井伏鱒二의 초기작품에 보이는 와 갈등의 양상
- Alternative Title
- A Mode of confinement and conflict in the IBUSE MASUJI's early works : in「Salamander」,「DeepthenightandaJapaneseapricottree」,「Sigureisland'sthedescriptionofscenery」,「SWANonaroof」
- Abstract
- 본고에서는 井伏의 초기작품에 등장인물이 폐쇄적 상황 내지는 이와 유사한 상황 하에서 비애를 맛보고 있다는 점과, 이와 같은 폐쇄 상황 하에서 등장인물 간의 갈등 및 등장인물과 그 자신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존재와의 갈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山椒魚」, 「夜ふけと梅の花」, 「シグレ島の叙景」, 「屋根の上のサワン」을 중심으로 각 작품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폐쇄의 양상은 각 작품의 등장인물이 폐쇄적 공간이나 상황에 놓이게 되는 원인이 외부의 영향을 받았거나 직접적인 외력에 의한 것과 등장인물의 내부 세계가 스스로를 폐쇄된 공간이나 상황에 놓이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 폐쇄 상황에 놓이게 된 등장인물들의 변화하는 의식의 흐름 및 등장인물들 간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山椒魚」는 井伏의 작품 중에서도 폐쇄의 양상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도롱뇽은 2년 여간자신의 신체가 <発育> 하는 것도 깨닫지 못한 채 멍청하게 있었던 탓에 자신의 거처인 로부터 영원히 나갈 수 없게 된다. 그는 자신과 외부세계를 차단되는 폐쇄적 공간 에 신체가 갇히게 되고, 몸을 간신히 움직일 만한 공간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탈출을 시도한다. 이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폐쇄의 양상은 도롱뇽이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어찌 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환경이 존재하고 그것과의 투쟁이 운명으로 작용하는 단절된 공간에 갇히게 되는 폐쇄적 양상을 띠고 있다. 그리고 멍청하게 있었던 자신의 실책에서 비롯된 상황이라며 탄식하고 이를 신의 벌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 도롱뇽의 모습에서 자신의 머리가 으로 인해 커져버려 의 출입구에 「コロツプの栓」이 되어 버리고 마는 폐쇄 상황에 놓이게 되는 원인이 다름 아닌 자신에게 있고 자신의 내부로부터 폐쇄적 상황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스스로도 인식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폐쇄된 공간 에 갇히게 된 도롱뇽은 절망감을 느끼게 되고, 이 절망감은 자신의 힘으로 에서 탈출할 수 없다는 무력감으로 변해가게 된다. 하지만 곧 이 무력감을 얼버무리기 위해 허세를 부리는 그는 자신의 운명을 외면하는 현실도피적인 착각과 함께 타자를 부정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받아들이고 지켜나가고자 하는 것으로 변화해 간다. 타자를 조소하고 부정함으로써 얻어진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에 대한 긍정이라는 불완전한 인식은, 외부세계와 외부세계에 편입되어 있는 타자들인 물맴이나 개구리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상징되는 자유를 긍정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세계의 불완전함과 부자유스러움을 인정하고, 그의 절망적인 현실을 정면으로 인식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은 「山椒魚」의 폐쇄 양상은 도롱뇽과 개구리의 갈등을 촉발시킨다. 도롱뇽은 자신과 동일하게 폐쇄된 공간인 에 개구리를 가둠으로써 통쾌함을 느낀다. 하지만 이 통쾌함은 그가 처해 있는 궁지에서 자신을 구원해 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도롱뇽과 개구리는 서로 대치 상태에서 2년을 보내는 동안 서로의 처지와 감정을 이해하게 되어 하기에 이른다는 선행 연구와는 달리 본고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관계가 형성된 그들이 마지막까지 서로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용서를 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이며 양자 간의 거리는 조금도 좁혀지지 않은 채 평행선과 같은 양상을 띠고 있어 양자는 결코 일체화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도롱뇽과 개구리는 본질적으로 고립된 존재이며, 도롱뇽이 지니고 있는 절망감이나 무력감은 타자에게 가탁될 수 없는 것이기에 그 슬픔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夜ふけと梅の花」에서 나타나는 폐쇄는 현실적인 공간과 그 안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의식하는 것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원인을 분명하게 제시하지 않은 「くつたく」 및 「思ひぞ屈した」라고 표현되고 있는 나의 우울하고 침울한 심정은 선행연구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작품이 집필된 시기인 쇼와(昭和) 초기의 지식인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심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인생은 이미 결정되어져 있고, 그로 인해 자신의 힘으로 무엇 하나 변화시킬 수 없는 인생에 대한 권태감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화자인 나와 친구인 田和安夫와 같이 처세술이 뛰어난 인물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무력감이 나에게 폐쇄감을 느끼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夜ふけと梅の花」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은 村山十吉라는 인물과 그에게서 강제로 떠맡게 된 5엔을 둘러싼 나의 번뇌와 갈등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상상 속에서 거대하게 확대되어 나를 위협하며 자신을 지배하기에 이르는 주체가 자신이 깨닫지 못한 사이에 자신이 만들어 낸 <妄想>이라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옭아매던 것의 본질이 자신의 의식 속에서 가공된 대상에 의한 것, 즉 자신의 분신에 의한 고통임을 인식하게 되고, 사실과는 크게 동떨어진 곳에서 번뇌하고 있는 나와 그러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해 나가는 자각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シグレ島の風景」에서는 외부와는 단절된 공간적 폐쇄 즉, 폐쇄의 원인이 외부에 있는 폐쇄 양상이 나타난다. 외딴 섬에서 토끼를 사육하는 伊作와 オタツ는 배의 이름도 국적도 알 수 없는 좌초된 폐선에서 생활하고 있다. 외부와는 단절 된 공간에서 보이는 이들의 생활은 현실에 발을 디디지 못한 불안정하고도 비현실적인 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의 폐쇄 양상은 「山椒魚」와는 그것과는 조금 다르게 나타난다. 이들은 자의로 를 탈출 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하지만 표면상 드러난 공간적인 자유에도 불구하고 섬을 떠나지 못하는 요인은 섬을 탈출하기 위한 방편으로 그들이 사육하게 된 토끼의 소유권에 있다. 소유라는 관념에 의해 다시 폐쇄적인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진다. 더구나 伊作와 オタツ가 벌이는 이라는 형식으로 나타나는 갈등은 그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성립시키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외부와 단절된 섬을 떠나기 위해 토끼를 사육하고, 사육한 토끼의 매매를 둘러싼 <口論>을 통해 伊作와 オタツ의 미묘한 유대관계가 형성된다. 이 유대관계는 다시 그들을 외딴 섬에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다시 그들의 언쟁은 반복된다는 무한루프와 같은 관계가 형성된다.
「屋根の上のサワン」에서의 폐쇄 상황 역시 그 요인이 외부에 있는 것과 등장인물의 내부 세계로 인해 폐쇄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이 함께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나의 명확하게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우울한 심정은 외부세계에 기인 한다기보다는 나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끝을 알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지게 한다. 이러한 우울한 심정을 가탁하게 되는 サワン은 나에게 있어 이 폐쇄된 상황에서 슬픔과 절망을 함께 나눌 대상으로 인식되지만, サワン에게 있어서 나의 존재는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폐쇄상황을 만들어 내는 원인 제공자에 불과하다.
「私」와 「サワン」의 갈등은 이러한 인식 차이에서 기인한다. 양자 간의 본질에 대한 소통이나 해석 없이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해석이 가져오는 관계에서 양자의 관계는 결코 접점을 찾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나에게 또 다른 고독감과 슬픔을 양산해 내고 있다. 또한 サワン이 가슴 깃털 하나 만을 남기고 사라져 버리고 난 후에, 나는 그가 동료들의 날개에 감싸 안겨서 떠나가 버렸다고 상상한다. 자신의 소유물 혹은 자신의 심정을 가탁한 분신과도 같은 존재로서 이름은 부여한 サワン은 나의 마음속에서 언제까지라도 하늘을 날고 있을 것이며, 이것은 나의 심중에서 자유로움을 상징하는 존재인 サワン이 재창조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이상으로 본고에서는 井伏의 초기 작품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폐쇄의 양상은 본고에서 다룬 井伏의 초기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각 작품의 등장인물이 폐쇄적 공간이나 상황에 놓이게 되는 원인이 외부의 영향을 받았거나 직접적인 외력에 의한 폐쇄와 등장인물의 내부 세계가 스스로를 폐쇄된 공간이나 상황에 놓이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되는 폐쇄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었다.
「山椒魚」를 비롯한 본고에서 다룬 작품 모두 이 두 종류의 폐쇄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폐쇄에 대한 심상은 조금씩 그 모습을 달리 하고 있다.
또한, 「山椒魚」에서 「屋根の上のサワン」에 이르는 동안 폐쇄 공간에 갇힌 등장인물의 심상 역시, 절망감에서 화자의 희망을 나타내고 있는 존재로의 재발견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작가 井伏의 절망감이 조금씩 그 모습이 변화해 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두 번째로, 갈등의 양상 역시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자신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존재와의 갈등으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屋根の上のサワン」에서는 자신의 으로 나타나는 자신의 분신과의 갈등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山椒魚」는 타자와의 관계가 평행선을 그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シグレ島の叙景」에서는 서로 간의 을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삼고 있는 형태를, 그리고 「屋根の梅のサワン」에서는 동료들과 떠나간 기러기 대신에, 자신의 상상 속에서 새로운 サワン을 재발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井伏가 초기작품을 집필하던 당시에 가지고 있던 폐쇄감이라고 말할 수 있는 암울하고 우울한 심정 속에서도 타자와의 관계가 조금씩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井伏의 전쟁 체험 및 원폭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 활동에 영향을 주며 井伏의 문학 세계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rch focused on characters who taste sorrow in a confinement situation or similar situation in the early works of IBUSE. Also all of his early works showed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and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and existence to be his other self in a confinement situation. This paper studied a mode of confinement and conflict which appear in his each work : 「Salamander」,「Deep the night and a Japanese apricot tree」,「Sigure island's the description of scenery」,「SWAN on a roof」.
In this paper, two different confinement mode was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based on source of factors. Characters are confronted with the confinement space or situation which was built from the outside or an immediate external factors. Also they are in the confinement space or situation which produced by their inside world itself without outside effects.
Also, this paper described characters' conscious stream direction and conflict pattern between them when they are exposed under confinement situation.
All of his works, including 「salamander」, shows two different confinement mode, but the mental image faced on a confinement is a little bit different.
Cave in the 「Salamander」 and Sigure island in the 「Sigure island's the description of scenery」 are drawn to the isolated confinement spaces and characters in these places showed two different conflicts such as from themselves or from between them.
「Deep the night and a Japanese apricot tree」 and 「SWAN on a roof」explain main reason why speaker feel a confinement from gloomy and depressed situation. This kind of speaker's feeling is very common at the early age of Syouwa on which both books are written.
Also, the characters's feelings under confinement spacs is moved from desperation to rediscoveries of hope from 「Salamander」 to 「SWAN on a roof」
This described that IBUSE's hopelessness changed gradually.
In IBUSE's early work, mode of the conflicts can be divided two different patterns : conflicts from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nflicts from existence itself.
Especially, 「SWAN on a roof」showed the conflict mode with own other self which appered as , and 「salamander」 showed a parallel conflict mode from the relation with the other.
There is conflict form between each other which is tool as communication at 「Sigure island's the description of scenery」, and rediscovers a new 「SWAN」 in own imaginations instead of comrade and left wild geese at 「SWAN on a roof」.
Through thi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rocess gradually to the point of contact from the gloomy and depressed feelings which is early confinement mode in IBUSE's early works.
These changes affected later work activity of various subjects such as war experiences and A-bomb of IBUSE, and were able to achieve a basis of literary world of IBUSE.
- Author(s)
- 송경원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62
- Alternative Author(s)
- Song, Kyoung W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Advisor
- 최연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 3
Ⅱ. 본론 = 10
1. 「山椒魚」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 = 10
1-1. 폐쇄 공간 <岩屋> 와 「山椒魚」의 <發育> = 10
1-2. 폐쇄에 대한 심상의 변화 = 15
1-3. 「山椒魚」와 「蛙」 = 20
2. 「夜ふけと梅の花」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 = 26
2-1. 「私」의 한 심상 = 26
2-2. 폐쇄에 대한 심상의 변화 = 30
2-3. 「私」의 <妄想> = 34
3. 「シグレ島の敍景」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 = 38
3-1. 불안정하고 비현실적인 공간 = 38
3-2. 「伊作」와 「オタツ」의 = 43
4. 「屋根の上のサワン」에 나타나는 폐쇄와 갈등의 양상 = 50
4-1. 「私」와 「サワン」의 폐쇄 = 50
4-2. 「夜更け」의 <いびつな月>과 = 54
Ⅲ. 결론 = 61
參考文獻 =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