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토론 대화에서 말 순서가지기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urn-taking in discussion
Abstract
사회 구성원들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서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며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의사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화는 일상생활에서 두 사람 이상이 서로 각자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상호적인 언어활동이다. 때문에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 한 번에 한 사람만 이야기를 하는(one speaker-at-a-time) 구조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실제 대화에서의 흐름은 이러한 순서와 규칙을 엄격하게 지키면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정한 형식을 갖춘 형식대화에서는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의 대화 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하여 여러 전략적인 발화 행위를 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대화의 특성에 대해 살핀 다음, TV 생방송 토론 대화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술(description)의 대상이 되는 ‘동시발화’, ‘말의 중복’, ‘말 중단’, ‘말 끼어들기’, ‘말 가로채기’ 등 대화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현상들을 행위 개념과 결과 개념을 포함해 시간 선상에 놓고 그 전개 과정의 위치를 도식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에서 문제시 되는 현상 각각의 의미나 예측된 양상이 보다 더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규명해 보았다.
대화 순서 교대의 한 방법인 “끼어들기”의 경우는 그 자체에 행위 개념은 드러나지만 대화에서 끼어든 후, 말 순서를 갖게 되는 결과까지는 다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보아 용어의 문자적 의미와 실제 지시되는 현상 사이의 차이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또한 실제 토론 대화에서 발화자 자신의 대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 순서가지기의 여러 전략들을 “말 순서가지기 이전 단계 전략”과 “말 순서가지기를 위한 순서 가로채기 전략” 그리고 “말 순서를 가진 이후의 순서 지키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전략은 토론 대화에서 실제 어떤 구체적인 책략들을 선택적으로 쓰는지 TV생방송 토론 대화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고 확인한 다음, 이러한 책략들을 각각 범주화 하여 그 특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여기서 “말 순서가지기 이전 단계 전략”은 말 순서를 가져오기 위한 책략들을 구사하였으나 실패하여 순서를 가져오지 못한 경우이고, “말 순서가지기를 위한 순서 가로채기 전략”은 말 순서를 가져오기 위한 책략을 구사하여 말 순서를 가져오게 된 경우이다. 그리고 “말 순서를 가진 이후의 순서 지키기 전략”은 가져온 자신의 말 순서를 빼앗기지 않고 유지하기 위해 구사하는 책략들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대화의 진행 계획(plan)이라고 할 수 있는 대화 전략(strategy)과 이 전략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구사하는 발화 기술(skill)인 책략(tactics)의 계층적 관계를 정립하고, 대화 참여자들이 구사하는 말 순서가지기 전략 운영과정을 살펴보았다.
TV생방송 토론 대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화에서 말 순서를 가지는 전략을 확인해본 결과 토론대화 참여자들은 실제 대화에서 말 순서를 가져오기 위해 이전 단계의 전략들을 많이 구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전 단계 전략을 구사하였다고 하여 모두가 말 순서를 가져온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토론 대화에서 말 순서를 가져와 자신의 논지를 펼치는 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으로 ‘가로채기 전략’을 가장 많이 구사하고 있었다. 가로채기 전략은 논제에 따라 빈도의 차이가 있었는데, 논제가 정치적 성격이 강하고 논쟁이 심할수록 가로채기 전략이 더 자주 나타났다. 또 가로채기 전략은 대화 참여자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그 빈도수가 달리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말 순서를 가져오기 위한 이전 단계 전략으로는 ‘끼어들기 전략’을 가장 많이 구사하였다. 그리고 말 순서를 가져와 대화의 목적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상대방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부정적인 행위 책략도 함께 구사하고 있었으며, 한 번 말 순서를 가지면 그 순서를 지키기 위한 전략들도 쓰고 있었다. 또한 대화 참여자 간에 같은 논지를 표명하는 입장에서는 상호 유대관계를 위해 협력적인 행위 책략이나 친밀감을 나타내는 책략들을 쓰기도 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의 대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대화 맥락이나 대화 목적 등을 고려하여 그때의 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대화 전략 및 책략들을 선택적으로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론 대화가 더욱 역동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 순서가지기와 관련된 대화 자질들의 시간적 위치가 추이적정지점에서 말 순서 교대가 이루어진 이후 ‘동시발화’ - ‘말 중복’ - ‘말 중단’ - ‘말 순서 가로채기’, 순서의 경우나 ‘말 끼어들기’ - ‘말 중복’ - ‘말 중단’ - ‘말 순서 가로채기’ - ‘추이적정지점에서 순서교대’ 또는 ‘다시 끼어들기’의 형식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순환구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대화에서 말 순서가지기의 다양한 책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대화를 할 때 좀 더 전략적이고 주도적인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논쟁이 필요한 대화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더 적극적으로 표출하여 대화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책략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대화에서 말 순서를 빼앗겼을 때에도 좀 더 의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대화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더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토론 대화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상 대화에 나타나는 현상과는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상 대화에서도 말 순서를 가질 때 토론 대화에서와 같은 책략들이 쓰일 수 있는 지를 비교, 대조 분석하여 대화의 일반적인 전략운영 원리를 구체적으로 밝혀나가는 것이 앞으로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말 순서가지기 전략은 대화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많은 대화 전략 중 한 부분에 불과하다. 앞으로 더 많은 대화 전략들을 찾아내고, 그 각각의 전략들이 어떤 사용 환경과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규명작업이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We constantly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to keep social relationships so communicative ability is essential for us as members of a society.
Since conversations are reciprocal activities involving more than two people, one speaker-at-a-time structure is ideal for smooth proceeding but in real conversations we don't strictly follow the rule. Especially, in formal conversations like discussion, participants use a variety of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ir goals of the conversations.
This study describes a set of general dialogue features and those of live discussion of a TV show. The discussion dialogues excerpted from the TV show have been mapped out on the time line and meaning of the turn-taking behaviors has been analyzed.
Turn-taking behaviors are analyzed in terms of 'action' and 'result.' In the case of 'turn interruption' which is one of the turn-taking behaviors, it has 'action' aspect but is hard to be considered to have 'result' aspect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the actually perceived meaning in the conversation is discussed in the paper.
This paper classified turn-taking strategies into 'strategies before turn-taking', 'strategies for turn-taking', 'strategies after turn-taking' and analyzed the TV discussion to see what strategies the participants chose and utilized how. 'Strategies before turn-taking' refer to the strategies that people used to take their turn of the discussion but failed. 'Strategies for turn-taking' means strategies that actually enabled the users to take their turn successfully and 'strategies after turn-taking' are strategies that people used to keep their turn in the discussion.
The analysis shows that participants in the discussion mainly use 'interruption strategies' to take turn and they selectively employ strategies and tactics they think are the most effective in the situation they are in.
The result presented in the paper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people to select suitable strateg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conversation especially in discussion. However, this work only focuses on discussions so turn-taking strategies described in the paper are merely a part of various conversational strategies.
Author(s)
강대술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말 순서가지기 토론 대화 말 순서 가로채기 끼어들기 대화분석 동시발화 전략 책략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7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15
Alternative Author(s)
Kang, Dae Sool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채영희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 4
1.3. 연구 대상 및 전사 방법 = 10
1.3.1. 연구의 대상 = 10
1.3.2 자료의 전사 방법 = 12
2. 이론적 배경 = 16
2.1. 대화의 특성 = 16
2.2. TV 생방송 토론대화의 특성 = 18
2.3. 대화에서 전개되는 현상 기술(descriptive)을 위한 용어개념 정리 = 21
2.3.1. 전략과 책략 = 22
2.3.2. 말 순서가지기와 추이적정지점 = 24
2.3.3. 동시발화 = 29
2.3.4. 말 중복(말 겹침) = 31
2.3.5. 말 중단 = 33
2.3.6. 말 끼어들기 = 37
2.3.7. 말 순서 가로채기 = 39
2.3.8. 말 순서가지기 전략에 따르는 현상들의 전개과정 위치 = 43
3. 말 순서가지기의 전략 = 48
3.1. 말 순서가지기 이전 단계 전략 = 49
3.1.1. 청자 반응 신호 = 50
3.1.2. 동시발화 = 53
3.1.3. 끼어들기 = 56
3.1.4. 말 중복(겹침) = 57
3.1.5. 말 중단 = 59
3.2. 말 순서가지기를 위한 순서 가로채기 전략 = 60
3.2.1. 부정적인 행위 책략 = 63
3.2.1.1. 끼어들기 = 64
3.2.1.2. 말 중단시키기 = 65
3.2.1.3. 화제전환 = 67
3.2.1.4. 상대 이미지 손상 = 69
3.2.1.5. 지식/경험 드러내기 = 71
3.2.1.6. 반론/이의제기(異義提起 = 72
3.2.2. 협력적인 행위 책략 = 74
3.2.2.1. 대화공동구성 = 75
3.2.2.2. 명료화 요청 = 76
3.2.2.3. 인접쌍 = 77
3.2.3. 친밀감 표명 책략 = 79
3.2.3.1. 동감/동의 = 79
3.2.3.2. 양해(諒解) = 81
3.2.3.3. 호칭으로 부르기 = 82
4. 말 순서를 가진 이후의 순서 지키기 전략 = 84
4.1 순서 유지를 위한 순서 할당 구조상의 책략 = 86
4.1.1. 주도권 = 87
4.1.2. 양해구하기 = 89
4.1.3. 무시하기 = 91
4.1.4. 원칙 호소하기 = 92
4.1.5. 짧게 대응하기 = 94
4.2. 순서 유지를 위한 이미지 관리 책략 = 96
4.2.1. 지위 내세우기 = 97
4.2.2. 해명하기 = 98
4.2.3. 유감 표명하기 = 99
5. 결론 = 101
5.1. 연구의 의의 및 요약 = 101
5.2. 남은 문제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0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