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등학교 영어-수학 내용중심 통합수업의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tent Based Language Teaching in a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English and Math
Abstract
본 연구는 Krashen의 입력가설에 근거해 이해 가능한 언어 입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인 내용 중심 통합 학습 지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것으로 초등학교 영어과의 기능과 수학 교과의 내용을 통합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한 뒤 실험반과 통제반의 흥미도, 참여도, 학습 불안감 등의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변화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용중심 통합 교수·학습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초등학교 영어과와 수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수학교과를 영어로 수업하기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적 영역에서 흥미도, 참여태도, 학습 불안감 등에서 중학년(3,4학년) 학습자들이 지닌 내적 요인이 유지, 또는 향상되었다. 실험대상자들이 중학년 학생들이어서 영어에 대한 흥미도가 두 집단 모두 실험 전부터 높았고 이것이 실험기간 동안 유지되었는데 비해, 영어 수업에 대한 적극성은 통제반의 학생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반면 실험반의 학생들은 영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높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를 통해서 실제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하고 유의미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중학년 학습자들로 하여금 영어 학습에 대한 적극성이 향상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영어과 학업 성취도에서 집단 간 듣기·읽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실험반의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많은 언어 입력 중에 그들의 실생활과 관련 있거나 욕구, 동기, 흥미와 부합하는 내용일 경우, 더욱 사실적인 언어자료가 되며 그러한 언어 자료는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는 많은 연구 결과(Phillips, 1993)가 있다. 이런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 본 실험 연구에서도 언어가 진정한 사용의 목적을 가진 도구로써, 학습을 위한 영어 사용이 아닌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사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의적 측면은 물론 인지적 측면의 듣기·읽기 능력의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와 같은 정규 영어 시간 이외는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적은 EFL환경의 학습자들에게 실제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하고 유의미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중학년 학습자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인지적인 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이고 반복적으로 흐르기 쉬운 영어 수업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기회를 통해 의식적이고 의미 있는 의사소통으로 흥미 있게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내용중심 통합 교수법으로 하면서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고 내용지식을 학습하게 되어 학습자의 언어학습에 높은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Krashen의 입력가설에서의 주장을 토대로 언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조정된 이해 가능한 언어입력으로 구성된 언어 환경에 학습자들을 충분히 노출시켜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내용 중심 통합 교수·학습은 교사의 언어를 학생 수준에 맞게 조절하고 여러 가지 사실적인 언어자료를 이용하여 수업 내용을 전달함으로써 제한된 영어 시간을 극복하여 언어 학습자들의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principles of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CBLT) can be applied to teaching English at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In doing so, the content of Math was integrated into the teaching of English.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from a local sch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curricular analyses of Grade 4 English and Math, the integrative elements were drawn and the teaching plan was created. Afterward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CBLT instruction for the period of 10 weeks. To be more specific,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wo additional CBLT class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the regular English classes twice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n affective response test such as learner interest,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t seems that real communication and meaningful experiences have kept the learners interested.
Second, it h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in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It seems to indicate that language, when it is used as a tool for real communication, not for learning, has very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listening and reading competence as well as the affective traits.
In conclusion, making children communicate meaningfully, and giving them real experience of language use seem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development. As the research in this field thus far has indicated positively, meaningful exposure to comprehensible language input facilitates language learning. Indeed,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seems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in Korea.
Author(s)
정선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내용중심 영어수업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02
Alternative Author(s)
Jung, Sun 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과제 = 4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초등학교 영어과의 특징 = 5
2. 언어입력가설(Input Hypothesis) = 7
3. 통합교육의 정의 = 9
4. 내용 중심 통합 교육 = 10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13
1. 연구 참여자 = 13
2. 연구 도구 = 16
3. 자료 수집 절차 = 19
4. 자료 분석 = 22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24
1. 사전 동질성 검사 = 24
2. 사후 변화 비교 = 28
3. 질적 분석 결과 = 33
Ⅴ. 결론 및 제언 = 39
1. 결론 = 39
2. 제언 = 41
참고문헌 = 43
부록 =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