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몰입 실과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the Effect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ith Home Act : Focusing on the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 Abstract
- 본 연구는 6주 12차시동안 실과교과목을 영어로 가르친 후에 학생들의 영어 학습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몰입학습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초등학교 6학년 실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영어몰입 실과수업 지도안을 구안하였으며 동질성이 검증된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1개 실험반을 대상으로 영어몰입 실과수업을 6주간 12차시 실시하고, 실험수업의 전과 후 비교반과 실험반 대상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실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도구로는 영어 듣기, 읽기 성취도 평가지와 영어, 실과 정의적 특성에 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실험전과 실험후의 검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차시간의 영어몰입 실과수업 후 학생들의 영어 성취도는 읽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소폭의 점수가 상승하였고, 듣기평가에 있어서는 실험 후 학생들의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주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평소의 수업시간보다 두 배 정도 많은 주당 4시간씩 영어수업을 함으로써 영어를 활용하는 시간이 많았고, 유의미하고 실제적인 언어입력을 많이 제공하여 학생들의 영어듣기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어에 대한 흥미도은 실험 전과 후의 결과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수업의 내용이 이미 실과시간에 다루어졌던 것으로서 학생들이 이미 한번 학습했던 내용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과다한 배경지식이 실험수업에서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영어에 대한 자신감은 실험 후에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영어 학습이 수업시간의 정형화된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자신이 궁금해 하는 일상생활 주변의 문제들을 자연스럽게 영어로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유의미한 언어사용의 경험을 많이 하게 되면서 영어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조금씩 상승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넷째, 영어에 대한 학습동기 또한 실험수업 후 상승했다. 학생들은 영어 수업시간에 고정화된 표현을 무제한 반복하여 암기하고 어색한 상황 속에서 실제를 가장하여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가 실과 내용 전달을 위한 수단이 되어 유의미한 맥락에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어를 왜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한 강력한 동기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시간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언어의 사용이 아동들의 영어 학습의욕을 얼마나 북돋을 수 있는지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인 것 같다.
다섯째, 실험수업 이후 학생들의 소감문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소감을 나타냈고 몇 명의 학생들은 수업내용에 대한 불만보다는 기존의 재량교과시간에 실시되었다는 것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수업이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연구이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지만 영어몰입수업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 보완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몰입 실과수업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영어몰입 연구에서 주를 이루는 교과목은 수학과 과학 등 주지교과로서 학생들은 해당 학년의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몇 년 전에 수업을 해서 다 알고 있는 내용을 단지 영어로 재학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과를 영어로 공부하는 활동에서는 해당 학년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수준에 알맞은 내용으로서 학생들에게 보다 실제적(Authentic)인 언어입력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과목이다. 그러나 미국과 같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실과라고 하는 교과목 자체가 정규 교육과정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영어몰입 실과수업의 연구 사례가 거의 없고, 국내에도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비록 본 연구는 12차시라는 짧은 기간 동안 수행하였지만, 체계적인 교과분석으로 장기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영어몰입 실과수업은 효과적인 영어학습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는 영어와 실과 모두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학생들을 잘 지도하여야 한다. 두 과목이 통합된 연구이므로, 교사가 실과와 영어 어느 한 과목에서 지식이 부족하다면, 학생들에게 영어와 실과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과목에 대한 교사의 끊임없는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몰입학습의 효과를 인정할 때, 아동들이 영어에 자주 노출될 수 있도록 특히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담임교사의 영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담임교사와 학교생활의 대부분을 함께 하는 학생들에게 교실영어를 생활화하는 방안과 타 교과 수업시간에 영어를 부분적으로 활용하려는 교사의 노력이 뒷받침 된다면, 영어를 배우는데 턱없이 부족한 영어사용시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우리나라 초등교육의 상황은 현직 교사들이 그 역할을 해 내기에는 교사의 전문성과 시간적 제약 등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앞으로 현장에서 적시, 적소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몰입교육 교재와 교구가 개발되고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ith Practical course in elementary classrooms by providing more meaningful inpu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second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ith Practical course on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mong sixty 6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in Haeundae, Busa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ith Practical course and English and Practical course as well. The controlled group learned English and Practical course separately. Both classes had similar results in the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comprehension about practical courses, questionnaires in learners' attitude for English and Practical course as well in the pre-experimental test.
After the experiment, the English proficiency test and learners' attitude toward English were measured. The English Proficiency test measured the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 of learn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learners' attitude questionnaire measured the degree of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s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However, the results in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 motivation and self-confidence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uch higher mark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re are important teaching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ject. Because the language learners are learning English through familiar concepts, they are able to gain more confidence and show less anxiety toward learning a new language.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vides more meaningful inputs and contexts appropriate to the learners' cognitive level.
- Author(s)
- 박소현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영어몰입 영어몰입 실과 초등학교 6학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8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24
- Alternative Author(s)
- Park, So-Hy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박매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과제 = 3
3. 용어의 정의 = 3
4.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영어 의사소통능력 = 6
2. 영어몰입교육 = 8
3. 영어와 실과의 연관성 = 10
4. 선행연구의 고찰 = 11
Ⅲ. 연구방법 = 14
1. 연구 참여자 = 14
2. 연구도구 = 14
3. 자료 수집 절차 = 18
4. 자료 분석 = 22
Ⅳ. 결과 분석 및 토의 = 24
1. 사전 기초 조사 분석 = 24
2. 실험 결과 분석 = 28
Ⅴ. 결론 및 제언 = 35
참고문헌 = 39
부록 1 영어 사전 듣기 평가지 = 43
부록 2 영어 사전 읽기 평가지 = 44
부록 3 영어 사후 듣기 평가지 = 45
부록 4 영어 사후 읽기 평가지 = 46
부록 5 영어 사전 정의적 영역 설문지 = 47
부록 6 실과 사전 정의적 영역 설문지 = 48
부록 7 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지 = 49
부록 8 영어몰입 실과수업 지도안 = 5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