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6학년 확률과 통계영역에서의 ICT 활용 수업의 효과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n Effects of the ICT Instruction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In the Area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its
- Abstract
- 본 연구는 6학년 수학과 ‘확률과 통계영역’에서 ICT활용 수업이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얼마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가 실시되었다.
1. 6학년 수학과 나단계 교과서에서 ‘확률과 통계영역’의 학습 내용을 분석한다.
2. ICT를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모형을 탐색하고 6학년 수학과 나단계 ‘확률과 통계영역’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한다.
3. 6학년 수학과 나단계 ‘확률과 통계영역’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한다.
6학년 수학과 나단계 교과서에서 확률과 통계영역은 경우의 수 단원으로 수학과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 단원에 대한 학습 내용을 분석한 후, 교내 단원진단평가를 통하여 동질집단임이 입증된 두 개 반에서 한 반은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하였고, 다른 한 반은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사후에 단원평가를 실시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B초등학교 6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 2일부터 2009년 5월 31일까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6학년 수학과 나단계에 확률과 통계영역은 경우의 수 단원으로 총 9차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단원은 ICT활용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부산 사이버스쿨과 인천 과학교육연구원 초등멀티학습지원이 다양한 동기유발 플래시 자료와 주사위, 동전 던지기와 같은 번거로운 활동들을 수십 번 하는데 편리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수업 전·후 시험점수의 차이에 대한 산술평균이 각각 23.17점과 14.00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9.17점 높았다. 또한 ICT 활용 수업이 기존의 전통적인 교수 방법으로 가르치는 수업보다 더 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여 보니 t-검정통계량이 2.22, p-값이 0.016이 나왔다. 즉, 유의수준 5%에서 수업 전·후의 시험점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6학년 수학과 나단계 확률과 통계영역에 ICT활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6학년 수학과 나단계 확률과 통계영역 ICT 활용 수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ICT활용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들이 많지만 현장 적용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을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만들어 현장에 보급함으로써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2. 수학 수업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진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컴퓨터실이나 수학체험교실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학을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application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e of various teaching media for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mathematics, has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For this, Sixty 6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CT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6th grade mathematics. because Busan cyber school(http://cyber.busanedu.net/) and Incheon education science institute(http://edu-i.org/edu/edu_sw/index.html)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simulation program as throw a die and coin.
Second, as results of analysing the learning effects, the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lessens of the experimental vs. control groups were 23.17 : 14.00. The t-test that compared the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ed in t=2.22, which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at the five-percent significance level.
Therefore,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ICT application instruction in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 Author(s)
- 박창호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확률 통계영역 ICT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99
- Alternative Author(s)
- Park, Chang 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 Advisor
- 장대흥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1.2 연구문제 = 3
1.3 연구의 범위와 제한 = 4
Ⅱ. 이론적 배경 = 5
2.1 확률과 통계 영역 지도의 실제 = 5
2.1.1 확률과 통계 지도의 의의 및 지도방향 = 5
2.1.2 초등학교 수학과 확률과 통계 영역 지도 내용 = 5
2.1.3 통계 지도의 실제 = 8
2.1.4 확률 지도의 실제 = 11
2.2 ICT 활용 교육 = 12
2.2.1 ICT 활용 교육의 정의 = 12
2.2.2 ICT 활용 교육의 유용성 = 13
2.2.3 ICT 활용 수학과 교수학습방법 = 14
2.2.4 ICT 활용 수업설계를 위한 다양한 자원 활용 = 20
Ⅲ. 연구방법 = 25
3.1 연구대상 = 25
3.2 연구기간 및 연구절차 = 25
3.3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 26
3.3.1 사전 검사 = 26
3.3.2 사후 검사 = 27
Ⅳ. 연구의 실행 = 28
4.1 연구문제 1의 실행 = 28
4.1.1 경우의 수 단원 목표 = 28
4.1.2 경우의 수 단원의 학습 흐름 = 29
4.1.3 경우의 수 단원의 전개 = 30
4.1.4 경우의 수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 31
4.2 연구문제 2의 실행 = 31
4.2.1 경우의 수 단원의 수업 계획 = 32
4.2.2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 = 33
4.3 연구문제 3의 실행 = 36
Ⅴ.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7
부록 = 4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