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의 학교조직효과성 관련 변인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GANIZATIONAL EFFICIENCY RELATING VARIABLES
- Abstract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 동안 교사경력과 같은 배경변인과 조직갈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있었다. 그러나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해서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의 세 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개인변인으로서의 교사경력, 교사발달과 조직변인으로서의 조직갈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밝히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문제 또는 연구가설
[연구문제 1] 초등학교 교사의 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 조직효과성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초등학교 교사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경력과 교사발달에 대한 인식 및 조직갈등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부산광역시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학교 급지와 규모를 고려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15개교를 무선 표집하였다. 총 240부를 배부하고, 204부를 회수하였다. 조건에 해당되지 않거나 불성실한 38부를 제외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 204명중 남99명(48.5%), 여105명(51.5%)이었다.
2. 측정도구
가. 교사발달 - 양정희(2005) 교사발달 검사 개발→ 김태련(2007) 이 수정·보완한 것 사용
나. 조직갈등 - Gerhardt(1971) 갈등 측정 질문지 개발→ 김지희(1998) 조직갈등과 관련되는 요인을 관리자와의 갈등, 동료교사와의 갈등, 학생과의 갈등, 행정직원과의 갈등의 4개영역으로 정하고, 23개 문항으로 구성한 것을 사용
다. 학교조직효과성 - 신재흡(2002) 학교조직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직무만족, 조직 적응성, 조직 생산성의 3개의 하위 영역으로 정하고 21개 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
3. 연구절차
가. 예비조사 - 2008년 9월 15일 실시, 10명 대상, 분석 대상 남 6명, 여 4명, 계10명
나. 본조사 - 2008년 10월10일부터 10월30일까지 3주간에 걸쳐서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내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이를 회수함.
4. 자료분석
가. 연구문제 1 - 초등교사 교사의 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검증을 하였다.
나. 연구문제 2 - 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의 설명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의 하위영역을 투입변인으로 설정하여 단계투입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가. 연구문제 1 - 학교조직효과성은 교사경력, 교사발달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갈등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연구문제 2 -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관련변인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의 전체적인 경향은 관리자 갈등, 교직발달, 동료갈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조직효과성 하위 요인에 대한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의 전체적인 경향은 직무만족은 교직발달, 조직생산성은 관리자 갈등, 조직적응성은 동료 갈등이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조직효과성 관련 변인으로는 교사경력, 교사발달, 조직갈등이 있다. 교사 경력, 교사 발달은 정적으로, 조직 갈등은 부적으로 조직효과성과 상관이 있다. 학교조직효과성 관련변인의 하위변인 중 관리자 갈등이 가장 설명력이 크며, 다음으로 교직발달, 동료 갈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ng variables on organization effici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areers, the stage of their teaching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2. How much do teachers’ careers, their stage of teaching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nflict affect organizational efficien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Pusa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2.0. Pearson’s product-moment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analyzed. Researcher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eers, stage of teaching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Furthermor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ly,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conflict with administrative staff, the stage of teaching development, and conflict among teachers account for 44.3%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Researchers concluded that reducing conflict with administrative staff and conflict among teachers could enable an increase in organizational efficiency.
- Author(s)
- 최연재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5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95
- Alternative Author(s)
- Choi, Youn Jea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 Advisor
- 이경화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용어의 정의 = 4
가. 학교조직효과성 = 4
나. 교사발달 = 4
다. 조직갈등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학교조직효과성 = 6
가. 학교조직효과성의 개념 = 6
나. 학교조직효과성의 모형 = 8
다. 학교조직효과성의 측정 = 13
라. 학교조직효과성 관련 선행연구 = 17
2. 교사발달 = 20
가. 교사발달의 개념 = 20
나. 교사발달모형 = 22
다. 교사발달 관련 선행 연구 = 32
3. 조직갈등 = 36
가. 갈등의 개념 = 36
나. 갈등에 대한 관점 = 38
다. 조직갈등의 요인 = 41
라. 조직갈등 관련 선행연구 = 45
Ⅲ. 연구방법 = 47
1. 연구 대상 = 47
2. 측정도구 = 48
가. 교사발달 = 49
나. 조직갈등 = 50
다. 학교조직효과성 = 51
3. 자료처리 = 52
Ⅳ. 연구결과 = 53
1. 초등교사의 경력과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발달,조직갈등,조직효과성의 정수분포 = 53
2. 초등학교 교사의 경력,교사발달,조직갈등,조직효과성 간의 상관관계 = 55
3. 조직효과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력 및 교사발달,조직갈등의 영향력 = 56
Ⅴ. 논의 및 결론 = 60
1. 논의 = 60
2.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