of preferred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yielded six underlying factors; Memory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Compensation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ffecting strategies and Social strategies. English teaching method questionnaire was modified from Hong Jin Ok's(2003) and Wi Suk Ja's(2006) survey with help from 3 special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ut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used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in all the categories except memory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Second, T-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017) in the use of compensation strategi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low vision students used memory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otally blind students.
Fourth, the adventitiously blind used memory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he congenitally blind.
Fifth, the students over 30 years old used memory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10 ∼ 20 years ol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ut English teaching method are as follows:
First, reading and writing were given more weight in classes than speaking and listening, though the latter activities are more helpful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teachers use a individualized and large group instruction method.
Third, teachers speak English to instruct or ask some questions. Teacher explains a grammatical point in Korean. When they teach English to their students, it should be improved.
Fourth, to improv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 various listening materials have to be developed.
In conclusion, it seems that students need to know how to use various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teachers have to grasp English learning strategies visually impaired students use. To have an effect on English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how individual difference could be overcome and multiple teaching materials c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student level should be studied.
Author(s)
김회란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시각장애 영어 학습전략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6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01
Alternative Author(s)
Kim, Hoe R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양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과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시각장애 정의 및 특성 = 5
가. 시각장애 정의 = 5
나. 시각장애학생의 인지적 특성 = 6
2.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 = 8
가. 점자 = 8
나.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의 원리 = 9
3. 교수학습방법 = 11
가. 교육환경 구성 = 11
나. 영어교육과정 = 13
4. 학습전략 = 19
가. 학습전략의 정의 = 19
나. 학습전략의 분류 = 21
다. 외국어 습득에서 언어 학습전략의 중요성 = 23
라.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전략 현황 = 24
5. 선행 연구 = 26
Ⅲ. 연구 방법 = 28
1. 연구대상 = 28
2. 연구도구 = 30
가. 학생 설문지 = 30
나. 교사 설문지 = 31
3. 자료 분석 = 32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33
1. 설문지 분석 = 33
가. 학생 설문지 분석 = 33
나. 교사 설문지 분석 = 40
Ⅴ. 결론 및 제언 = 52
1. 결론 = 52
2.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1 영어 학습전략 설문지 = 61
부록 2 교수학습방법 설문지 =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