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oem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Visual Media
Abstract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행위는 현대인의 의식과 생활 태도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더욱 촉진될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은 매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스스로 매체의 소통 주체가 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필요에 부응하는 체계적인 매체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 교육에서 매체 교육이 수용되어 온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국어과에서 매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국어과에서는 초기에 영화와 연극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문학 영역에서 수용되기 시작한 매체 텍스트는 7차 교육과정 개정 전후를 기점으로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국어과에서 매체 교육을 수용하게 된 근거로는, 매체가 우리의 언어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과 국어 교육이 문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문화적 문식성'의 인식 때문이다. 개정안의 매체 관련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앞으로 이루어질 국어과 매체 교육이 영상 매체와 영상 언어의 수용과 창작 측면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영상 언어의 교육적 수용을 위해 영상 언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상 언어는 의미론적 측면에서 도상성과 지표성을 지니며, 구문론적인 특성을 비결정적이다. 이러한 영상 언어의 특성 때문에 자연언어와 대비되는 영상 언어가 존재하게 된다.
영상 언어의 교육은 이해의 측면이 아니라 표현, 즉 제작의 측면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날 학생들은 단순한 수용자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매체 문화를 향유하고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교육에서도 매체 언어의 표현을 교육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국어과에서 새롭게 '언어'차원으로 수용된 영상 언어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육 방안의 구체적 방법으로 '영상물의 시화'와 '시의 영상화' 활동을 제시하였다. '영상물의 시화'는 다양한 영상물(사진, 뮤직비디오, 광고, 드라마 등)감상 후 시 쓰기 활동을, '시의 영상화'는 시를 중심으로 영상물(뮤직비디오, 드라마, 광고 등) 만들기 활동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창작 활동 후 발표와 감상평 쓰기, 영상물 공유하기 활동을 전개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수용과 창작의 확대 방안은 학습자가 영상을 읽어 내는 것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통해 시 창작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시 교육은 학습자가 상상력을 동원하여 시에 몰입하고 시와 하나가 되어 시에서 감동을 느끼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 중심이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시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시와의 소통은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필수이다. 영상 매체는 학습자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자료로 학습자의 생활 경험과 관련지어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매체를 활용했다는 것만으로 수업 효과가 다 좋아지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 단원에 맞는 매체 선택이 중요하다.
'가정'에서는 시의 배경인 1960년대의 생활상을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화자의 심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작품과 더불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상황을 인식하게 하였다. 또 작품에서 중요한 시어의 의미와 관련된 사진들을 모아 사진첩을 만들어 보고, 그 사진에 대한 설명을 사진 밑에 덧붙이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바탕으로 가장의 입장에서 현재 가정의 모습이 드러날 수 있도록 시를 써보게 하였다. 이는 시 작품을 우리의 삶에 대입시켜보고, 화자의 입장이 되어서 사회 속의 가정을 바라보는 안목을 기르기 위함이다.
'성탄제'에서는 성탄제와 관련된 사진을 제시하여 이미지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성탄제에 관한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도록 하여 시 텍스트가 그려내는 성탄제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성탄제가 시 텍스트 속에 어떻게 재해석 되었으며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게 하여 문학 작품의 창조적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시의 전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간단한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을 통해 시의 운율을 느낄 수 있도록 시 낭송을 하거나, 시에 어울리는 음악을 선곡하여 시의 어조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아버지의 사랑'을 내용으로 하는 광고를 감상하여 광고에서는 아버지의 사랑을 어떤 방식과 매개물을 사용하여 나타냈는지 비교하여 볼 수 있게 하였다. 이 단계에서 시와는 또 다른 아버지의 사랑을 보여 주어 다른 사람의 생각과 경험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경험한 아버지의 사랑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상화한 장면을 시로 표현하거나, 창작한 시를 영상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수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문학 작품을 창조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시를 내면화 하여 어렵게만 생각되어지던 시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 제시한 시 교육 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점과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연구되어 영상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An education of literature under the multi-media environment requires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raw attention and active response from students, using various relevant materials. Under the "multi-media circumstances," utilizing particular mode of medium is simply not enough: instead, we should carefully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edia and apply it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class. Also, we should teach students to take initiatives so they can communicate in literary terms. As a result, they will be able to learn how to critique, and not criticize the culture and media. Furthermore, students should also learn how to use their imagination and develop creativity. Nowadays, reading and writing a poem is simply not good enough. Instead, students need a new teaching method that can make them express their culture in the form of a poem via education of their language conditions.
Therefore, this report strives to figure out new poetry teaching-studying method using various media which can help to escalate creative and active studying ability, inducing accommodation of poetry to everyday life, internalizing poetry, and self-initiating studying habits.
This report ascertained the necessity of utilizing the 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ving the theoretical evidence of its effect. Next, this report confirmed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aspects of the media to accept the revi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visi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discovered that media is now accepted as the new 'languag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language. Also, it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oactive media education production in order to actively promote it. Previously we offered the theoretical basis as to why we must utilize media in studying poetry.
Lastly we considered the classroom-applicable education method for professor's study plans. We formulated based on how each media, especially videos, have meaning in the poetry education and how these two ideas are interconnected. This report attempts to establish specific goals based on the New Education Plan, and enumerates various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especially that of which involves promoting creativity and diversity. We enabled the students to not only "read" the media but also to enlarge the scope of one's creativity by experiencing various kinds of media apart from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system. Using this teaching method, we expect to see an increase in not only the quality of the course, but also in the participator's interest level.
Author(s)
정효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시 교육 영상 매체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8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21
Alternative Author(s)
Jung, Hyo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조동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사 검토 = 3
3. 연구 방법 = 8
Ⅱ. 이론적 배경 = 10
1. 매체 교육의 개념과 목표 = 10
가. 매체 교육의 개념 = 10
나. 매체 교육의 목표 = 13
2. 국어 교육으로서 매체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 16
Ⅲ. 영상 매체와 시 교육 = 18
1. 교육과정 개정안에 반영된 매체 교육 = 18
가. 국어과 매체 수용 양상 = 18
나. 교육과정 개정안에 반영된 매체 교육 = 22
2. 영상 매체와 시 교육의 관계 = 31
가. 매체 환경 변화와 시 교육 = 31
나. 영상 매체와 시 교육의 관계 = 36
3. 영상 언어의 교육적 수용 = 40
가. 영상 언어의 개념과 특성 = 40
나. 제작 교육을 통한 영상 언어 교육 = 46
4. 매체 제작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 49
Ⅳ.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 학습 방안과 실제 = 51
1.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 = 52
가. 영상물의 시화 = 52
나. 시의 영상화 = 64
2.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실제 = 76
가. 영상물의 시화 = 76
나. 시의 영상화 = 85
Ⅴ. 결론 = 100
참고문헌 = 10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