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연안어장의 잠재어획가능량 추정방법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fishery yield in coastal waters
Abstract
잠재어획가능량은 일정한 단위수역에 서식하는 생물에 대하여 현재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이용할 잠재력이 있는 수산자원 생물들의 생물학적 허용한계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가능한 자료 및 정보가 제한된 연안어장의 서식생물에 대한 잠재어획가능량 추정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정보수준에 따라 가장 많은 정보를 사용한 1단계에서부터 단지 어획량 자료만을 사용하는 5단계로 구성되었다. 잠재어획가능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해역의 면적과 생태학적 특성치, 체장조성,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 및 어획량 등을 사용하였다. 서해중부 연안어장에 적용한 결과 총 98종의 서식생물종에 대하여 정보 수준별로 1단계에서 8종, 2단계에서 2종, 3단계에서 3종, 4단계에서 59종, 그리고 5단계에서 26종의 잠재어획가능량을 추정하였다. 각 단계별 잠재어획가능량은 1단계에서 988.19 mt, 2단계에서 5,301.84 mt, 3단계에서 135.31 mt, 4단계에서 6,240.33 mt, 그리고 5단계에서 14,246.55 mt으로 서해중부 연안어장의 잠재어획가능량은 총 26,912.22 mt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용 가능한 정보 및 자료가 제한된 연안어장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잠재어획가능량 추정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예방적 접근차원의 자원관리 정책수립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potential fishery yield (PFY) is defined as an acceptable biological catch limit of fisheries resources potentially utilized by fisheries in a designated area. A systematic approach is developed to estimate potential fishery yield using fishery-dependent and/or fishery-independent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in small-scale coastal fisheries, which typically have a data-deficient problem. PFYs were estimated from a five-tier system. The Tier 1 analysis is carried out based on fishery assessment models using the most reliable fishery data, such as biological parameters, length composition and fishery statistics, while the Tier 5 analysis uses only fishery-dependent catch data. For a mid-western coastal fishing ground of Korea, PFYs for a total of 98 species were estimated from the five different tier analyses. PFYs for 8 species were estimated from the Tier 1, 2 species from the Tier 2, 3 species from the Tier 3, 59 species from the Tier 4, and 26 species from the Tier 5. The total PFY was estimated to be 26,900 metric tons in the fishing ground. This systematic approach for estimating PFYs will be useful to develop an efficient precautionary approach to fishery resource management under the data-deficient situation, which is typical for small-scale coastal fisheries in Korea.
Author(s)
신영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potential fishery yield coastal waters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7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17
Alternative Author(s)
Shin, Young Ja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물리학과
Advisor
장창익
Table Of Contents
서론 = 1
재료 및 방법 = 3
1. 자원량 추정 = 3
1.1 상업어획조사에 의한 간접자원량 추정 = 3
1.2 현장조사에 의한 직접자원량 추정 = 4
2. 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 5
3. 적정어획사망계수 = 6
3.1 F_(0.1) 추정 = 8
3.2 F_(40%) 추정 = 8
3.3 B_(40%) 추정 = 9
4. 잠재어획가능량 추정 = 10
결과 = 14
1. 자원량 = 14
1.1 상업어획조사에 의한 간접자원량 = 14
1.2 현장조사에 의한 직접자원량 = 20
2. 생태학적 특성치 = 26
3. 적정어획사망계수 = 29
4. 잠재어획가능량 = 31
4.1 1단계 = 31
4.2 2단계 = 31
4.3 3단계 = 31
4.4 4단계 = 32
4.5 5단계 = 32
고찰 = 41
요약 = 46
감사의 글 = 47
참고문헌 = 4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물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