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및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과 중심의 비교분석
- Alternative Title
-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Focused on Middle School Science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mended Curriculum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과학과 교육과정을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7차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편제, 시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에서 중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학교와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비하고, 새 교과서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은 과학적 기초 소양 교육과 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교육이라는 기존 철학이나 교육방식을 일관성 있게 강조하면서 실현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성격, 목표 및 평가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개정 방향으로 과학 탐구 활동 강조, 과학-기술-사회 관련 내용 강화, 정의적 특성 계발,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개정 방향에 의해 개발된 교육과정이 실현가능할 수 있도록 시수 확대 및 자유 탐구 도입, 과학 도서 및 과학 논술 교육 강화, 교수·학습 지원 확대, 진로 지도 강화 등 7차 교육과정보다는 현실 여건을 고려한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고학년으로 가면서 현상에서 개념 중심으로 구성하는 제7차 교육과정의 원칙을 따르되 내용 구성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즉, 심화 과정 내용을 삭제하고 수업시수와 실험실 여건을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선별하여 필요한 탐구활동만을 제시함으로써 교과서 집필이나 수업이 지나치게 활동 중심으로 구속되지 않고 내용의 특성과 해당학년 수준에 따라 적절한 학습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기본 내용을 제시함에 있어서 성취수준 형식으로 내용을 서술함으로써 내용의 범위와 수준을 파악하는데 융통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은 내용 구성, 연계성, 난이도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즉, 단원수의 세분화, 과학의 4영역 1/4 균등 분배, 학년별 교육과정의 중복 등에 대해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개정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관련 내용을 유기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관련 단원을 통폐합하여 하나의 단원으로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도입단계나 전환 단계의 연결 내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과학의 4영역별 기계적 안배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하되, 학교 급별로는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7~9학년에서는 학년별 4영역별 단원 수는 1/4 안배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학년별로 비중을 두어 다루는 대영역을 달리 구성하면서, 단원을 구성하는 소영역의 수에 차이를 두어 4영역별 균등 분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용 선정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실생활과 관련된 개념들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단원마다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요소를 포함시켰고, 전 영역에서 STS 교육내용이 강조 되고 있다.
그 밖에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은 학년을 조정하거나 내용 수준을 조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개념의 위계에 맞지 않는 내용요소는 삭제하거나 학년 조정을 하였으며, 이는 동일 학년, 동일 영역, 동일 학교 급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학년, 영역, 학교 급을 달리 하여 최대한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의견과 문제점을 수렴한 결과로 보여 지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이 그 의도대로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정된 교육과정의 의도를 충분히 알릴 수 있는 연수가 실시가 실시되어야 한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이전의 것과 어떻게 다르며 왜 그렇게 바뀌었는지 현장의 교사들이 이해하지 못하면 새로운 교육과정은 현장에 정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이 마련된 뒤에는 그 의도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도록 연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는 대로 교육이 실현될 수 있으려면 그에 상응하는 지원이 있어야 한다. 과학은 탐구 활동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교과이다. 그런데 탐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교육과정에서 탐구를 강조하였다 하더라도 그 실행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제7차 교육과정이 탐구 활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그 취지대로 구현되지 못한 가장 큰 요인이 여건 미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준비 및 정리에 대한 과학 교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주당 수업 시수 경감과 실험 보조 교사 확충, 과학실의 증축 및 개보수, 과학 실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재정 지원, 실험 및 야외 학습에 수반되는 사고에 대한 대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한다.
셋째, 교육과정 내의 내용요소가 증가되어 학습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예견 되는 경우 이를 교과서에 나타낼 때 중요개념을 중심으로 내용요소를 재해석하여 좀 더 전체적인 관점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의 성격이 단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 중심으로 학습요소가 나열된다면 교육과정 수준에서 증가된 내용요소는 교과서 상에서 학습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것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 요소의 전체적인 구조와 학습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교과서 개발에 있어 전제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제시된 과학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 과학 지식을 개인적인 경험에 관련시킬 수 있도록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교육과정 수준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부분·수시 개정 체제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해나가야 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과학 교사의 양성에서부터 과학 교육과정 개정, 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교사 연수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인 과학 교육을 위해 필요한 모든 측면에 대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시 연구 체제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Beginning in 2009, the new and amended curriculum started to be applied first to English and mathematics. As for the subject of science, the new and amended curriculum will be applied consecutively according to school and grade level beginning in 2010. The new and amended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resolve the practical problems of manag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meet the demand of a futur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eek a way to carry out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amended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ew and amend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contents of the amended science curriculum consistently emphasize the conventional education philosophy or method that science education aims at enhancing scientific knowledge and creativity. It is specifically stated in the features, goal and evaluation of the amend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scientific inquiry, reinforces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ed content, develops definitive features and expands autonomy in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2. The contents of the amended curriculum follow the principl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the focus of the contents shifts from phenomena from concepts as grade level goes up. However, autonomy has increased in constituting its contents. That is, in the amended curriculum, contents for advanced course were deleted, and only necessary inquiry activitie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lass hours and laboratory conditions are presented.
3. It was analyzed that the amended curriculum has improved a lo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connectivity and difficulty of contents. That is, lots of improvement has been made in the subdivision of the number of unit, equal distribution of four scientific areas and the repetition of the curriculum of each grade. To begin with, in order to avoid the repetition of content and systematically teach related contents, units were merged. In addition, the contents have been compos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features rather than being constructed according the mechanical division of four scientific areas. Furthermore, the contents were constructed to keep balance according to school level.
Beside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s, efforts were made to reflect concepts related to real life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excessively difficult contents were adjusted to be suitable for grade level.
- Author(s)
- 김기순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교육과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2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65
- Alternative Author(s)
- Kim, Ki So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 Advisor
- 심현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중학교 과학과 교육의 방향 = 5
2.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 7
3.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 12
4.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19
Ⅲ. 연구자료 및 방법 = 26
1. 연구자료 = 26
2. 연구방법 = 26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 27
1.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필요성과 기본방향 = 27
2. 제7차 및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비교 분석 = 33
3. 제7차 및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서술 비교 분석 = 43
4. 제7차 및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내용 상세 비교 분석 = 47
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중학교 '물질'영역 중심)의 문제점 = 54
Ⅴ. 결론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6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