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中小企業의 電子商去來 活用成果에 관한 實證硏究
- Alternative Title
- An Empirical Study of E-commerce Performance of China's SMEs : Focus on Firms of Jilin Province
- Abstract
- 본 연구는 중국 길림성 무역업체를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전자상거래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특성, 환경특성 그리고 거래특성으로 나누어 어떠한 요인이 더 많은 영요인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자상거래를 이미 이용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신뢰도분석,
첫째, CEO의 의지가 전자상거래의 직접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기업은 이미 전자상거래가 도입 되었지만 많은 경영자들은 전자상거래의 실제 활용능력이 아직까지 미흡한 점들이 많으며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CEO의 의지가 전자상거래의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EO가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데에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상거래를 도입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업무에 이를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혁신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활용하는 데는 CEO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둘째, 기업의 혁신성이 전자상거래의 간접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자상거래를 위한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새로운 경영방식을 도입하는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획득뿐만 아니라 현재의 정보시스템과의 통합과 단계적으로 조직의 업무 관계와 단계를 맞춰가는 과정도 중요하다. 즉 전자상거래의 관련 활동은 단순한 기술의 도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업무를 변화시켜야 하므로 성급하게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기업능력이 전자상거래의 직접적 성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으며 기초시설이 빈약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인재의 배양과 기초시설의 강화는 현재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넷째, 외부지원이 전자상거래의 직접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본의 부족, 인재의 결핍은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발전의 주요한 애로사항이다. 외부전문가의 기술지원, 기반의 시설의 지원, 자금지원, 유관기관의 인증, 정부의 참여 및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시장기회가 전자상거래의 직접적 성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시장기회는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시장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상대적 저렴한 매체이며 사용자의 공통관심을 집중시키고 공격적인 제품판매가 가능하며 전 세계적인 이미지구축이 가능하여 기업의 인터넷활용을 통한 새로운 시장진입과 운영이 가능하다.
여섯째, 거래기업영향이 전자상거래 활용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거래기업을 통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 하며 진일보 경영전략을 개선하려고 한다. 또한 거래기업은 업무상의 좋은 파트너일 뿐만 아니라 정보기술을 얻을 수 있는 경로이다.
일곱째, 경쟁기업영향이 전자상거래 직접적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중소기업은 생존을 위해서는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시장변화의 형세에 따른 선진적인 경영방식의 도입은 전자상거래의 활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전자상거래 간접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 거래기업간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전략이 필요하며 전략상 거래기업과의 협조가 필요하며 자신의 경영전략상의 개선도 필요하다.
The electronic commerce’s (e-commerc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 China has a great significance, which is a new power of China's e-commerce. As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e-commerce, this article finds out the most important factor improving the development e-commerce among a number of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commerce’s development of SMEs through social surveys.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more efficient decisions in e-commerce.
This article was conducted the surve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rade Company at Jilin Province by e-mail, fax and analyzed data by SPSS. The result shows that in development of e-commerce the business partn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hievement of e-business (direct result, indirect result). Second, consciousness of leaders, ability of enterprises, competition intensity, external support and the influence of competitors cause a direct result on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On the other hand, the innovative capacity of enterprises and Communication indirec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Based on these, it is good for us to make correct decision for the e-commerce development of SMEs.
- Author(s)
- 이본과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lectronic Commerc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usiness partners direct result indirect result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74
- Alternative Author(s)
- LI, BEN K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윤광운
- Table Of Contents
- 제 Ⅰ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 2 절 연구방법 및 구성 = 2
제 Ⅱ 장 관련 문헌 연구 = 4
제 1 절 전자상거래의 정의 및 유형 = 4
가. 전자상거래의 정의 = 4
나. 전자상거래의 유형 = 6
제 2 절 중국 전자상거래 현황 = 7
가. 중국 전자상거래 발전단계 = 7
나. 중국 전자상거래의 정부정책 = 13
다. 중국 전자상거래 현황 = 14
제 3 절 중국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 16
가. 중소기업의 정의 = 16
나. 중소기업에 대한 전자상거래의 의의 = 17
다.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현황 = 18
라.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문제점 = 19
마.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성공요인 = 20
제 Ⅲ 장 연구의 설계 = 24
제 1 절 연구모형과 조작적 정의 = 24
가. 연구모형 = 24
나. 조작적 정의 = 25
제 2 절 연구가설의 설정 = 26
제 3 절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 30
제 Ⅳ 장 실증분석 = 31
제 1 절 표본의 특성분석 = 31
제 2 절 신뢰도 검증과 요인분석 = 32
가. 신뢰도 검증 = 32
나. 타당성 분석 = 33
제 3 절 상관분석 = 37
제 4 절 가설 검증 결과 = 38
가. 가설1의 검증 = 38
나. 가설2의 검증 = 40
다. 검증결과의 요약 = 42
제 Ⅴ 장 결론 = 44
제 1 절 연구의 요약 = 44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46
참고문헌 = 47
설문지 =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