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中島敦의 認識의 樣相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gnitive aspects of by Nakajima Atsushi : Observed in "Light, Wind and Dreams"
Abstract
본고에서는 中島敦의 인식 양상에 대해 「光と風と夢」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실존 인물인 스티븐슨이 남긴 편지 및 각종 기록을 바탕으로, 작가가 재구성한 일기와 해설의 조합이라는 창작 방법상의 특성으로 인해,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주인공 스티븐슨과 작가 中島敦의 관계 정립 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거 실존했던 영국의 작가 스티븐슨이 中島敦의 작품 속에서 새로이 태어난 이라는 점과, 작가 中島敦 또한 작품 속 스티븐슨이라는 인물로부터 문학적, 정신적 영감을 얻고 그 생애의 서술을 통해 스스로도 자유를 획득한다는 점에서 상호간 영향을 미치는 관계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사모아 정착 초기의 스티븐슨은 사모아의 자연과 동・식물, 사람들에게 넘치는 원시의 생명력에 불편함과 낯설음의 인식으로 마주한다. 이 낯설음은 점차 이라는 도식을 상식으로 여기는 일반적인 서양인의 시각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즉 지배자도 白人도 아닌, 사모아에 거주하는 한 사람의 주민으로서 사모아의 환경과 사람들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그들이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 他者性의 시선으로 발전하게 되는 양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스티븐슨의 주변에는 처해 있는 환경과 상황 속에서 각기 다른 다양한 특징을 지닌 사모아인 등장인물들이 존재한다. 먼저 스티븐슨 家의 가축 담당 고용인 ラファエレ로 대표되는 정형화된 사모아인들은, 스티븐슨으로부터 사모아의 풍습, 사모아인의 성향, 그들에 대한 이해하기 어려운 로서의 의문들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들은 스티븐슨으로 하여금 식민지의 異文化를 우월과 열등의 이항 대립적 시선을 배제하고, 스스로의 상식과 가치로 판단하려 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 그에 접하는 자연스러운 태도와 시선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반적인 사모아인들과는 달리 서양의 학문을 습득하고 서구 사회의 미덕을 몸에 익힌 스티븐슨 家의 작업 감독인 ヘンリ・シメレ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그는 식민 지배자와 피 식민지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 식민지 내부로부터 발생한 에 존재하며, 「모방」과 「양가성」이라는 피 식민지인의 특성을 가진 인물이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그는 식민지 지배자들을 언제든 뒤흔들 수 있는 존재가 될 가능성이 내재된 을 품은 인물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작품 속에는 피 식민자로서 전형적인 「모방의 양가성」의 양상을 보이는 マターファ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사모아의 유력자인 그는 오히려 白人들이 가지고 온 식민지 질서인 종교와 납세의 규율을 성실히 받아들인 인물이지만, 白人 지배자들의 이권 다툼 속에서 타의에 의해 白人 정부에 대한 위협적 존재가 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マターファ는 자신의 뿌리인 사모아의 전통적 향연 속에서 스스로의 야심을 확인하게 되고, 전쟁이라는 형태를 통해 白人들에게 실질적인 위협을 가하게 된다. 비록 전쟁에 패해 정권 획득에는 실패하지만, 스티븐슨의 상호적 他者性 획득이라는 중요한 과정으로 연결되는 가교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작품 전체를 통해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土人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작품 속에서 스티븐슨이라는 「白人ツシタラ」의 손에 의해 土人 - 白人이라는 수평적 이항 대립의 구조가 성립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土人이라는 용어를 비하하고 차별할수록 白人도 土人과 운명을 같이 하게 되는 을 일으키는 장치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새로이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작품 속 스티븐슨이 他者性의 시선을 획득하는 양상 및 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상호적 양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스티븐슨의 생활의 장에 관한 극명한 대조적 묘사들의 양상을 통해, 사모아라는 식민지 현실을 살아가는 白人 스티븐슨이 자리하고 있는 의 위치는 그 어느 쪽에도 완전히 속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순한 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는 양쪽 사회 모두를 외면하지 않고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를 모두 끌어안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에서 발생한 으로서의 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작품 속에서 서구 문명으로 무장된 白人들에 의해 열등한 종족으로 이미지화되고 他者化 되어 온 사모아인들은 스티븐슨의 他者性 입각한 시선을 통해 저항의 주체로서 생명을 얻게 되고, 白人들의 오만과 편견에 가득 찬 오리엔탈리즘적 사고와 행위들은 그 추한 실체가 드러나게 되며, 통렬히 비판받는다.
「光と風と夢」에 나타나는 이러한 他者性에 입각한 시선은, 파라오 경험이라는 계기를 통해 일찍이 작품 속 스티븐슨을 창조한 작가 中島敦 스스로의 시선으로 발전한다. 참고 문헌에 의한 간접 체험이 아닌 식민지 지배를 받는 피 식민인들과의 직접적 교류를 통해 쓰여진 작가의 후기 작품의 사실적 모티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幸福」에서는 「光と風と夢」의 스티븐슨이 경험한 꿈이라는 무의식 세계 채널을 통해 白人으로부터 얻은 병에서 해방되고, 지배자의 풍요로운 삶을 박탈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며, 나아가 지배자에게 자신의 것이었던 억압과 고통의 세계를 부여하는 의 은유적 메시지가 나타난다.
「雞」에서는 를 향한 철저한 不可解性의 양상이 나타난다. 작가 中島敦가 파라오에서 직접 그 곳의 주민들을 경험하기 이전부터 이미 그의 인식 속에는 에 대한 확고한 他者性의 시선이 내포되어, 작품 「光と風と夢」를 통해 표출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이 작가의 파라오 경험 이후 쓰여진 「雞」라는 작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발전 가능성을 내포한 형태의 他者性의 시선으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マリヤン」에서는 피 식민인의 육체에 주입된 식민 지배자의 문화가 발현될 때 발생하는 부조화의 양상과, 이 부조화를 바라보는 中島敦의 대상을 알 수 없는 주저, 서글픔의 감정이 담담하게 그려지고 있다. 즉 식민지 사회에서의 현실적인 境界人들의 문제를 바라보는 中島敦의 인식이, 「マリヤン」과 같은 작품을 통해 보다 현실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양상으로부터 작품 「光と風と夢」의 문학적 완성도 및 가치, 그리고 작가의 후기 작품에 미친 영향 등 작품의 의의를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which appears in Nakajima Atsushi's novel 'Light, Wind and Dreams' in relation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at time, colonial era.
'Light, wind and dream' consists of a journey of an English novelist Robert Louis Stevenson (1850-1894) in Samoa during his old age along with the author's explanation. This work by Nakajima Atsushi was completed before he worked as a language editorial officer in Pharaoh, which in 1942, was nominated as Akutagawa award, is undoubtedly the most famous work by Nakajima.
The research on this novel was mainly focused on the separation of themes,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original texts, alteration of the title and the reduction of the content, as well as the conflict in Samoa and the concept of colonies.
In this novel, Nakajima Atsushi examines the attitude of looking at the through the eyes of Stevenson in the colonial environment. Further, after the experience in Pharaoh, the author delivers his own viewpoint about the .
By looking at the 's early settlement in Samoa based on the civilians' depiction of the foreigner and the colonial environment, it is not different to the white people's view of savageness and primitive life which in the end refer to the unfamiliarity of the people in Samoa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amoa.
Especially Stevenson had kept good company with Mataafa who was the strongest candidate among the chief for the king of Samoa. This character of Mataafa simultaneously had two properties of the colonial subject, and , that was quoted from HomiBaba and the Whites as a ruler saw him as a threatening being. Because of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Mataafa, Stevenson became a being not both of a White and a Native. And then he was aware that all of the ruler and the subject in the colony were .
After completion of and experience in Pharaoh, Nakajima Atsushi was free from Stevenson's bondage and had disinterested and realistic views about colony as the eyes of . It incorporated his thoughts, however, so realistic that it seemed to decrease literary pleasure. Because of that, can be revaluate a in depth literary work.
Author(s)
강지연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타자 식민지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76
Alternative Author(s)
Kang, Ji Y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Advisor
최연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선행연구 = 3
Ⅱ. 본론 = 6
1. 「光と風と夢」에 나타난 작가와 주인공의 관계 정립 양상 = 6
2. 로서의 南島表象 = 9
2-1. 原始의 생명력과 褐色의 土人 = 9
2-2. 피 식민인의 樣相 = 13
2-3.「土人」과 「白人」- 용어에서 보는 역 차별의 현상 = 22
2-4. 他者性에 입각한 인식 = 27
3. 와 = 31
3-1. 제 3의 영역으로서의 = 31
3-2. 에서 본 로서의 白人 = 35
4. 「光と風と夢」이후 작품에서의 認識 樣相 = 37
4-1. 「幸福」- 의 은유적 저항 = 39
4-2. 「雞」- 의 不可解性 = 42
4-3. 「マリヤン」- 「모방」의 부조화 = 46
Ⅲ. 결론 = 49
참고문헌 = 5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