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자유탐구교육의 효율적 활용 방안
- Alternative Title
- Study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Free Exploration Education at the Science Field of 7th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 Abstract
- 제 7차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자유 탐구 교육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지도 및 평가 방법을 아래의 과 같이 제시한다.
자유 탐구 교육의 지도 및 평가 방법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창의성은 21세기의 지식 기반 사회에서 살아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학교 과학교육에서 창의성을 기르는데 탐구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자율적으로 탐구하게 되는 자유 탐구는 학생들이 평소 알고 싶어 하던 주제를 심도 있게 탐구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자유 탐구를 여러 명이 협동적으로 진행하면서 협동심을 기를 수도 있고 학교에서 배우는 과학내용이 일상생활과 관련됨을 깨닫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하고 발표하는 경험을 통해 문제 해결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기 교육과정에서 새로 도입되는 자유 탐구가 현장에 효과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위에서 제시한 자유 탐구 지도 및 평가 방법 이외에도 자유 탐구 수업 모형 연구, 자유 탐구 평가 방안 연구, 자유 탐구 효과 연구, 자유 탐구 우수 사례 분석 연구 등 추후 연구가 따라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revision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7th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science in 2009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free exploration which focus on the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indication of basic directions.
Evaluation on the specific mapping methods of the present free exploration amended in 2007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education courses.
In this study, the necessity, the teaching and the assessment method of free exploration in the 7th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were firstly analyzed and 6 estimation procedures such as the selection of subject, the composition of small group, the plan and the execution of exploration, making report and presentation and assessment method as an example of the evaluation for teaching free exploration were propo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quality and the settlement of the free exploration in the school successfully.
- Author(s)
- 배준모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2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64
- Alternative Author(s)
- Bae, Jun—M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이론적 고찰 = 3
1.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3
2.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 6
3. 개정의 기본방향 = 8
가. 창의성 추구를 위한 교육과정 = 8
나. 탐구 수업의 강조 = 9
다. 과학-기술-사회 관련 내용 강화 = 9
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 = 10
마. 정의적 영역 강화 = 10
바.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화·자율화 = 11
사. 교육과정의 구체화 = 12
아. 실현 가능한 교육과정 개발 = 12
4. 자유 탐구 도입의 취지 = 13
Ⅲ. 연구방법 = 15
1. 분석자료 = 15
2. 분석 내용 = 1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0
1.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분석 = 20
가. 편제 = 20
나. 성격 = 21
다. 목표 = 21
라. 내용 = 22
마. 교수·학습 방법 = 25
바. 평가 = 26
2. 자유탐구 도입과 관련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 27
가. 개인차를 고려한 창의성 강조 = 27
나. 개별화 학습의 도입 = 28
다. 필수 탐구활동의 도입 = 28
라. 개념이 중복되는 단원의 통합을 통한 내용의 적정화 = 29
마. 지나친 나선형 교육과정의 축소 = 30
3. 자유 탐구와 관련된 교육과정 진술문 = 31
가. 성격 = 31
나. 교수·학습 방법 = 31
다. 평가 = 32
4. 자유 탐구 지도 및 평가 방법의 예시 = 33
가. 1단계 : 주제 선정 및 소집단 구성 = 33
나. 2단계 : 탐구 계획 수립 = 34
다. 3단계 : 탐구 수행 및 중간 점검 = 35
라. 4단계 : 최종 보고서 작성 = 35
마. 5단계 : 최종 보고서 발표 = 36
바. 6단계 : 평가 = 36
Ⅴ. 결론 = 38
- 참고문헌 - = 4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