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교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서의 하위 수준 학생들을 위한 교수-학습지도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Low Leveled Students in the Level-Based Class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과정에서 수학 교과에 대한 수준별 수업을 경험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준별 수업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학교 대수영역 중 ‘문자와 식’ 단원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내용과 그 이유와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수학과목에 대한 흥미와 흥미있는 수학학습을 위한 개선점을 조사하여 이 내용들을 토대로 보충반 학생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들을 주로 다루는 활용단원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차방정식의 활용, 연립방정식의 활용, 부등식의 활용,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등의 단원들이다. 이 단원들은 각 내용의 기초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능숙하게 문제를 풀이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쉽게 해결 될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 1학년에서 미처 다 해결되지 못한 부분이 중학교 2학년에서 다시 누적되고, 중학교 2학년에서 또 해결되지 못한 부분이 중학교 3학년에 누적되어 그 어려움은 계속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어려움들이 특별히 학습동기가 낮은 보충반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 학습을 더 멀리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보충반 학생들을 위한 중학교 수학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보충반 학생들의 흥미, 동기유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특별한 문제 제시 방법이나, 재미있는 평가문제를 활용한다. 많은 학생들이 재미있는 수업을 원한다는 설문조사 결과와 같이 딱딱한 기존수업방식에서 벗어나 특별한 제목의 재미있는 평가 학습지나, 인기있는 TV프로그램의 방식을 그대로 만든 문제풀이 게임시간 등을 활용하여 수학시간은 재미있다는 생각을 심어주어야 한다.
둘째, ICT(Information Communition Technology)를 수업 여러 부분에서 적절하게 활용해야한다. 학습동기가 심화반 학생들에 비하여 눈에 띄게 낮은 보충반 학생들은 집중할 수 있는 시간도 심화반 학생들에 비하여 짧다. 따라서 동영상이나 음악파일, 또는 GSP, PPT등을 활용하여 시각과 청각을 자극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각 학년의 ‘문자와 식’에 항상 등장하는 활용단원처럼 처음 제대로 학습되지 못하면 매 학년 어려움이 반복될 수 있는 부분들은 그 학년이 끝나기 전에 제대로 학습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활용 단원을 들어가기 전에 방정식이나 부등식의 풀이가 잘 해결되어지는지 사전 평가를 시행하여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은 개별지도를 하거나 과제를 부여하여 단원이 넘어가기 전에 문제의 풀이가 잘 해결되도록 한다. 또한 문장제 문제를 부담스러워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의 활용문제를 제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넷째, 보충반 학생들은 심화반 학생들에 비하여 교사의 개별적인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하지만 수업시간이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수업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며, 발표, 질문 및 토론으로 학생 스스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수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충반 학생들이 열등의식을 갖지 않도록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는 발언이나 늘 서로 칭찬하고 학생들 각각의 의견을 귀 기울여 주는 교사의 자세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their awareness of level-based classes about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us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ways for low level students.
Especially, the survey was mainly on the first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who had attended the leveled-based math class, especially algebra.
Also, after the level-based education of revised seventh curriculum was studied. 'Optimal Discrepancy' of Piaget an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Scaffolding' of Vygotsky which are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ere studied.
The result of the survey is questionable and thus is difficult to make a generalization because it was conducted with 139 students. However,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level-based classes are shown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Author(s)
조정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수학과 수준별 수업 교수-학습지도 방안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4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80
Alternative Author(s)
Jo, Jung-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Advisor
심효섭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2.1 Piaget의 적정 수준의 불균형 이론 = 4
2.2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 · 비계 설정 이론 = 5
Ⅲ. 우리나라 수준별 교육의 실태 = 7
3.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 = 7
3.2 수준별 수업 = 10
Ⅳ. 설문조사 내용과 결과 분석 = 14
Ⅴ. 교수-학습지도 방안 = 27
5.1 지도상의 유의점 = 27
5.2 본시 수업 지도안 (예시) = 33
5.2.1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 34
5.2.2 8-가 '문자와 식' 단원 = 48
5.2.3 9-가 '문자와 식' 단원 = 56
Ⅵ.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