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 개발
- Alternative Title
- The Development of a Parent Support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 Using Delphi Method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영어에 관심이 높은 부모들에게 유아영어교육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과 연계하여 일관성있게 영어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위해 교사, 원장 및 원감, 교수 등 3개의 집단으로 전문가 그룹(패널)을 구성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및 현황 조사(김해겸, 차호순, 1997: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김영실,2001:우남희,1995: 천희영, 최미현, 좌승화, 서현아, 2002)) 연구와 인식에 대한 연구(김은아, 1996: 김정애, 2004)를 조사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3차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개방형과 폐쇄형 설문을 혼합하여 만들어졌으며 패널들은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실시횟수, 평가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서술형으로 기록하거나 선택하도록 고안되어졌다. 2차 설문 조사는 1차 조사의 응답을 분석하여 응답사례를 유목화하여 89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 중 평균이 4.0 이상이며 왜도가 음의 값을 가지는 항목 32개를 다시 선정하여 3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응답 결과 적절하다고 선정된 32개의 항목과 부모의 자기평가에 관한 항목 2개, 마지막에는 부모지원프로그램 운영계획에 대한 항목 11개를 첨가하여 총 45개의 항목에 대해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 목표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는 것’은 2차와 3차에 걸쳐 가장 높은 평균점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것’과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선정되었다. 이는 배주은(2007)의 논문에서 델파이조사 결과 저학년 영어교육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할 교육목표가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진다.’ 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즉, 부모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직접 유아에게 영어를 가르쳐 당장 효과를 보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유아가 자연스럽게 영어에 흥미를 가지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에서는 2차, 3차 모두 유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 방법인 ‘게임, 챈트, 노래를 활용하는 방법’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유아영어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과 ‘문학작품을 활용한 영어교육활동’이 그 다음이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최영희(2006)는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법 중 동요와 챈트, 동화를 통한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 김윤아(2001)는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듣기, 말하기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흥미, 발음, 말하기 측면에서 일반 수업 모형보다 재미있고 발음 오류를 감소시키며 자신감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영어동화에 관한 조경숙(2005)의 논문에 의하면 유아들은 동화, 동시 등을 재미있게 읽음으로써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게임, 챈트, 노래,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영어지도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교육방법의 적절성에서는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선호하였다. 교육부(1999)에서는 부모교육의 유형을 3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강연회, 토론회, 좌담, 독서토론회, 실습 및 워크샾과 같이 집단으로 실시하는 것, 면담, 가정방문 같은 개별적인 부모교육, 인쇄자료, 전화, 컴퓨터통신과 같이 통신을 이용하는 부모교육이다. 전계순(2006년)의 논문에서는 부모교육의 방법 중 교사와 학부모는 가정통신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아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많은 부모교육 관련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대상에게 일괄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보다는 소집단 내지는 개별화된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대두하고 있어(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2002)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교육 내용에 따라 적절히 병행하면 효과적이라고 본다.
넷째, 평가의 적절성에서 패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자체 운영’ 평가를 선택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나 수시로 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마지막 단계는 프로그램 평가로 평가는 학습결과를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의 정책을 결정하고, 프로그램을 개정하며, 프로그램의 정당성 및 책무성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다(한국교육개발원, 1984 : Medway, 1989).
그러므로 프로그램 실행과정 중에도 부모의 요구나 만족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반영하도록 하며,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3차에 걸친 전문가들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 8회의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었다.(부록 마지막에 있는 참고)
향후에는 이상의 내용을 실제 유치원에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As importance of English ability which is a worldwide language to communicate in 21C, is being recognized, it is hard to live these days only with their mother's tongue. So, necessity of being bilingual and demand for bilingual education are getting higher, and many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es are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However, the system is incomplete and professional teachers are in short.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ed system that provides right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who have lots of interest, and support the consistent home English education related to the academy's education will maximi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program that systematically perform the parent- supporting program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for certain period of time by English teacher or trained teacher.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which reaches an agreement by sending questions three times to 27 panels (teachers, principals, vice-principals, professors). By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items based on the purpose,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at the end, eight-times of parent support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as developed. Academy will now actually use this program, and supplement and correction of this program will be discussed.
- Author(s)
- 최경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유아영어교육 부모지원 프로그램 델파이 방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32
- Alternative Author(s)
- Choi, Ky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Advisor
- 이경화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1. 유아영어교육의 이론적 관점 = 5
2. 유아영어교육의 동향 = 9
3. 델파이 연구법 = 12
Ⅲ. 연구방법 = 16
1. 연구 대상 = 16
2. 연구도구 = 18
3. 연구 절차 = 24
4. 자료 분석 방법 = 26
Ⅳ. 연구결과 = 29
1. 제 1차 델파이 = 29
2. 제 2차 델파이 = 38
3. 제 3차 델파이 = 44
Ⅴ. 논의 및 결론 = 53
참고문헌 = 57
부록 = 6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