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전시실 환경 조건에 따른 전통회화 변색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discolor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by conditions of environment
Abstract
전통회화에 사용되어졌던 광물성 천연안료인 Azurite와 Malachite를 이용해 전통적인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 후 환경 조건이 다른 전시관에 두어 자연적인 노화과정을 행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노화시험을 시행함으로서 각 조건별 시험편의 변색 정도로 손상원인을 밝히고 두 안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인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석청은 거의 대부분의 노화시험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QUV 시험 후 색차 및 TGA 측정 결과로 환경인자들 중 자외선이 주는 영향이 비교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석록은 산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초산과의 반응으로 Copper acetate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외선이 미치는 영향이 TGA 결과로 비추어 봐서 석청보다 석록이 더욱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외부 전시관에서 진행되었던 자연노화시험은 청정지역에서의 시험편이 가장 안정된 값을 보였고, 기온 및 습도차가 지역에서 그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와 같은 물리적 변화에 대해 분석기기를 통한 화학적인 해석은 이와 같은 재료가 사용된 전통회화의 보존 방법을 제시해 주며, 특히 산에 약한 특성을 보여주는 석록은 환경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간단한 색차 측정으로 평가하고 검색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Decolorization and discoloration of used by tradition of paintings were induced by various chemical reactions of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due to temperature, humidity, light and air pollution and degradation of several resins combined with pigments.
In this study, we made artificial samples including Azurite and Malachite as inorganic pigments on Hanji called ‘Korean Paper’ and performed natural aging test at exhibit pavilion. The chemical changes occurred by the artificial aging and the environmental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FT-IR, TGA, XRD and the color changes of paintings were observed by the color-meter and video-microscope.
It was found that the discoloration of paintings including Malachite was occurred at the atmosphere of acid and the radiation of uv.
Author(s)
김동원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광물안료 석록 석청 문화재보존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2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58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W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공업화학과
Advisor
곽삼탁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2. 실험 = 3
2-1. 재료 = 3
2-2. 시편제조 및 전시 = 6
2-2-1. 시험편 제작 = 6
2-2-1-1. 한지 위에 칠하기 = 6
2-2-1-2. Al판 위에 칠하기 = 8
2-2-2. 전시관 전시 = 8
2-2-2-1. 액자의 제작 = 8
2-2-2-2. 액자의 설치 = 8
2-2-3. 노화시험 = 10
2-2-3-1. 촉진 내후성 시험기(QUV) = 10
2-2-3-2. 복합 부식 시험기(Q-fog) = 12
2-2-3-3. 내열성시험 = 14
2-2-3-4. 내산성시험 = 14
2-2-3-5. 내자외선 시험(NUV) = 14
2-3. 분석기기 = 15
2-3-1. Uv-visible Spectrophotometer = 15
2-3-2. FT-IR = 15
2-3-3. Video microscope = 15
2-3-4. TGA = 15
2-3-5. XRD = 16
2-3-6. Color-meter = 16
3. 결과 및 고찰 = 18
3-1. 자외선 흡수 분광 측정 = 18
3-2. 적외선 흡수 분광 측정 = 20
3-3. 현미경 사진 분석 = 23
3-3-1. Al 판에 칠한 시편 = 23
3-3-2. 한지에 칠한 시편 = 30
3-4. TGA 분석 = 37
3-5. XRD 분석 = 41
3-6. 색차측정 = 44
3-6-1. 인위적 노화 시험 = 44
3-6-2. 외부 전시관 = 48
4. 결론 = 50
참고문헌 = 5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공업화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