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교과서에 나타난 전치사 IN의 의미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the Meanings of Preposition "IN" in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 Abstract
- 본 논문은 이기동(2001)에 따라 전치사 in의 의미를 원형의미에서 확장의미로 설명하고 중·고 영어교과서 2종 12권에서 수집한 1,294개의 자료들을 의미영역별로 분석하고 그 빈도를 파악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들을 파악하였다.
첫째, 중·고 교과서 전체에서 전치사로 사용된 in은 97.9%이고, 부사로 사용된 in은 2.1%로 나타났다.
둘째, 전치사의 의미영역별 전체 빈도는 공간적 원형의미가 전체의 45.7%, 그 다음 추상적 영역 25.7% 그리고 시간적 영역 16.5% 순이였는데 이 세 영역이 전체 빈도의 87.9%를 차지하였다.
셋째, 확장의미로는 추상적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야기, 말, 책, 감정, 상황 등 다양한 추상적 명사와 골고루 쓰였다. 다음으로 빈도가 높은 시간적 영역은 그 중 연도를 나타내는 것이 가장 높이 쓰인데 반해, 계절을 나타내는 쓰임은 예상보다 빈도가 아주 낮았다.
넷째, 공간적 원형의미를 의미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국명, 도시명 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확장의미의 반복, 부사적 용법의 거래, 계획과 거래 영역 의미에서는 전치사 in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중·고 교과서 비교에서는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약3배나 많이 사용되었다.
공간적 원형의미가 중등에서는 44.1%, 고등에서는 46.2%로 고등교과서에서 빈도가 약간 높았고, 시간적 영역이 고등 교과서보다 중등 교과서가 20.3%로 4.9% 만큼 쓰임이 많았다. 다음으로는 추상적 포함이 중학교와 고등 교과서 유사한 빈도를 나타냈고, 활동 영역 의미는 고등교과서가 약간 더 높았다. Y가 동작인 경우는 고등 교과서가 2.9%로 중학교 교과서의 1.5%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황이나 맥락 속에서 추측 가능한 의미의 부사는 고등학교에서 17번 쓰여, 중학교에서 단 1번 쓰인 것과는 크게 대조를 이루었다. 따라서, 전치사 in의 기본의미인 즉 공간적, 시간적 영역은 중등이 높은데 반해, 그 외에 확장적 의미와 부사적 용법 쓰임은 고등교과서 약 39%로 중등의 약 36%보다 3%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Y(지표)가 생략되고 X(탄도체)가 있는 부사적용법의 전치사 in 경우가 고등이 23(2.4%)로 중등 3번(0.8%)보다 3배 높게 나타났다.)
두 출판사별 비교에서는 두산(김) 출판사는 공간적 원형, 추상적 영역, 시간 영역과 같은 영역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고, 금서 출판사는 활동영역, Y가 동작인 경우, 개입.참여 영역 등과 같은 확장의미영역에서 다소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부사적 용법의 in은 두 출판사가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전치사 in의 의미를 다양한 예문을 통해서 원형적 의미에서 확장적 의미 순으로 좀 더 체계적인 순서로 교사의 학습 방안이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전치사 in의 개별 영역별의미의 이해와 더불어 그 외의 전치사들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좀 더 원활한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치사 기본 의미를 토대로 의미적 확장을 이해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된다면 학습자들의 전치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e and extended meanings of the preposition "in" and its usages in the English usages according to cognitive analysis. Firstly, it is examined what the prototypical meaning of "in" is and how it is related to its extensional meanings, including its adverbial usages.
The data used in the 12 different English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otally 1,294 tokens, 340 from middle school textbooks and 954 from middle school textbooks, are analyzed and count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the preposition "in" by its basic and extended meanings.
The basic meaning 'inclusion' is extended to 11 different meanings, which are shown as time, abstract inclusion, activity, wearing, participation, Y+ing, concession, situational adverb, borderline, the environment, and gathering in terms of Y. Among them, a prototypical meaning, time, and abstract inclusion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anings both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Compared to the high school textbooks,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re used the higher frequency of time, wearing, participation, and concession.
In conclusion, the most usages in the textbooks were too restricted to a few meanings that the learners will have few chances to come across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textbooks. For this reason, they may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analogizing the relations of the core and extended meanings of the prepositions.
- Author(s)
- 최진희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3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77
- Alternative Author(s)
- Choi, Jean H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전춘배
-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구성 및 제한점 = 3
제 2장 이론적 배경 = 4
2.1 원형 의미 = 4
2.2 전치사 in의 확장의미 = 7
2.3 부사적 용법 = 15
제 3장 중·고 교과서 분석 및 논의 = 22
3.1 자료출처 및 분석 방법 = 22
3.2 의미 영역별 사용 빈도 = 23
3.3 중·고 교과서 비교 = 31
3.4 출판사별 비교 = 33
제 4장 결론 = 35
참고문헌 = 3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