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 교과서 문화배경 및 문제점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 Abstract
- 인류가 생겨나면서 인간은 의사소통과 상호 작용을 위해 언어를 사용해왔다. 언어는 단순히 발화 되는 문장뿐만이 아니라 언어와 함께 일어나는 행동양식도 포함하며 이러한 언어의 기저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의식도 포함되어 있다. 즉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그 국가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배경을 바탕에 두고 있다.
언어는 그 나라의 오랜 역사와 함께 형성되어 온 문화의 산물로서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른 나라의 언어를 학습하고자 할 때에는 언어 자체뿐만 아니라 그 언어에 내포된 문화적 배경까지도 함께 익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나라 초등 영어의 학습 목표는 '의사 소통 능력의 향상'에 있다. 이 기본 목표와 더불어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 이해와 교류'라고 하는 큰 틀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 과정 초등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첫째는 문화 내용과 문화적 배경이 어떠한가를 조사하고 둘째는 교사용 지도서에 소개된 문화 자료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에서 배경 국가별로 문화 내용을 살펴본 결과, 3학년은 총 8단원으로 보편적 문화 87.5%, 문화 대조가 12.5%로 나타났으며, 4학년은 총 8단원으로 보편적 문화가 75%, 문화 대조가 25%로 나타났다. 5학년은 16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처음으로 한국 문화 배경이 등장해있는데 한국 문화가 25%, 보편 문화가 75%를 차지하였다. 6학년도 16단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영미 문화 18.8%, 문화 대조 18.8%, 보편 문화가 62.4%를 차지하였다.
전체 교과서 분석 결과 한국 문화 8.3%, 영미 문화 6.3%, 문화 대조 12.5%, 보편 문화가 72.9%를 차지 하였다. 보편적인 문화가 72.9%로 압도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영어 교육을 처음 접하는 초등 영어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영미 문화가 6.3% 밖에 차지하지 못한 것은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영미 문화의 비중을 좀 더 확대하는 것이 문화이해를 바탕으로 한 언어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문화 자료를 살펴 보았을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볼 수 있었다. 문화적 내용이라기 보다는 언어적 요소로 보아야 하는 요소가 전체 문화 항목 125항목 중 40항목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중복되는 문화 내용도 20항목이나 등장해 문화 교육의 가장 어려움인 시간 부족을 감안 할 때 시간적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초등학생에게 어려운 수준, 최근 정보로의 수정이 필요한 항목은 9개 항목, 제시방법이 부적절한 항목은 9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영어 교육을 위해서 문화 교육을 더불어 해야 된다는 것이 많은 학자들과 교육 인적 자원부의 주장이지만 처음으로 문화 교육을 실시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만족할 만한 내용이 수록 되지 못했다. 교재에 소개된 문화적 배경과 제시된 문화 항목들이 좀더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2010년에 맞이 하게 될 제 8차 교육 과정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영어 교육 중 문화 교육을 지도 하기에 적합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ltural contents in English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Culture is inseparable from language. Understanding culture is a powerful key to achieving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To improve the ability of speaking English, it is necessary to study culture because it reflects the way of thinking, life, custom, and social manners of people.
This thesis analyzes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 and unsuitable cultural elements of the teacher’s guidebook from the third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is found from this study that universal culture is comprehensively seen many times(72.9%) in the English textbook while Korean culture(8.3%), English culture(6.3%), and cultural contrast(12.5%) are rarely seen. It is necessary to handle more about English-related culture for understanding English in textbook. In the teacher’s guide book, 40 elements out of 125 cultural elements are not suitably used. Our belief is that more relevant cultural topics need to be provided for the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We need to understand not only language itself but also its cultural contents f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 Author(s)
- 이정화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초등영어 문화배경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97
- Alternative Author(s)
- Lee, Jung Hwa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김은일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과제 및 방법 = 3
1.3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6
2.1 문화의 개념 = 6
2.2 문화와 언어 = 9
2.3 초등학교 영어교육과 문화 교육 = 14
Ⅲ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문화배경 분석 = 17
3.1 각 학년 문화배경 분석 = 17
3.1.1 3학년 문화배경 분석 = 17
3.1.2 4학년 문화 배경 분석 = 20
3.1.3 5학년 문화 배경 분석 = 23
3.1.4 6학년 문화 배경 분석 = 27
3.1.5 전 학년 문화 배경 분석 = 32
3.2 교사용 지도서 문화자료 분석 = 33
3.2.1 각 학년에 소개된 문화자료 = 33
3.2.2 문화자료로서의 문제점 = 40
Ⅳ 결론 = 53
참고문헌 = 5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