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에서의 영시활용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eaching Poems in English Education: Focusing on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Abstract
- 본 연구는 영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수업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수업진행을 도모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는 21세기에 들어 의사소통 기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종전의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초점을 둔 기존의 영어 교과서의 내용 및 학습방안과는 달리 실제성 있는 문학 텍스트를 도입하고자 하는 동향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영시 수록 현황은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극히 미미한 정도였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승인한 교과서의 목차에 따라 수업 차시 안을 계획해야 하는 교사에게 교과서 내에 수록되어있지 않거나 부수적 요소로서 실려 있는 영시에 주안점을 두어 교수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연구자는 현장에서 영어교사들이 수업에서 직접 활용하거나 참조하여 활용방안을 쉽게 차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 외의 영시 3편을 다양한 교수 방안과 함께 2차시 분량으로 제시하였다.
현 중등영어 교육상황을 보면 세계화에 발맞춰 언어의 의사소통적 측면 에 주안점을 두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표현기능이 아닌 이해기능에 초점을 맞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여지며 학생들은 교실 밖에서 영어권 나라 사람들과의 실질적인 대화를 하는 기회가 있을 때 많이 난처해하리라고 본 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외국어를 능숙하게 발화하는 것 자체가 많은 곤란을 안고 있지만 학습자 중심의 과업기반 학습은 학습자가 외국어 를 구사할 수 있게끔 외국어의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진정성 있는 문학텍스트를 활용한다면 학습자들의 흥미와 실질적인 언어 능력 측면에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장르 중에서 영시를 활용한 실제 수업전략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였다.
본격적인 수업 안을 다루기전 II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의 사소통중심 교수법의 특성을 토대로 영시활용의 배경, 일반적으로 활용되 는 Lazar(1993)의 영시교수법과 연극, 노래, 소설을 수업에 적용했을 때의 이점 및 영시활용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출판사별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영시 수록 현황과 함께 실제 수업 안을 포함시켰다.
실제수업방안에서는 교과서 외의 19세기 영미 시로 William Wordsworth 의 ‘The Daffodils’, Edgar Allan Poe의 ‘Annabel Lee’ 및 Robert Frost의 ‘The Road Not Taken’ 3편을 Lazar(1993)의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후속 활동으로 구성된 교수법을 참조로 하여 언어의 4가지 기능 측면을 향상시키고자 구성한 다양한 교수방안과 함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2차시의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시간에 영시를 효율적으로 교수하는데 있어서의 주의해야 할 사항을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유도한다. 새로운 세계의 시적 텍스트를 접할 때 학습자 개개인이 능동적, 적극적으로 자신의 경험과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도록 교사는 개방적인 자세로 임하여 여러 가지 접근법에 의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줘야 한다. 또한 다양한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게 조별 토론 시간을 활용하면 또래 동료들과의 상호협력으로 활발한 분위기 속에서 과제가 진척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단, 조별 활동을 하기 전, 교사는 명확한 목표와 과제 수행에 대한 설명과 안내를 해야 한다. 그 렇지 않은 경우, 학습 목표와 동떨어진 산만한 수업이 되어버리기 쉽다.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수수방관적인 태도가 아닌 안내자, 촉진자로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습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함양을 목표로 한다. 외국인과의 빈번한 접촉으로 상호교류가 많은 국제화 시대의 일원으로서 또한 사회에서 외국어 구사능력의 유창성의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그에 대한 준비로써 교실 내에서도 발화 기능에 초점을 둔 구두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학생과 학생간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사간에도 목표어를 통한 원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 기위해서는 주어진 상황에 따른 언어 전략을 구사할 기회를 제공해주는 다 양한 과제가 주어져야 한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초기 학습자의 경우, 외국어를 구사할 때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교사는 학생들의 오류가 목표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단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인지하고 사소한 표면적인 오류에 대해서는 관대한 태도를 취해야 한다.
셋째, 하향식(top-down) 수업전략을 사용한다.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은 언어의 개별적 요소에서의 오류의 유무성에 중점을 둔 정확성보다 실제 언어 사용과 더 깊은 관련이 있는 유 창성을 강조하는 학습 분위기를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맥락 속 에서 개별적인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거나 문법 규칙을 이해하는 하향식 수 업방식을 권장하는 바이다. 이를 영시수업에 적용하면 작품에 입문하기 전 작가소개와 시의 전체적인 배경이나 내용에 대한 예비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영미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단, 읽기 전 활동단계에서 학습자의 수준에서 어려울 수 있는 어휘는 미리 제시, 설명하여 작품에 들어가기 전 원어민이나 한인 영어교사의 시 낭송이 녹음된 자료를 청취하거나 학습자들이 스스로 시를 읽을 때 시의 전반적인 맥락의 흐름을 추론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넷째, 교사는 텍스트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수준별 학습을 고려하여 수업 안을 계획한다. 교사는 지식전달자로서 텍스트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고, 학생의 수준 및 성향을 고려하여 플롯이 명확하고 비교적 구성 이 쉬운 작품을 선정하도록 한다. 단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를 심하게 동요하여 자칫 인생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할 가능성을 지닌 극히 일탈적인 소재를 다룬 시는 부적합하다. 현장에서 수준 별 학습이 시행되기 때문에 상 · 하 반 편성에 따라 과제의 난이도를 조정 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 반에서는 작품을 내용을 요약 하는 활동을 전 개하는 반면, 상 반의 학생들에게는 시의 주제와 학습자 개인의 경험을 접 목 시킨 에세이를 작문하게끔 한다. 모둠 활동으로 과제를 완수하게 하고 자할 때는 학습자들의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한 조당 5-6명으로 적절히 배 치하여 원만하게 수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평가는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과제수행의 결과가 아닌 과정에 중점을 두어 이행하도록 한다.
현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매 과마다 8-10차시를 배분한 교과서의 구성에 치중하여 지나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 적 방안으로서 남는 시간을 교과서 내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영시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색다른 경험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접하게 함으로 써 학습효과 면에서도 상당한 결실을 거둘 수 있게 한다. 영어과 내에서 수업과정을 똑같이 통일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시적 텍스트 활용의 필요 성을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조차 영시수업의 가능성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 다. 본격적인 영시를 적용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 교과과정의 개편부터 시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앞서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를 통한 영 시 의 장점들의 인식과 다양한 활동들로 계획된 실제 수업 안을 활용한 도 입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영시교육의 효용성이 인정을 받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mote the lively learning atmosphere by suggesting the method through English poems one of the literature genre to the dull situation in English education. As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required the turnover to the CLT(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English textbook including various texts increased in quantity with a boom to take the literature into the class.
Despite this enlightenment in English education, it is hard to find not only the textbook with English poems, but the task following the poems.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nglish poetic texts often considered wrongly to be difficult for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caused the lack of previous researches compared with the rest of types of literature.
First of all, the poem has advantages for being a relatively concise form, providing students with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in many ways by getting out of the established conception through its verbatim expression and the opportunity to have a contact with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and to facilitate a critical thought by inferring the text meaning through its organic connec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3 poems excluded from the English textbook and suggested the concrete classroom activities corresponding to these poems for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sson plan is basically composed of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and further follow-up activities. I mainly focused on the general contextual stream and background understanding in the pre-reading, the details of the text meaning in the while-reading, grammatical rules, making a summary of the text and the recitation in the post-reading and finally writing about his or her experience related to the poetic text as an assignment after school in the further follow-up stage.
These tasks were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four language skills(productive skills: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receptive skills: reading skill, writing skill), especially for the productive skills. The projects are accorded with the reality wher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is required quite a lot, so they can be helpful for students to be progressed in fluency for the actual conversation rather than accuracy for the error correction.
I hope the advantages of teaching poems and the class activities in this study can be an actual help to English teachers and the advancement in English education.
- Author(s)
- 최은화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영시활용 영어교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8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22
- Alternative Author(s)
- Choi, Eun Hwa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손달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3
1.3.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2.1. 영시지도의 배경 = 6
2.2. 영시교수법 = 8
2.3. 문학텍스트 지도의 유형 = 11
2.3.1. 연극의 수업 적용방안의 이점 = 12
2.3.2. 노래의 수업 적용방안의 이점 = 13
2.3.3. 소설의 수업 적용방안의 이점 = 14
2.3.4. 영시활용의 필요성 = 15
Ⅲ. 영시활용 수업 방안 = 18
3.1. 교과서 영시 수록 현황 및 분석 = 18
3.2. 실제 수업 활용방안 = 22
3.2.1. The Daffodils by William Wordsworth = 22
3.2.2. Annabel Lee by Edgar Allan Poe = 33
3.2.3. The Road Not Taken by Robert Frost = 47
Ⅳ. 결론 = 60
참고문헌 = 64
부록 =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