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Alternative Title
- Research 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s of an Elementary Students School
- Abstract
-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수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요인들로서 “자신의 관심 및 노력”, “교사의 영향”, “부모의 영향” 모두 3개의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 3개 요인은 Walberg & Anderson(1972)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지적한 학습자 변인, 수업변인, 환경변인과 넓은 의미에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위의 3개 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신의 관심 및 노력”의 구성 요소로서 흥미, 자신감, 예습, 복습과 과제가 되고, “교사의 영향”의 구성 요소로서는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수업 방식이며, “부모의 영향”의 구성 요소로서는 부모님의 관심과 공부할 때 도움여부가 된다.
둘째, 위의 3개 요인과 관련된 문항 가운데 학년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으로서 “수학과목의 자신감”, “예습의 정도”, “수업방식의 호감도”, “어머니의 관심도”는 학년별,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수학과목의 자신감”은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이 Likert scale의 5점 척도에서 낮은 점수의 응답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비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2005)이지만 여러 국가와 성별에 따른 배경 원인의 영향을 고찰한 결과, 여학생이 수학에 대한 태도가 높지 않았고, 여학생 친화 프로그램의 개발을 하는 노력의 필요성을 지적한 것과 송귀영(2000)의 연구에서 초등학생들에게도 수학불안 및 기피현상이 나타났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발견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수학과목의 자신감에 낮은 응답결과를 보이는 것과 일치한다. 그리고 “예습의 정도”, “수업방식의 호감도”, “어머니의 관심도”는 고학년이 될수록 낮은 점수의 응답결과를 보였다.
셋째, 수학성적을 고득점자와 저득점자로 분류하고 수학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세 가지 요인의 선택하도록 한 결과, 수학과목의 고득점 군과 저득점 군에서 모두 “예습과 복습”, “개인의 성격”을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하였으나 고득점 군에서는 “흥미도”를, 저득점 군에서는 “선생님의 수업방식”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택하였다. 황영진(2006)의 연구에서 수학선행학습의 이해정도가 높을수록 수학성적이 향상되었다는 결과와 본 연구의 수학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한 “예습과 복습”은 그 내용면에서 같은 의미를 함축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성녀(2003)의 연구에서 교사의 수업 방법을 포함하는 외부적 변인과 학습의 내부적 변인의 분석이 필요하다는 결과와 본 연구에서 발견한 “선생님의 수업방식”, “개인의 성격”, “흥미”들은 서로 일관성 있다고 하겠다.
We conduct a survey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o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Dong-Gu in Busan in order to provid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ith basic data.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s home background, private education, the difficulty degree of mathematics textbook, practical usage of computers, group-teaching, teaching methods, preview, review, homework amount, learning attitude,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est for mathematics, and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and friends. Based on survey data we perform factor analysis to find major factors affect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over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grade, important factors, and mathematics scores of students.
- Author(s)
- 최수영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6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04
- Alternative Author(s)
- Choi, Soo Y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 Advisor
- 박동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문제 = 3
1.4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2.1 학업성취도의 정의 = 5
2.2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 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3
3.1 연구의 대상 = 13
3.2 자료의 수집 = 13
3.3 자료의 구성 = 14
3.4 자료의 분석 = 16
Ⅳ. 연구결과 = 18
4.1 수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8
4.2 요인과 관련된 문항에서 학년과 성별의 유의한 차이 = 19
4.3 수학성적의 고득점 군과 저득점 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 25
Ⅴ. 결론 및 제언 = 27
5.1 결론 = 27
5.2 제언 = 28
참고문헌 = 30
부록 = 3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