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진로에 따른 부산지방의 호우·강풍 발생 특성
- Alternative Title
-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 and strong wind in Busan along the typhoon track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태풍을 단순히 비, 바람 태풍으로 단정 내리기보다는 국지 지역인 부산에 대해 과거 호우나 강풍을 유발한 태풍의 진로에 따른 위도대별 비, 바람의 특징을 객관화하였다.
따라서 적어도 태풍의 중심이 28°N 부근에 위치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될 때 기상청에서 발표한 태풍정보와 종관기상자료를 바탕으로 호우나 강풍을 유발할 지에 대해 판단한 후, 태풍이 부산지방에 어느 정도의 비, 바람을 몰고 언제 가장 위험기상을 초래할 지에 대한 예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30년간(1977~2006) 부산에 호우를 유발한 태풍은 18사례,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21사례 (최대풍속으로 인해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14사례, 최대순간풍속으로 인해 강풍을 유발한 사례는 19사례), 호우와 강풍을 동시에 유발한 태풍은 8사례로 조사되었다. 부산에 호우나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79사례의 태풍 중 31사례에 달하였는데, 이들 태풍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우를 유발한 태풍이 부산에 1시간 최다강수량 극값을 기록했을 때 태풍 중심 위치는 위도 상으로는 대한해협 통과형에서 32.3°~34.3°N, 남해안과 서해안 상륙형에서 33.6°~35.6°N의 범위를 보이고, 경도 상으로는 부산을 기준으로 했을 때 왼쪽으로 약 600km, 오른쪽으로 약 100km 범위를 보인다.
남해안 통과 형에서 부산에 최대풍속 최대를 나타냈을 때 태풍의 중심은 태풍이 거의 상륙한 후인 35°-36.2°N 분포를 보였으나, 최대순간풍속 최대를 나타낸 태풍의 중심은 33.2°-36.2°N로 상륙 전과 후 폭넓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2. 호우를 유발한 태풍은 대한해협을 통과했을 때가 61%로 가장 많았다. 최대풍속으로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남해안이나 서해안에 상륙한 태풍이 79%를 차지하였다. 최대순간풍속으로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대한해협 통과형과 남해안 상륙형이 각각 37%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한해협과 일본 통과형에서 가을철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우와 강풍을 동시에 유발한 태풍은 남해안과 서해안 상륙형에서 여름태풍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3. 호우를 유발한 태풍의 강수량, 강풍을 유발한 태풍의 최대풍속, 강풍을 유발한 태풍의 최대순간풍속과 SST는 상관계수는 각각 0.2, 0.1, 0.3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강수량, 최대순간풍속과 통과시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4, -0.4를 보여 각각 양과 음의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최대순간풍속과 중심기압은 상관계수가 -0.5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SST와 통과시간의 상관계수는 강풍을 유발한 태풍에서 0.5를 나타내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부산에 강풍이나 호우를 유발한 태풍 중 여름태풍은 17사례, 가을태풍은 14사례로 나타났다. 여름과 가을 태풍에서 각각 호우를 유발한 태풍은 10사례와 8사례,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12사례와 9사례, 호우와 강풍을 유발한 태풍은 5사례와 3사례로 조사되었다. 한편, 여름태풍 중 일본 통과형의 진로는 없었다. 가을태풍 중 남해안과 서해안 상륙형의 태풍에서 호우와 강풍을 동시에 유발한 태풍이 없었으며, 일본 통과형에서 호우와 강풍을 유발한 태풍의 28°N 중심기압은 925hPa로 부산에 호우나 강풍을 유발한 여름·가을태풍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태풍의 중심이 28°N 부근에 위치할 경우 부산에 호우나 강풍을 유발한 태풍에 대한 사전 태풍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태풍의 진로에 따라 위로대별로 비와 바람의 정도, 태풍 중심의 통과시간, 그리고, 부산지방에 호우나 강풍 극값을 보일 때 태풍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객관화된 가이던스를 통하여 태풍으로 인한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고, 강수량과 바람에 대한 예보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yphoon-induced heavy rain and strong wind in Busan, according to the typhoon track pattern. Total 31 typhoons passed around Busan for 30 years (1977~2006). Among them, 18 typhoons caused heavy rain (more than 100mm) and 21 typhoons caused strong wind (more than the maximum wind speed of 17m/s or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f 26m/s) in Busan, respectively. The number of typhoons causing both heavy rain and strong wind were 8. The principle track pattern of typhoons causing heavy rainfall is the passage over the straits of Korea (61%; 11 out of 18 cases), while that causing strong wind is the passage over south coast Korea (38%; 8 out of 21 cases). The major track pattern of typhoons causing both heavy rainfall and strong wind is the passage over the straits of Korea (50%; 4 out of 8 cases), and rest of them which passed over south coast and west coast are appeared in only summer season. 1 hour rainfall amount reached the maximum in Busan when the center of typhoon causing heavy rain was located in 32.3°-34.3°N latitude band for the straits of Korea passing type and in 33.6°-35.6°N latitude band for south coast and west coast landing types. The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ccurred in Busan, when the centers of typhoon causing strong wind located in relatively broad latitude band of 33.2°-36.2°N, while the maximum wind speed recorded from just after the center of typhoon causing strong wind landed over Busan (latitude band of 35.0°-36.2°N).
- Author(s)
- 고혜영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태풍 부산 호우 강풍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14
- Alternative Author(s)
- Go, Hye Yo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대기과학과
- Advisor
- 변희룡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2. 자료 및 분류 = 3
2. 1. 자료 = 3
2. 2. 분류 및 정의 = 3
3. 부산에 호우 및 강풍을 유발한 태풍의 특징 = 5
3. 1. 위치와 빈도 = 7
3. 2. SST = 10
3. 3. 사례 분석 = 12
4. 여름태풍의 경로에 따른 호우와 강풍의 발생 특성 = 18
4. 1. 대한 해협을 통과한 태풍 = 19
4. 2. 남해안을 상륙한 태풍 = 21
4. 3. 서해안을 상륙한 태풍 = 23
5. 가을태풍의 경로에 따른 호우와 강풍의 발생 특성 = 25
5. 1. 대한 해협을 통과한 태풍 = 27
5. 2. 남해안을 상륙한 태풍 = 29
5. 3. 서해안을 상륙한 태풍 = 30
5. 4. 일본을 통과한 태풍 = 30
6. 요약 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5
감사의 글 = 3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대기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