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저널리즘에 대한 부산․경남지역 신문기자들의 인식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local journalists in Busan·Kyungnam about civic journalism : Focusing on the intrduction possibility in local paper
- Abstract
-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제시됐던 연구문제들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 언론인들은 지역 언론의 문제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의 경우, 우리나라 지역 언론인 가운데 96.4%가 현재 지역 언론이 어떤 형태로든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데 동의했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 지역신문의 경영난과 광고시장의 서울집중화 현상, 중앙신문의 판촉경쟁, 디지털매체의 확장 등을 꼽았다.
또 보도행태에 대해서도 전체의 67.3%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그 원인으로 지역현안에 대한 대안제시 미흡, 지역이기주의 조장 및 편승, 중앙기사 과다 등을 들었다.
지역신문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지역 언론인들은 지역경제 활성화(27.3%), 지방분권 확립(24.5%), 정부의 정책적 지원(20%) 등을 꼽았다.
‘지역 언론인들의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지역 언론인들은 대다수(87.3%)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이들은 82.8%가 시민저널리즘을 신문제작과정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지역신문의 보도행태에 문제가 있다고 여기는 지역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반면, 지역신문의 보도행태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지역 언론인들은 상대적으로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재부서와 편집부서 간 시민저널리즘의 인식도 차이와 관련해 편집부서가 취재부서에 비해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재 현장에서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는 취재부서의 기자들 보다는 편집부서의 기자들이 보다 이상적인 언론형태에 보다 호의적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지역 언론인들의 시민저널리즘 도입가능성은 어떠한가? 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 언론인들은 우리나라 지역 언론사들의 시민저널리즘 실천정도가 낮거나(31.8%) 그저 그렇다(52.7%)고 대답해 아직 시민저널리즘이 실천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논의의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자사의 시민저널리즘 실천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도 비슷해 낮다(20%)거나 아주 낮다(1.8%), 그저 그렇다(50.9%)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항의 지역 언론사들의 실천정도를 묻는 질문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자사의 실천정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언론인들은 85.5%가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여론형성과정에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83.7%는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지역신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었다. 특히 지역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다양하고 풍부한 기사소재 발굴이나 지역사회 공론장의 활성화, 지역중심의 이슈발굴과 기사 보도 측면에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지역 언론의 보도행태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지역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여론형성과정에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는 에서 보도행태에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지역 언론인들이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인식도가 높다는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현재 보도행태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지역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또 지역 언론인들은 입사연차가 낮을수록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여론형성과정에 시민참여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었다. 하지만 6∼10년차 기자들의 경우 예외로 나타났는데, 이는 IMF외환위기 이후 극심한 구조조정을 겪어본 이들 세대들이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으로 고용의 불안을 겪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위기감이 작용한 탓으로 풀이된다.
마지막으로 지역 언론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시민저널리즘의 적용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겠다.
우선 지역 언론인들은 자사의 신문제작과정에 시민저널리즘을 도입할 경우 82.7%가 이에 응하겠다고 밝혀 전반적으로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에 지지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민저널리즘을 도입한다면 우선 도입돼야할 분야로 사회(47.3%), 생활(25.5%), 여론/사람(16.4%) 분야를 꼽았다.
다음으로 시민저널리즘 도입 시 어느 정도 도입이 가능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지역 언론인들은 이슈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전국적인 이슈의 경우에는 일부만 가능하거나(54.5%) 그저 그렇다(20.9%)는 답변이 많았으나 광역적인 이슈는 일부만 가능하다(56.4%) 거의 모두가 가능하다(30.9%) 순이었으며 지역적인 이슈의 경우는 일부만 가능하다(49.1%)와 거의 모두가 가능하다(45.5%)는 답이 비슷해 이슈의 권역이 작을수록 시민저널리즘을 보다 깊이 있게 적용하는데 긍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었다.
신문제작과정상 도입수준을 살펴보아도, 전국적인 이슈의 경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42.7%)는 답변이 가장 많았던 반면, 광역이슈와 지역이슈로 갈수록 도입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저널리즘을 적용해 제작한 기사의 게재 방식에 대해서도 종이신문과 온라인 신문에 모두 게재하는 것이 좋다(91.8%)는 답변이 압도적이어서 시민저널리즘을 적용한 기사의 적극적 지면반영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신이 속해있는 회사에서 앞으로 시민저널리즘을 도입할 경우 지역 언론의 보도행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또 이슈별 도입 정도를 묻는 질문의 경우 전국이슈와 광역이슈에서 서로 엇갈리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밖에 지역 이슈에 대한 도입 정도와 관련해 입사 연차가 낮은 응답자들이 가장 높은 정도의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으며 연차가 높아질수록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국이슈에 대한 도입 정도와 관련해 편집부서가 취재부서에 비해 높은 수준의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었다.
심층인터뷰 결과, 우선 대부분의 인터뷰 대상자들은 시민저널리즘 도입 시 참여할 의향을 밝혔다. 하지만 인터뷰 대상자들은 시민저널리즘이 뉴스소비자로만 인식되던 시민들을 뉴스생산에 적극 참여시킨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칫 언론사의 시각대로 시민들을 계도하려는 계몽주의 저널리즘화 된다거나 독자의 요구에만 영합해 언론 본연의 사명을 망각할 우려도 있다고 답했다.
또 시민저널리즘이 도입된다면 지금까지의 취재원에게 일방적으로 의존해오던 취재보도관행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와 의제설정과 대안모색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가장 적절한 부서에 대해 인터뷰 대상자들은 사회부를 꼽았다. 시민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루는 부서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다음으로 기획특집, 탐사보도부와 정치부도 선정됐는데 선거보도와 호흡이 긴 기획취재에 시민저널리즘이 유용할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한편 인터뷰 대상자들은 오랜 취재관행에 익숙해져있는 신문사 편집국 내부의 분위기가 시민저널리즘 도입의 가장 큰 장애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에 원론적으로는 찬성하면서도 막상 실질적인 참여의 시점에서는 취재 패턴의 변화를 거부하거나 기피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현재 지역신문이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있으며 시민저널리즘이 이를 타개하는 절대적 구원병은 되지 못할지라도 하나의 돌파구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eek a solution of problems which local newspapers are facing and find out the civic journalism is the alternative. Also, it is to find if the journalists have the practical will to consider the civic journalism as the alternative.
In order to prove these three matters, I examined civic journalism, which has insisted in USA.
In addition, I surveyed and had depth interviews to find the recognition of local news reporters.
The following is subjects of this study to set up through the survey.
First, How do the local journalists recognize the problem of local journalism?
Second, How do the local journalists recognize civic journalism?
As a result, the respondants recognize that local journalism has some problems. Most of them know the civic journalism in abundance sympathize the points which civic journalism insists and have the practical will.
In addition, they predict civic journalism is easy to apply to local problems than national issues.
Through the profound interview, I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ivic journalism, the merits and demerits of civic journalism, the change in introducing civic journalism which happens in way of reporting news, the introducing experience of civic journalism, then quarter in introducing civic journalism which is efficient, obstacles to introduction of civic journalism and civic journalism which is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rises of local journalism.
Most of the respondants anticipate that if the civic journalism is introduced, the way of reporting news will change very much. And they also want to join the change.
Civic journalism is efficient in the local news section and the planning section.
The obstacle is the old ritual in the editorial office.
In order to introduce civic journalism,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whole member's conversion of recognition including managers and the editors.
In conclusion, local journalists may solve the present crisis through civic journalism. Also they will become intimate with local community through civic journalism.
- Author(s)
- 이원구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6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02
- Alternative Author(s)
- Lee, Won-G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이상기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문헌연구 = 6
제 1 절 시민저널리즘의 개요 = 6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 9
제 3 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7
제 1 절 연구문제 = 17
제 2 절 연구방법 = 18
제 3 절 연구대상 선정 = 18
1. 설문조사 = 18
1) 설문지 작성 = 20
2) 설문조사 진행 = 21
3) 설문조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21
2. 심층인터뷰 = 26
3. 설문조사 분석방법 = 28
제 4 장 연구결과 = 30
제 1 절 설문조사 결과 및 논의 = 30
1. 지역 언론 문제점에 대한 인식 = 30
2.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 = 34
1)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 34
2) 보도행태 인식도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인식 차이 = 36
3) 근무경력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인식 차이 = 38
4) 근무부서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인식 차이 = 39
3. 시민저널리즘의 도입가능성 = 40
1) 시민저널리즘의 일반적 도입가능성 = 41
2) 보도행태 인식 따른 시민저널리즘 도입가능성 인식 차이 = 45
3) 근무경력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도입가능성 인식 차이 = 45
4) 근무부서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도입가능성 인식 차이 = 47
4. 시민저널리즘의 적용범위 = 47
1) 시민 저널리즘 적용 범위 = 47
2) 보도행태 인식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적용범위 인식 차이 = 53
3) 근무경력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적용범위 인식 차이 = 54
4) 근무부서에 따른 시민저널리즘 적용범위 인식 차이 = 55
제 2 절 심층인터뷰 조사결과 = 55
1. 시민저널리즘 인식과 도입 의향 = 55
2. 시민저널리즘의 장단점 = 57
3. 취재보도관행의 변화양상 = 59
4. 시민저널리즘 보도 경험 = 61
5. 시민저널리즘 도입 분야 = 62
6. 시민저널리즘 도입의 장애요소 = 65
7. 대안으로서의 시민저널리즘 = 66
제 5 장 결론 = 69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 69
제 2 절 결론 = 73
참고문헌 = 76
부산·경남지역 언론인의 ‘시민 저널리즘’인식조사 = 7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