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7년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및 개정 교과서 분석
- Alternative Title
- The Comparison betwee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2007 New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with the Analysis of New Textbook
-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이에 대하여 기본 개정 방향과 내용을 알아보고, 제 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상의 적절성을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2009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될 개정안에 기초한 수학 교과서 8종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교육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과 수학의 가치 제고를 강조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면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또한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가지며 나아가서는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학적 사고, 의사소통,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추가함으로써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보다 수학적 힘 또는 수학적 소양을 한층 더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서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교과서 선정 기준안을 먼저 살펴보고 이에 맞게 교과서가 개정되었는지 보았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단원도입을 위해 생활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을 학습소재로 적절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수학의 가치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조작활동이나 탐구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발견하도록 한 교과서들이 많았지만 문제 만들기와 같은 내용을 수록한 교과서는 부족한 것 같았다.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문제 만들기를 제시하는 횟수를 조금 더 증가시켰으면 하는 바이다. 2007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수학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력을 신장하기 위하여, 사고력 기르기, 의견나누기, 창의적 문제 해결하기 등 다양한 소재나 상황, 문제, 과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였고, 선수학습을 확인하기 위한 노력도, 되짚어 보기, 이전에 배운 것, 미리 알고 들어가기 등 많은 활동들을 제시한 것을 보았다.
교사는 교과서를 통한 수업이 부족함이 없다고 느낄 수 있고, 학생들도 교과서 위주의 학습을 해도 불안하지 않을 수 있는 교과서의 발행이 점차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사항 중 먼저 수준별 수업 운영 권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는데, 수준별 수업은 교육과정 운영에 효과적이고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7차 교육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되었던 운영상의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지 못한 점에 있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준별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나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으로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볼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내용의 추가 또는 삭제 이동 된 부분의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에서는 중학교 1학년 ‘이진법을 덧셈, 뺄셈 삭제’와 중학교 3학년의 ‘무한 소수를 이용한 무한소수 도입 삭제’를 제외한 모든 개정 내용이 적절하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개정 또한 현실 적합한 개정이라는 의견들이었다.
개정 직후의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제 교육좌정이 전면적으로 적용된 이후의 교사들의 인식 또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고, 이후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도 현직 교사들의 의견을 고려할 수 있고 발전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has studied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7 new revision of curriculum and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who apply the new curriculum and are also well aware of the former curriculum in the field about the property of the new curriculum. It has been tried to analyze the mathematical function unit for the first grade based on the kinds of different textbooks revised to apply more of the new curriculum which has practiced since 2009.
It has turned out that the concept of classes matching stunts' abilities itself is welcomed to the teachers, however, the field teachers emphasize the lack of assistance for proper circumstance to lead classes matching stunts' abilities to the desirable result.
It seems that improved environment is essential to get the hoping result which includes offering better public education to students from classes matching stunts' abilities.
The revision of textbooks has made a major change. Not only the deletion of the term 'steps' has enabled the re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for individual grades, but also the 'practice-book' has been expecting to motivate students with the more exciting textbooks published in an effort.
- Author(s)
- 오미연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66
- Alternative Author(s)
- Oh, Mi Ye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 Advisor
- 백영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2.1 수학교육의 목적 = 3
2.2 교육과정 의의 및 교육내용 선정 = 4
2.3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 9
Ⅲ.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 비교·분석 및 교사 인식 조사 = 11
3.1 2007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11
3.2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 소개 = 16
3.3 제 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 비교 = 22
3.4 교육과정 적용의 적정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27
Ⅳ.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한 개정 교과서 비교 = 35
4.1 연구 대상 및 비교·분석 방법 = 35
4.2 연구 내용 = 38
Ⅴ. 결론 = 47
참고문헌 = 4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