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nimation-aided Japanese Culture Education
Abstract
일본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지 일본어를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것으로만 생각하기 쉽다. 현재 우리나라의 일본어 교육은 위 네 가지 기능을 학습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언어란 언어능력만을 학습하는 것으로 완벽하게 습득될 수 없고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제7차 외국어 교육과정에서도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제7차 외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외국어 교육을 균형 있게 달성하기 위해서 정규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목표하는 문화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우리의 교실환경에서는 외국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모습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가 한정되어 있고 문화교육의 방법 역시 몇 가지로 제한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많은 학자들의 연구들은 외국어를 학습한다면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장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실제적인 문화자료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가 가장 적절한 대안이다. 그 이유는 요즘 학생들은 과거와는 달리 활자나 인쇄보다 영상매체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문화학습을 교육함에 있어서도 교과서에 나와 있는 내용을 단지 설명해 주는 것보다 그들이 직접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시청각 자료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업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표하는 나라의 현실적인 생활문화가 잘 나타나 있고 학습자의 언어수준에 맞는 것이야 하겠다. 또한 필요한 부분만 편집하기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동시에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다양한 주제의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하겠다. 이 모든 점을 고려하여 애니메이션이 가장 적절한 시청각 자료로 판단되었으며 애니메이션 중에 일본의 문화가 잘 그려져 있는 “あたしンち”를 수업자료로 선정하고 “あたしンち”의 내용을 편집하여 필요한 부분은 인터넷과 사진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수업지도안으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일본어”의 12종 교과서를 문화요소별로 구분하고 다시 실제 수업에 사용할 일곱 가지 주제의 문화요소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의 해운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2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4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방법으로는 시청 전 단계, 시청단계, 시청 후 단계로 나누어 수업을 하였다. 그리고 시청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문화이해와 흥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수업 시청 전 설문의 결과에서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일본어 수업시간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일본어가 제2외국어로 필수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만 일본어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일본어 수업 보다는 일본 애니메이션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시청 후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60%이상의 학생들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문화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시청 전에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일본에 대한 관심이 낮게 나타났지만 시청 후의 설문을 통해서 많은 학생들이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었다. “あたしンち”는 일본인의 일상생활로 그려져 있고 내용이 코믹한 상황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많은 흥미를 느꼈고 또한 그 결과 전체적으로 일본어 수업에 대한 동기 유발이 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비록 흥미를 느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존에 문화수업과 비교하여 애니메이션 자료를 활용한 문화 수업이 더욱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일본문화를 이해함에 있어 애니메이션 자료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화수업이 되기를 희망하였고 더 나아가 일본어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문화수업 방안에 대해 현장실험/학습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미진한 부분도 있다. 애니메이션이나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지 않고 문화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집단을 비교·분석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객관적인 측면에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보완점은 향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수업 뿐만 아니라 일본어의 다른 기능을 동시에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이 제시되고 여기에 교사의 노력이 더해져 우리가 바라는 일본어교육의 이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way of teaching Japanese culture effectively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The reason why we teach Japanese culture in the field of Japanese education is that a language reflects its culture, and culture is deeply embedded in a language.
Therefore, a language cannot be separated from culture, and it means that we should teach Japanese culture as well as the four skills. However, there is not enough material in Japanese textbooks in Korea and quite a number of JFL(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teach students Japanese culture only by oral explanation. In this situation, using audio-visual materials can be a good alternative.
Among many audio-visual materials, Japanese situation animation present many advantages when it comes to teaching Japanese culture. First of all, they might present aspects of real life in the Japanese-speaking world, so students get experience in its culture, albeit indirectly. Second, animation can be entertaining and make students laugh because they have interesting episodes. From this aspect, students exposed to the animation might be easily immersed in the culture they contain, and become more motivated to learn Japanese. Third, in comparison with other audio-visual materials, animation can be used in time-limited classes since the running time of most episodes is no longer than 30 minutes. This means that they could be watched within a single lesson. Moreover, animation can be conveniently edited, and teachers can easily compile the parts that they want to use in their teaching.
The main reference material for this study is Atashinchi -my home-, a well-known Japan animation among Koreans, and also other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movies. Topics dealt with in this study include, for instance, manners in restaurants, holidays, body language, and social ev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in which animation is used as a visual aid, surveys were mad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udio-visual materials-especially Japanese sitcom- in teaching Japanese culture, and the responses were very positive.
In conclusion, using the Japanese animation Atashinchi may help motivation to study Japanese. Teachers can identify cultural elements included in Japanese textbooks, locate appropriate audio-visual materials, and use them either as a compliment to in Japanese lessons or separately in supplementary lessons. Teachers should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collect a variety of audio-visual materials related to Japanese culture, and develop various method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to teach other aspects of the Japanese language.
Author(s)
백혜정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11
Alternative Author(s)
Baek, Hye 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Advisor
장상언
Table Of Contents
Ⅰ. 연구의 목적 및 선행연구 = 1
1. 연구의 목적 = 1
2. 선행연구 = 2
Ⅱ. 외국어교육에 대한 문화교육의 필요성 = 5
1. 제6차 교육과정 = 5
2.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문화적 내용 = 6
가. 외국어 교육과정 = 6
나. 일본어교육과정 = 6
다.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의 문화 내용 = 7
라.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일본어 1교과서별 문화내용 = 9
3. 문화의 개념 = 12
4. 문화교육의 필요성 = 14
5. 문화교육의 실태 = 15
Ⅲ.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 = 17
1. 시청각 자료의 교육적인 효과 = 17
2. 교육 자료로서 애니메이션의 효과 = 20
3. “あたしンち”의 분석 및 활용가치 = 21
가. 작품소개 = 22
나. 작품배경 = 22
다. 주인공소개 = 26
Ⅳ.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학습활동과 결과분석 = 27
1. “あたしンち”를 활용한 문화 학습지도 계획안 = 27
2. “あたしんち” 를 활용한 음식문화 지도방법 = 29
가. 시청 전 단계 = 29
나. 시청단계 = 31
다. 시청 후 단계 = 36
3.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 41
가. 시청 전 설문조사 결과 분석 = 42
나. 시청 후 설문조사 결과 분석 = 50
Ⅴ. 결론 = 59
참고문헌 = 62
부록1 -시청 전 설문 조사- = 65
부록2 -시청 후 설문 조사- = 6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