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전문계 고등학교 웹 디자인교육에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educational applied constructivism in web design education at design high school
Abstract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웹 디자인교육은 단순히 기능만을 주입하는 웹 제작 프로그램위주의 활동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우리 교육 환경은 객관적 지식의 주입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학생들이 지식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비교적 제한되어 있으며, 교육내용은 엄격한 지식의 울타리 속에서 학생의 사고를 박제화 시키고 있다.
그 속에서 학생들이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서 알아갈 수 있는 과정을 간과하고 있다.
여기에 학습자가 주도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기르고 실제적인 학습내용을 전제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은 현재 웹디자인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구성주의에 있어서 지식은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능동적으로 구성된다고 보며 발달과 행동, 학습은 외부의 영향과 성숙적 과정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학습자 개개인의 기본적인 인지구조를 바탕으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에게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해 간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며 학습자의 능동성, 창의성, 자기 주도적 학습을 중시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에 대한 인식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능동적인 지식 구성력을 갖추어 고등사고 능력 및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는 웹 디자인교육에서도 계획적이고 구조적인 과정 중심의 학습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웹디자인 교육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Web design education at design high school only focusing make students use web producting program. It seems to me that students are forced to study in Korea. It defeats the basic purpose of education. Until now, schools focus on acquiring objective knowledge. As a result of it, students are taught passively ignoring how actively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
Thu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is essential for learning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contents. According to constructivism, acknowledge builds through students' experience, development process, behavior and education which are affected by both their study environment and mature process. Based on learners individual recognization structure they accept what they want to learn. And they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they learn through course.
I would like to stres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well-structured contents. The bottom line is that teaching methods should be more communicative than teachers used to be.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how to educate web design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Author(s)
최윤지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1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56
Alternative Author(s)
Choi, Yun J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김명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이론적 고찰 = 4
1. 웹디자인의 이론 = 4
1) 웹 디자인의 개념 = 4
2) 웹 조형원리 = 5
3) 효과적인 웹디자인 조건 = 8
4) 메인 페이지의 디자인 요소 = 10
5) Web 2.0 사이트의 GUI디자인 = 11
2. 구성주의 학습이론 = 14
1) 구성주의 교육의 개념 = 14
2) 구성주의 학습의 원리 = 17
3) 구성주의 학습의 필요성 = 21
4) 구성주의 교수·학습방법 = 22
5) 구성주의 학습 환경 고려사항 = 26
6)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적용사례 = 27
Ⅲ. 교육현황 및 실태조사 = 29
1.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현황 = 29
1)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교육과정 = 29
2) 전문계 고등학교 웹디자인 교육과정 분석 = 31
3) 웹디자인 교과서의 문제점 = 37
2. 웹디자인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 38
1) 설문조사 목적 = 38
2) 설문조사 대상 및 범위 = 38
3) 설문조사 내용 및 분석 = 39
Ⅳ.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웹디자인 교육방안 = 64
1.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웹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 64
2. 웹디자인교육에서 구성주의적 학습이론의 활용방안 = 66
Ⅴ.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웹 디자인교육 제안 = 71
1.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웹 디자인교육의 목표 = 71
2.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웹 디자인교육의 수업계획 = 72
1) 교수·학습지도 계획 = 72
2) 학습지도시 유의점 = 72
3) 학습단계의 지도 계획 및 방법 = 73
4) 학습지도안 = 76
3. 수업결과물 사례 및 교육적 기대효과 = 83
1) 수업결과물 사례 = 83
2) 교육적 기대효과 = 92
Ⅵ. 결론 = 93
참고문헌 = 95
설문지 (교사용) = 97
설문지 (학생용) = 10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