챈트가 초등학생들의 영어 강세 인지 및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Cha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tress Recognition and Listening Ability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챈트를 활용한 영어 강세 리듬 중심의 듣기 수업을 초등 교실 수업 현장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강세 인지와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집단에게만 챈트를 활용한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이전·이후에 치러진 강세 인지 평가와 듣기 평가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챈트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강세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강세 인지 점수가 유의한 수준에서 향상하였다. 이는 챈트를 활용한 영어 강세 학습이 학습자가 영어 리듬에 익숙해지게 하며 초기 학습자들이 영어 강세 리듬을 인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둘째, 챈트를 활용한 영어 수업은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었다. 실험 집단은 듣기 평가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결국 챈트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강세 리듬 인식은 물론 듣기 능력의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챈트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설문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및 듣기 태도가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챈트를 활용한 영어 강세 중심의 듣기 수업을 초기 영어 학습자에게 실시하였을 때, 영어 강세 인지와 듣기 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므로 챈트를 통한 듣기 학습은 단순히 CD를 활용한 듣고 따라하는 영어 수업에 흥미와 주의집중을 가져와 아동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리듬 중심의 듣기 수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챈트를 선정함에 있어 교사의 충분한 연구와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과 정의적 성향을 고려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춘 적절한 챈트의 선정과 활용이 요구된다.
둘째, 영어 수업에서 챈트를 활용함에 있어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이 행해져 다양하고 창의적인 지도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챈트가 단순히 동기 유발이나 흥미로운 학습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넘어, 듣기와 말하기 등의 통합적인 언어 기능을 연습하고 익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수준이 다양하고, 학교급 별로 학습 환경이나 가정 환경 등의 차이가 많이 나는 교육적인 상황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챈트를 학생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히 교과서에 제시된 챈트를 그대로 활용하기 보다는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적절히 변형하거나 제작하려는 노력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과서에 제시된 챈트의 적용 빈도에 대한 논의 역시 함께 해야 할 것이다. 현행 교과서에는 4차시로 구성된 매 단원 중 3, 4학년은 2차시마다 학습하도록 되어 있고, 5학년은 16개 단원 중 6개 단원에, 6학년은 4개 단원에만 챈트 활동이 들어있다. 이처럼 학년이 올라갈수록 챈트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데, 챈트가 영어 강세 인지 및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만큼 교육 과정을 구성함에 있어 챈트의 적용 빈도에 대한 보다 깊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rhythm using chants on fifth graders' stress recognition and listening ability.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for eight weeks with 60 fifth graders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have been taught with chants focusing on English stress-timed rhythm while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have been controlled. To analyze the effects of using chants on stress recognition, listen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pre-test and post-test have been also conducted.
Based on the data earned by tests and questionnair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ess recognition ability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Therefore using chants ha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recognition of English rhythm.
Second, teaching English using chants has improved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have been motivated by learning English using chants, and they have also shown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uggested, the use of chants in teaching English stress-timed rhythm for fifth graders is effective in improving listening skills and prompting motivation for further learning.
For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chants in elementary classroom, it is needed to take more consideration int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chants and adoption of various and creative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students' linguistic abilities and intellectual levels.
- Author(s)
- 김은인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초등영어교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5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91
- Alternative Author(s)
- Kim, Eun 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윤희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과제 = 3
1.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2.1 의사소통능력과 영어 강세 리듬 = 5
2.2 영어 강세 지도 방법 = 10
2.3 선행연구 = 17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21
3.1 연구 참여자 = 21
3.2 연구 도구 = 24
3.3 연구 절차 = 27
3.4 자료 분석 = 35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37
4.1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 = 37
4.2 연구 결과 = 38
Ⅴ 결론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7
부록 =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