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Store VM on Shopping Emotion and Store Loyalty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 Abstract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과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부산시내 거주하는 남녀대학생들로 편의표본추출을 하였다. 2008년 12월 8일부터 12월 20일 사이에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92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한 총 275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장 VM이 쇼핑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장이미지, 매장 내 편의시설, 매장 내 디스플레이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쇼핑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장 VM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장이미지, 매장 내 편의시설, 매장 내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프로모션의 모든 변수들이 점포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쇼핑감정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에 앞서 의복쇼핑성향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락추구, 계획추구, 과시추구, 편의추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차이를 분석한 결과, 쾌락추구집단은 매장 내 편의시설, 프로모션 요인이 쇼핑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매장이미지, 레이아웃 요소가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추구집단은 매장 내 편의시설 요인만이 쇼핑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과시추구집단은 매장이미지, 매장 내 디스플레이, 프로모션 요인이 쇼핑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매장이미지 요인은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추구집단은 매장 내 편의시설 요인만이 쇼핑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매장 내 디스플레이 요인은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e VM on shopping emotion and store loyalty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383 male students living in P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for win 10.1 Package,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est,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ore VM on emotion for shopping showed store image, store facilities, and store display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opping emotion.
Seco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ore VM on store loyalty showed all the variables of store image, store facilities, store display, layout, and promo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tore display.
Third, the shopping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ore display.
Fourth, cluster analysis before real analysis was administered to find whether the effects of store VM on shopping emotion and store royalty are different or not. It resulted in four divided categories: pursuit of pleasure, pursuit of plans, pursuit of self-display, and pursuit of convenience.
Analysis of different effects of store VM on shopping emotion and store royalty according to each category resulted in as follows: the pursuit pleasure showed the store facilities and the promotion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hopping emotion, and store image and layout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tore royalty. The pursuit of plans showed only the store facilities impacted on the shopping emotion. The pursuit of self-display showed store image, store display, store facilities, and promotion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hopping emotion, and store image factor influence on the store royalty. The pursuit of convenience showed only the store facilities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hopping emotion, and the store display factor influenced on the store royalty.
- Author(s)
- 이호정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VM Shopping Emotion Store Loyalty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0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40
- Alternative Author(s)
- Lee, Ho j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패션디자인학과
- Advisor
- 오희선
-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 1
제 1절 연구의 배경 = 1
제 2절 연구의 목적 = 4
제 3절 연구의 구성 = 5
제 2장 이론적 배경 = 7
제 1절 의복쇼핑성향 = 7
1-1. 의복쇼핑성향의 정의 = 7
1-2.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 9
제 2절 매장 VM = 14
2-1. 매장 VM의 정의 = 14
2-2. 매장 VM에 관한 선행연구 = 17
제 3절 쇼핑감정 = 19
3-1. 쇼핑감정의 정의 = 19
3-2. 쇼핑감정에 관한 선행연구 = 21
제 4절 점포충성도 = 24
4-1. 점포충성도의 정의 = 24
4-2. 점포충성도에 관한 선행연구 = 25
제 3장 연구방법 및 절차 = 27
제 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27
제 2절 측정도구 = 28
2-1. 의복쇼핑성향 = 29
2-2. 매장 VM = 29
2-3. 쇼핑감정 = 30
2-4. 점포충성도 = 30
2-5. 인구통계적 변인 = 30
제 3절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 31
3-1. 조사대상 = 31
3-2. 분석방법 = 33
제 4장 연구결과 및 분석 = 34
제 1절 측정항목의 평가 = 34
1-1. 의복쇼핑성향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 34
1-2. 매장 VM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 37
1-3. 쇼핑감정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 39
1-4. 점포충성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 40
제 2절 가설검증 = 41
2-1. 매장 VM과 쇼핑감정 = 41
2-2. 매장 VM과 점포충성도 = 42
2-3. 쇼핑감정과 점포충성도 = 43
2-4.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44
제 5장 결론 = 54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 54
제 2절 연구의 시사점 = 56
제 3절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 57
참고문헌 = 58
Abstract = 65
[부록]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요소가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패션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