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학교 축구스포츠클럽지도교사의 리더십 행동 유형이 선수 심리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Leadership Style on the Player's Psycholog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cer Club
- Abstract
- 본 연구는 초·중학교 축구스포츠클럽에 참가하는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교사의 리더십 행동 유형이 선수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리더십 행동 유형은 학교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나. 선수들의 심리는 학교급별, 포지션별, 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1) 선수들의 심리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가?
(2) 선수들의 심리는 포지션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선수들의 심리는 운동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다. 선수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1)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2)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3)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4)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초·중학교 축구스포츠클럽에 등록된 팀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5개 지역교육청(해운대, 동래, 서부, 남부, 북구)의 각 3팀으로 표집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초·중학교별 리더십 행동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실시하였으며, 또 배경 변인별로 선수들의 심리(불안, 자신감, 성취동기, 집단응집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중 초·중학교별 심리 차이는 T검증, 포지션 및 경력별 심리 차이는 일원변량분석(Scheffe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여러 독립변수들과 하나의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리더십 행동 유형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행동 유형은 학교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 유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행동 유형에서는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아,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보다 지도교사를 민주적 행동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권위적 행동 유형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중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아, 초등학생들이 중학생보다 지도교사를 권위적 행동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적 피드백 행동 유형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중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아, 초등학생들이 중학생보다 지도교사를 긍정적 피드백 행동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리더십 유형인 훈련과 지시 행동, 사회적 지지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중학생들은 지도교사를 초등학생보다 민주적 행동 유형으로 인식하고, 초등학생들은 중학생들보다 권위적 행동 유형과 긍정적 피드백 행동 유형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둘째. 선수들의 심리는 학교급별, 포지션별, 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1) 선수들의 심리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가?
선수들의 심리 중에서 집단응집력만 학교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선수들의 심리인 불안, 자신감, 성취동기 중에서는 학교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선수들의 심리는 포지션별로 차이가 있는가?
선수들의 심리 중에서 불안을 제외한 자신감, 성취동기, 집단응집력 순으로 포지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또한 사후검정 결과 자신감, 성취동기, 집단응집력에 공격수와 수비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 중 자신감은 미드필더와 수비수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선수들의 심리는 운동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선수들의 심리 중에서 불안을 제외한 자신감, 집단응집력, 성취동기 순으로 운동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또한 사후검정 결과 자신감, 성취동기, 집단응집력 모두는 운동경력 3년 이상과 1년 미만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그 중 자신감은 3년 이상과 1년 이상 - 2년 미만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1)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불안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권위적 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리더십 행동 유형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자신감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피드백 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리더십 행동 유형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성취동기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첫번째로 긍정적 피드백 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번째로 훈련과 지시 행동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리더십 행동 유형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집단응집력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첫번째로 훈련과 지시 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번째로 사회적 지지행동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리더십 행동 유형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cer club teachers' leadership behavior type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That is,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ut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affected anxiety, confid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hesion of the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61 students who consisted of 245 elementary and 316 middle school students - from 15 elementary and 17 middle school teams. All the teams are registered in the Busan Sports Club.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Slightly modified LSS (Leadership Scale for Sports) developed by Chelladurai and Saleh(1978) and translated by Kim Byeong-hyeon(1990) was used for leadership behavior types of soccer club teachers. Slightly modified CSAI-2 developed by Martens, was used for anxiety and confidence among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The modified program developed by Willis (1982) and translated by Jeong Yong-min (1994), was used for achievement motivation. The questionnaire by Lee Han-gyu (1992), based on GEQ by Carron, Widmeyer and Brawley (1985) was used for Cohes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ⅲ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leadership behavior types by school gra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more delicate and democratic leadership is needed to co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more compliments are bett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2. Concerning leadership behavior types which affect students, autocratic behavior must be used rarely because it causes great anxiety. Positive feedback behavior is needed to improve students' confidence. Positive feedback behavior and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re needed for achievement motivation.
3. Concerning the psychology of students by school grad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oncerning future positions and careers, it turned ou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slightly higher cohesion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turned out that forward thinkers have higher confid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hesion more than defenders. For this reason, teachers must coach students through positive feedback behavio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ehavior to build confid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hesion. Since confid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hesion depend on careers, coaching student’s early helps students perform better.
- Author(s)
- 설헌택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학교 축구스포츠클럽 리더십 행동 유형 선수 심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07
- Alternative Author(s)
- Seol, Heon Tae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 Advisor
- 원효헌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2
3. 용어의 정의 = 3
4.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리더십 정의 = 7
2. 리더십의 이론적 접근 = 8
3. 스포츠 경기력 요인 = 29
4.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 30
Ⅲ. 연구 방법 = 51
1. 연구 대상 = 51
2. 측정 도구 = 52
3. 자료 수집 절차 = 54
4. 자료 분석 = 5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6
1. 학교급에 따른 리더십 행동 유형의 인식 차이 = 56
2. 배경변인에 따른 선수들의 심리 차이 = 58
3. 선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행동 유형 = 62
Ⅴ. 요약 및 결론 = 68
1. 요약 = 68
2. 결론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9
부록 =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