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생의 영어 읽기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English Reading Strategies' U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 3학년이 영어로 된 글을 읽을 때 여러 영어 읽기 전략을 두루두루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한다고 답한 영어 읽기 전략은 정의적 전략으로 영어로 된 글을 읽고 이해했을 경우 느끼는 ‘자기 만족감(평균: 3.73)’이었고,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 전략으로 평소에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영어권 문화에 대해 알아보는 ‘문화적 배경 지식 활용(평균: 2.16)’이었다. 그리고 읽기 전략 범주별로 봤을 때, 보상 전략(평균: 3.55)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인지 전략(평균: 3.12), 정의적 전략(평균: 3.00), 상위인지 전략(평균: 2.88), 사회적 전략(평균: 2.76) 순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또한 상/하향식 읽기 전략으로 구분했을 경우 상향식 읽기 전략(평균: 3.19)을 하향식 읽기 전략(평균: 3.06)보다 조금 더 빈번히 사용한다고 보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남/여 성별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 차이는 영어 읽기 전략 전체로 보나 읽기 전략 범주별 또는 상/하향식 읽기 전략별로 보나 모두 유의확률이 유의수준 0.05를 훨씬 웃돌고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남/여 성별에 따라 영어로 된 글을 읽을 때 사용한다고 답한 영어 읽기 전략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 영어 읽기 능력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에 대한 결론은 영어 읽기 능력에 따라 영어 읽기 전략 사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유의확률 0.00)를 보이고 있다. 즉, 영어 읽기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영어 읽기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보다 영어 읽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 읽기 능력에 따라 읽기 전략 범주별과 상/하향식 읽기 전략별 사용 빈도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했을 때 모두 동일한 순(보상, 인지, 정의적, 상위인지, 사회적 전략 순)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 읽기 경험과 영어 읽기 경험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의 차이는 영어 읽기 능력과 마찬가지로 유의한 차이(유의확률 0.00)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말해, 한국어/영어 읽기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경험이 적은 학생들보다 영어를 읽을 때 더 많은 영어 읽기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 읽기 경험과 영어 읽기 경험 중에서 영어 읽기 경험이 영어 읽기 전략의 사용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0.603)를 가지고 있으며, 그 효과 크기(1.249)도 한국어 읽기 경험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어 읽기 경험보다 영어 읽기 경험이 영어 읽기 전략 사용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nglish reading strategies' u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especially the third year, and to probe the relations between the uses and several learner variables: gender, English reading proficiency, and amount of Korean or English reading experience, in order to devise and conduct the mor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centered instruction. One hundred and ninety four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s in Busan were selected in random mode, and participated in answering the questionnaire: it was constituted by three parts- one about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nother about reading experience, and the other about the English reading proficiency in the form of cloze test. The 36 questions of reading strategies were revised, chosen from 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 of Oxford(1990).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and by Cohen's effect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said that they use the "self-satisfaction(affective strategies)" most frequently but the "application of background knowledge(social strategies)" the least. In terms of five reading strategies categories,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y was compensation strategies, followed by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in order, and the least was social strategies. The top-down strategies was used a little more often than the bottom-up strategies. Second, Among the learner's variable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s of reading strategies with gender, but the other variables, English reading proficiency and reading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meaningful differences, and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experience, the former had more strong relations with the uses of strategies than the latt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rstly, the learner's variables should be analyzed more carefully and closely so as to be possible for instructors to ascertain the sore spots of students and the parts that need directions. Secondly, the effective programs for reading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with the complementary ways of using the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m.
Author(s)
김지혜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 읽기 전략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4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84
Alternative Author(s)
Kim, Ji-Hy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오준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과제 = 4
1.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2.1 읽기 과정 = 5
2.1.1 읽기의 정의 = 5
2.1.2 읽기 과정 모형 = 7
2.2 외국어 학습 전략 = 11
2.2.1 외국어 학습 전략의 정의 및 중요성 = 11
2.2.2 외국어 학습 전략의 분류 = 12
2.3 읽기 전략 = 14
2.3.1 읽기 전략의 정의 및 중요성 = 14
2.3.2 읽기 전략의 분류 = 15
2.3.3 읽기 과정 모형에 따른 읽기 전략 = 20
2.3.4 읽기 전략 사용과 읽기 능력간의 관계 = 22
2.3.5 읽기 전략 사용과 여러 학습자 변인들과의 관계 = 24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26
3.1 연구 참여자 = 26
3.2 연구 도구 = 26
3.3 자료 수집 절차 = 29
3.4 자료 분석 = 30
Ⅳ. 결과 및 논의 = 32
4.1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 분석 = 32
4.2 성별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 분석 = 37
4.3 영어 읽기 능력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 분석 = 42
4.4 한국어/영어 읽기 경험에 따른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빈도 분석 = 48
Ⅴ. 결론 및 제언 = 54
5.1 결론 = 54
5.2 제언 = 55
참고문헌 = 57
부록 = 63
부록 1 영어 읽기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지 = 63
부록 2 한국어/영어 읽기 경험에 관한 설문지 = 66
부록 3 영어 읽기 능력 측정을 위한 빈칸 메우기 테스트 = 6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