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일본어 텐스 퍼펙트 아스펙트의 범주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ategorization of Tense and Perfect and Aspect of Japanese
Abstract
일본어 동사의 아스펙트는 松下(1901)를 시작으로 工藤(1995)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관점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아스펙트 연구에서 중심적인 工藤(1995)는 모든 동적 사태를 아스펙트 관점에서 파악하고, 아스펙트와 텐스의 통합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工藤(1995)는 완료를 퍼펙트로 명명하고, 이러한 퍼펙트를 아스펙트의 하위개념으로 분류하여 완성상의 텐스적 의미와 계속상의 아스펙트적 의미가 복합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사태의 시간 표현은 아스펙트에 한하여 파악할 수 없으며, 그 외 시간표현의 범주인 텐스, 퍼펙트와의 관련성에서 가능한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선행연구와는 다른 각도에서 시간표현의 문법 범주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1)아스펙트와 텐스는 문법 기능적으로 독립적인 범주임에도 불구하고 아스펙트적 입장에서 텐스를 파악한 점이다.
2)동작의 상적 개념, 즉, 동작의 시작, 진행, 완료 과정에서 완료를 나타내는 퍼펙트가 텐스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나, 아스펙트의 하위개념으로만 분류되어 온 점이다.
3)퍼펙트가 시점, 어휘, 통어적 관점에서 아스펙트, 텐스와 독립적이며, 또한,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퍼펙트 형식은 아스펙트의 「テイル」,「テイタ」, 텐스의「タ」와 공존하면서도 아스펙트의 하위개념으로만 분류되어 온 점이다.
4)결국, 아스펙트 외, 시간 표현의 문법범주가 아스펙트에 포함되어 독립적인 범주로서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착안한 본 논문의 중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범주로서 텐스와 아스펙트를 정의하고 아스펙트의 하위개념으로 분류되어 왔던 퍼펙트를 텐스, 아스펙트와 동일한 레벨로 격상한다.
2)퍼펙트를 텐스, 아스펙트와 동일한 레벨로서 격상하기 위해서는 시점적 관점, 어휘적 관점, 통어적 관점에서 명확화하여 범주적인 자리매김을 한다.
3)시간적 사태 표현의 형식인「テイル」,「テイタ」,「タ」의 의미와 범주적 혼용을 명확화한다.
4)시간 표현의 범주로서 텐스, 퍼펙트, 아스펙트가 각각 독립적인 문법범주이면서도, 실제, 사태는 텐스에서 퍼펙트, 퍼펙트에서 아스펙트, 퍼펙트에서 텐스로의 연속적 관계에서 성립됨을 규명하고자 한다.
Japanese verb’s aspect had been actively studied in many point of view from Kindaichi(1950)to Kudo(1995).
Nowadays, Kudo(1995) which is the one of the main view about the aspect studies considered all verb as a view of aspect. Moreover, Kudo(1995)calls the present tense as the perfect tense, and classifies it as conception under the view of the aspect. And Kudo(1995) also defines it as completed meaning of the tense and continuous meaning of the tense. However, time expression of verb cannot be considered under the view of the aspect and it will be possibly understood with extra time expression categories such as the perfect tense.
This thesis will hold previous studies’ problems with the following, and define the grammar category of time expression.
Although the aspect and tense are an independent category as grammar function, the tense is understood with the view of the aspect.
The perfect tense is independent in time, vocabulary, interpretation. Furthermore, as a form the prefect tense has been classified, and not only has coexisted with 「ta」,「teiru」,「teita」but also has considered as the conception under the aspect.
Finally, in addition to the aspect, the time expression category is included in the aspect, so it cannot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category.
This thesis’s main contents are like the following with considering the previous studies’ problems.
It will define the tense and the aspect as independent category, and will raise the perfect tense, which has been classified under the aspect, to same status with the aspect.
In order to raise the perfect tense to same status with the aspect, the point of view such as time, vocabulary and interpretation will be defined as the main category.
It will define time expression such as 「teiru」,「teita」,「ta」in order to solve the meaning and mingled use.
Author(s)
이상수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텐스 아스펙트 퍼펙트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0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47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S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손동주
Table Of Contents
序章 = 1
1. 선행연구와 연구의 목적 = 1
2. 본고의 구성 = 4
第 1章 퍼펙트 = 7
1. 퍼펙트의 의미와「テイル」에서의 동사분류 = 7
1.1 아스펙트와 퍼펙트 = 9
1.1.1 아스펙트의 정의 = 9
1.1.2 아스펙트와 퍼펙트의 상관관계 = 10
1.2 텐스와 퍼펙트 = 12
1.2.1 텐스의 정의 = 13
1.2.2 텐스와 퍼펙트의 상관관계 = 14
1.3 「テイル」형태와 동사분류 = 14
1.3.1 분류의 기준 = 17
1.3.1.1 지속에 의한 분류 = 19
1.3.1.1.1 [지속 1] = 19
1.3.1.1.2 [지속 2] = 21
1.3.1.2 의지에 의한 분류 = 22
1.3.1.2.1 [+의지] = 23
1.3.1.2.2 [-의지] = 25
1.3.2 「テイル」에서의 동사분류와 범주적 분화 = 27
2. 퍼펙트의 정의 = 28
2.1 퍼펙트의 시점 = 29
2.1.1 기존의 시점 이론 = 30
2.1.1.1 Klein(1992)의 시점 이론 = 30
2.1.1.2 Langacher(1991)의 시점 이론 = 31
2.1.2 본고의 퍼펙트와 시점 = 32
2.1.2.1 전항사태와 사건시점 = 35
2.1.2.2 후항사태와 기준시점 = 36
2.1.2.3 퍼펙트의 기준시점 설정 규정 = 37
2.2 퍼펙트의 의미 = 39
2.2.1 [효력 1] = 39
2.2.2 [효력 2] = 40
2.2.3 [효력 3] = 42
2.2.4 동사의 어휘와 에 의한 효력의 패턴 = 43
2.3 퍼펙트의 형식 = 44
2.4 퍼펙트란 = 46
2.4.1 상태 퍼펙트 = 48
2.4.2 동작 퍼펙트 = 51
3. 결론 = 54
第 2章 미래의 텐스, 퍼펙트, 아스펙트 = 56
1. 미래 텐스「ル」 = 56
1.1 시점적 관점 = 60
1.1.1 발화시점 이후 사건시점만 존재하는 경우 = 60
1.1.2 발화시점 이후 기준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 61
1.1.3 미래 텐스「ル」의 시점 = 62
1.2 통어적 관점 = 62
1.2.1 문에 대한 전달 표현의 의미 = 63
1.2.2 명제표현에 대한 사태 파악의 의미 = 64
1.2.3 미래 텐스「ル」의 모달리티적 의미 = 65
2. 미래 퍼펙트「テイル」와 미래 아스펙트「テイル」 = 65
2.1 시점적 관점 = 66
2.1.1 기준시점과 미래 퍼펙트「テイル」 = 67
2.1.2 사건시점과 미래 아스펙트「テイル」 = 68
2.2 어휘적 관점 = 69
2.2.1 주체변화동사와 미래 퍼펙트「テイル」 = 69
2.2.2 주체동작동사와 미래 아스펙트「テイル」 = 70
2.3 통어적 관점 = 71
3. 미래 텐스「ル」, 미래 퍼펙트「テイル」, 미래 아스펙트「テイル」의 연속성 = 72
3.1 미래 텐스「ル」에서 미래 퍼펙트「テイル」 = 73
3.2 미래 퍼펙트「テイル」에서 미래 아스펙트「テイル」 = 75
4. 결론 = 76
第 3章 현재의 아스펙트와 퍼펙트 = 77
1.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와 현재 퍼펙트「テイル」 = 80
1.1 현재 아스펙트「テイル」 = 81
1.1.1 시점적 관점 = 81
1.1.2 어휘적 관점 = 83
1.1.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83
1.1.2.2 주체변화동사 = 84
1.1.2.3 주체동작동사 = 85
1.1.2.4 재귀동사 = 86
1.1.2.5 외적운동동사와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의 의미 = 87
1.2 현재 퍼펙트「テイル」 = 88
1.2.1 시점적 관점 = 89
1.2.2 어휘적 관점 = 90
1.2.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90
1.2.2.2 주체변화동사 = 92
1.2.2.3 주체동작동사 = 93
1.2.2.4 어휘적 관점에서 현재 퍼펙트의 분화 = 94
2. 현재 퍼펙트「テイル」와 「タ」 = 95
2.1 현재 퍼펙트「テイル」 = 99
2.1.1 어휘적 관점 = 100
2.1.2 통어적 관점 = 101
2.1.2.1 과거 사태의 반복적 의미 = 101
2.1.2.2 변동 가능한 결과의 의미 = 102
2.2 현재 퍼펙트「テイル」와 「タ」의 접점 = 103
2.2.1 결과구문에서의 현재 퍼펙트「テイル」와 「タ」 = 103
2.2.1.1 결과구문의 정의 = 104
2.2.1.2 결과구문의 패턴 = 106
2.2.1.2.1 결과구문(1) = 106
2.2.1.2.2 결과구문(2) = 107
2.2.1.2.3 결과구문(3) = 108
2.2.2 결과구문「テイル」와 「タ」의 접점과 분기점 = 109
2.2.2.1 결과구문(1)의 분기점과 접점 = 109
2.2.2.2 결과구문(2)의 분기점과 접점 = 112
2.2.2.3 결과구문(3)의 분기점과 접점 = 114
3.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 = 120
3.1 현재 퍼펙트「テイル」와 「テイタ」의 접점 = 121
3.1.1 시점적 관점 = 121
3.1.1.1 기준시점 설정 규정과 패턴이 동일한 경우 = 122
3.1.1.2 기준시점의 시간부사구와 공기하는 경우 = 125
3.1.2 통어적 관점 = 128
3.1.2.1 객관적 사태로서의 전제 = 128
3.1.2.2 주관적 사태로서의 전제 = 130
3.1.2.3 반가정 조건으로서의 전제 = 131
3.2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의 접점 = 131
3.2.1 시점적 관점 = 132
3.2.1.1 기준시점 설정 규정과 패턴이 동일한 경우 = 132
3.2.1.2 기준시점의 시간부사구와 공기하는 경우 = 133
3.2.2 통어적 관점 = 134
4. 현재 아스펙트 「テイル」와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의 연속성 = 137
4.1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에서 현재 퍼펙트「テイル」로의 이행 = 138
4.1.1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의 동작 지속에서 현재의 동작 퍼펙트「テイル」로의 이행 = 139
4.1.2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의 결과 지속에서 현재의 상태 퍼펙트「テイル」로의 이행 = 141
4.2 현재 퍼펙트 「テイル」에서 현재 퍼펙트「タ」로의 이행 = 142
4.3 현재 퍼펙트「テイル」에서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로의 이행 = 144
5. 결론 = 146
第 4章 과거의 아스펙트, 퍼펙트, 텐스 = 148
1. 과거 아스펙트「テイタ」와 과거 퍼펙트「テイタ」 = 150
1.1 과거 아스펙트「テイタ」 = 151
1.1.1 시점적 관점 = 151
1.1.2 어휘적 관점 = 152
1.1.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153
1.1.2.2 주체변화동사 = 154
1.1.2.3 주체동작동사 = 155
1.1.2.4 재귀동사 = 155
1.2 과거 퍼펙트「テイタ」 = 157
1.2.1 시점적 관점 = 159
1.2.2 어휘적 관점 = 160
1.2.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161
1.2.2.2 주체변화동사 = 162
1.2.2.3 주체동작동사 = 163
1.2.2.4 어휘적 의미에 따른 동작, 상태 퍼펙트의 공존 = 164
2. 과거 퍼펙트「テイタ」와 「タ」 = 165
2.1 과거 퍼펙트「テイタ」와「タ」의 접점 = 166
2.1.1 시점적 관점 = 166
2.1.1.1 격조사「ニハ」와 결합한 시간부사구와의 공기 = 167
2.1.1.1.1 시간명사「時」와 격조사「ニハ」가 결합한 경우 = 167
2.1.1.1.2 시간명사「前」와 격조사「ニハ」가 결합한 경우 = 168
2.1.1.2 격조사「モ」와 결합한 시간부사구와의 공기 = 170
2.1.1.2.1 시간명사「時」와 격조사「モ」가 결합한 경우 = 170
2.1.1.2.2 시간명사「前」와 격조사「モ」가 결합한 경우 = 171
2.1.2 어휘적 관점 = 173
2.1.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174
2.1.2.2 주체변화동사 = 175
2.1.2.3 주체동작동사 = 176
2.2 과거 퍼펙트「テイタ」와 「タ」의 분기점 = 177
2.2.1 시점적 관점 = 177
2.2.1.1 「Ø」와 결합한 시간부사구와의 공기 = 178
2.2.1.1.1 시간명사「時」와「Ø」가 결합한 경우 = 178
2.2.1.1.2 시간명사「前」와「Ø」가 결합한 경우 = 179
2.2.1.2 격조사「ニ」와 결합한 시간부사구와의 공기 = 181
2.2.1.2.1 시간명사「時」와 「ニ」가 결합한 경우 = 181
2.2.1.2.2 시간명사「前」와 「ニ」가 결합한 경우 = 182
2.2.2 어휘적 관점 = 184
2.2.2.1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 = 184
2.2.2.2 주체변화동사 = 186
2.2.2.3 주체동작동사 = 187
2.2.2.4 「ニ」또는「Ø」와 결합한 시간부사구와 공기하는 동사의 의미와 시점 = 188
3. 과거 퍼펙트「タ」와 과거 텐스「タ」 = 190
3.1 시점적 관점 = 190
3.1.1 과거 퍼펙트「タ」 = 191
3.1.1.1 사건시점이 기준시점을 선행하는 과거 퍼펙트「タ」 = 191
3.1.1.2 과거 퍼펙트「タ」와 공기하는 시간부사구 = 192
3.1.2 과거 텐스「タ」 = 193
3.1.2.1 사건시점과 기준시점이 일치하는 과거 텐스「タ」 = 193
3.1.2.2 과거 텐스「タ」와 공기하는 시간부사구 = 194
3.2 통어적 관점 = 196
4. 과거 아스펙트「テイタ」, 과거 퍼펙트「テイタ」「タ」, 과거 텐스「タ」의 연속성 = 197
4.1 과거 아스펙트「テイタ」에서 과거 퍼펙트「テイタ」 = 197
4.1.1 시점적 관점 = 197
4.1.2 어휘적 관점 = 200
4.1.3 과거 아스펙트「テイタ」와 과거 퍼펙트「テイタ」의 연속성 = 200
4.2 과거 퍼펙트「テイタ」에서 과거 퍼펙트「タ」 = 201
4.2.1 시점적 관점 = 201
4.2.2 어휘적 관점 = 202
4.2.3 과거 퍼펙트「テイタ」와 과거 퍼펙트「タ」의 연속성 = 203
4.3 과거 퍼펙트「タ」에서 과거 텐스「タ」 = 204
4.3.1 시점적 관점 = 204
4.3.2 통어적 관점 = 205
4.3.3 과거 퍼펙트「タ」와 과거 텐스「タ」의 연속성 = 206
5. 결론 = 207
第 5章 아스펙트, 퍼펙트, 텐스의 범주화 과정 = 208
1. 아스펙트「テイル」,「テイタ」 = 208
1.1 미래 아스펙트 「テイル」에서 현재 아스펙트「テイル」 = 209
1.2 현재 아스펙트 「テイル」에서 과거 아스펙트「テイタ」 = 210
2.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 = 212
2.1 미래 퍼펙트「テイル」에서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 = 212
2.2 현재 퍼펙트 「テイル」,「タ」,「テイタ」 에서 과거 퍼펙트 「テイタ」, 「タ」 = 214
3. 텐스「ル」, 「タ」 = 215
4. 결론 = 217
第 6章 아스펙트, 텐스와 퍼펙트의 범주적 관계 = 219
1. 아스펙트와 퍼펙트의 범주적 관계 = 219
1.1 미래 아스펙트「テイル」와 미래 퍼펙트「テイル」 = 219
1.2 현재 아스펙트「テイル」와 현재 퍼펙트「テイル」 = 220
1.3 현재 퍼펙트「テイタ」와 과거 퍼펙트「テイタ」 = 221
1.4 과거 퍼펙트「テイタ」와 과거 아스펙트「テイタ」 = 222
2. 텐스와 퍼펙트의 범주적 관계 = 224
2.1 현재 퍼펙트「タ」와 과거 퍼펙트「タ」 = 224
2.2 과거 퍼펙트「タ」와 과거 텐스「タ」 = 225
第 7章 결론 = 227
1. 미래 퍼펙트「テイル」 = 227
2. 현재 퍼펙트「テイル」,「タ」,「テイタ」 = 228
3. 과거 퍼펙트「タ」와 「テイタ」 = 229
參考文獻 = 231
例文出典 = 235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일어일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