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장 대상생물 및 입지형태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비교
- Alternative Title
- A Comparative Study of Macrobenthic Community with Bi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omponents in the Farming Grounds, Korea Strait
- Abstract
- 해상에 가설된 양식시설물은 양식 대상생물에게 미치는 물리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형적으로 해류 및 조류가 미약하거나 또는 은폐된 해역에 입지한다. 그러나 양식 대상생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먹이사료 공급과 환경수용력을 고려하지 않은 밀식 양식에 따른 배설물 등 다량의 잉여 유기물이 양식시설물 밑 또는 주변 해역의 저층 퇴적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Edwards, 1978; Enell and Lof, 1983; Frid and Mercer, 1989; Ritz et al., 1989).
국외의 경우, 해상 양식시설물로 설치로 인하여 대형저서동물 군집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북유럽, 북미 및 아시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수행되었다(Brown et al., 1987; Tsutsumi et al., 1991; Wu et al., 1994; Pearson and Black, 2001; Brook et al., 2002; Yokoyama, 2002; Carroll et al., 2003). 특히 북유럽의 연어 양식장을 중심으로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로 인한 수괴의 부영양화(Gowen and Bradbury, 1987), 저층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Holmer, 1991)과 이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파괴 및 천이 그리고 유기물 오염이 대형저서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의 공간적 범위 파악 등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Ritz et al., 1989).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80년대부터 수산물의 생산량 증대를 목적으로 양식대상 생물의 다양화를 도모함은 물론 해상 양식시설물의 수적 증가와 면적의 확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양식시설물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은 1,000ha 이상의 해역에 어·패류 시설지가 설치·운영중에 있다(고, 1997). 그러나 해역 생태계의 환경수용력을 고려하지 않은 대상생물의 과도한 양식과 배설물, 그리고 효과적으로 소비되지 않은 잉여 먹이사료 등의 지속적인 축적으로 인하여 양식시설지 주변해역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남해안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적조와 빈산소수괴 등의 형성 등이 상기 요인과 복합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서식생물 및 어민에게 생태적ㆍ경제적으로 커다란 피해를 주고 있어서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양식시설물과 관련한 대다수의 연구가 유기물 오염과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패류양식 시설물이 퇴적물과 수괴에 미치는 영향(조 등, 1982) 및 대규모로 조성된 양식시설이 밀집한 남해안의 여자만, 득량만, 진해만 및 통영 가두리형 양식장에서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하게 수행되었다(Lim et al., 1999: 박 등, 2000: 윤 등, 2001: 정 등, 2002). 또한 비교적 양식시설물이 많이 입지한 해역에서 본 연구의 대상생물인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포(Lim, 1992)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 구명 연구가 수행되었다(Lim, 1993; 임과 홍, 1994; 마 등, 1995; Lim et al., 1999; 백과 윤, 2000; 윤과 백, 2001; 임과 최, 2001). 이 외에도 특정 생물군을 중심으로 다모류 군집(신과 고, 1993)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신 등, 1995; 강 등, 2002). 이렇듯 본 연구의 대상생물인 대형저서동물은 다수 종이 생활사 전반을 통해서 고착성이거나 또는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일시적인 서식처 환경변화에 반응해 능동적으로 도피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결국 이들 생물 군집의 개체수와 다양도는 해당 생태계의 건강도를 측정하는 요소로 고려되어(Pearson and Rosenberg, 1978; Thouzeau et al., 1991), 환경변화의 영향정도를 감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통영시 양식시설물 밀집해역에 시설 및 운영 중인 굴양식장과 어류양식장을 대상으로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출현 종수와 생물량(개체수 및 생체량)을 일차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생산된 자료를 기초로 대형저서동물 군집이 1) 양식대상생물(굴 및 어류양식장)과 2) 양식장의 입지(내만과 외만)형태에 어떠한가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mmunity structure with biological and geomophological components in the farming grounds, Korea Strait.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6 to January 2007. A total of 275 benthic macro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macrobenthos density and biomass were 2,204 ind./㎡ and 189.97 gWWt/㎡,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and abundance, but echinodermata showed the highest biomass. Based on the LeBris index(1988), there were 10 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8.00% of total individuals.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amphipods Caprella spp., Unidentified amphipoda the polychaetes Scoletoma longifolia, Tharyx sp., Dorvillea matsumaeensis, Sigambra tentaculata, Chaetozone spinosa, Mediomastus californiensis, Scoloplos armiger and Glycera chirori. The conventional multi-variate statistics(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pplied to assess spatio-temporal variation in macrobenthic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major station groups. The major group 1 was associated with heterogeneous sediment transects and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s Capitella capitata, Lumbrineris japonica, Anoides oxycephala, M. californiensis, D. matsumaeensis and the leptostraca Nebalia bipes. On the other hand, major group 2 was connected with homogeneous sediment sites and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 Tharyx sp.. In this area, the total specie number, abundance and biomass were lower in the oyster farming ground and inner bay but higher in the fish farming ground and outer bay.
- Author(s)
- 윤재성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acrobenthic Community Fish Farm Cluster Analysis Oyster Farm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13
- Alternative Author(s)
- Yun, Jae S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학과
- Advisor
- 문창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2.1 현장조사 = 4
2.2 분석 = 5
Ⅲ. 결과 = 8
3.1 환경특성 = 8
3.1.1 수질 = 8
3.1.2 저질 = 8
3.2 저서동물군집 = 12
3.2.1 출현 종수 및 생물량(개체수 및 생체량) = 12
3.2.2 우점종 = 20
3.2.2.1 춘계 = 21
3.2.2.2 하계 = 23
3.2.2.3 추계 = 25
3.2.2.4 동계 = 27
3.2.3 양식장 형태별 출현 종수 및 생물량 = 29
3.2.3.1 굴 양식장(정선 1과 2) = 29
3.2.3.2 어류 양식장(정선 3과 4) = 30
3.2.4 입지 형태별 출현 종수 및 생물량 = 33
3.2.4.1 내만형 양식장(정선 1과 3) = 33
3.2.4.2 외만형 양식장(정선 2와 4) = 34
3.3 생태학적 제 지수 = 37
3.3.1 춘계 = 37
3.3.2 하계 = 38
3.3.3 추계 = 40
3.3.4 동계 = 41
3.4 집괴분석 = 43
3.4.1 춘계 = 46
3.4.2 하계 = 46
3.4.3 추계 = 47
3.4.4 동계 = 51
Ⅳ. 고 찰 = 53
4.1 환경요인 = 53
4.2 군집구조 = 54
4.3 양식장 대상생물 및 입지형태에 따른 변화 = 58
Ⅴ. 참고문헌 = 6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