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통합논술 지도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Strategy of The Combined Subject Discourse : focusing on the literary textbooks of the Korean subject
Abstract
일반적으로 ‘통합논술’을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방식을 키우고자한 본래의 취지보다는, 좋은 대학의 입학을 위해 통과해야 하는 입시제도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주어진 논제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사고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설득을 위해 의사소통을 하는 논증 능력은, 학교 교육을 계속해서 제대로 받기 위해서나 학문적 성취를 이룩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능력이다. 그리고 논증 능력은 사회인이 되어서 사회생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다.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고등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활발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내면화하기 위해서 통합논술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통합논술 지도방법에 관한 모색은 당연한 일이다.
바른 ‘말하기·듣기·읽기·쓰기’에 대한 기본 교육이 국어교육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독서를 넘어 논술까지 국어과의 중요 일부로 여기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국어과에서 말하는 ‘통합’은, 들은 것을 그대로 말하거나 그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언어활동을 융합하는 것이기에 더 의미가 있다. 또한 올바른 국어사용 능력은 다른 과목들을 제대로 배우고 이해하는 데 바탕이 된다. 특히, 국어과는 문학 교육을 통해 삶에 대한 통찰력을 키워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롭고 깊이 있게 사고하며 유창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논술 실력 향상에도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국어교사는 통합교과형 논술 대비에 주도적 역할을 하여야 한다. 국어교과 영역에서의 통합논술지도 방안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다른 교과의 통합논술지도 시에도 많은 지침이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어교육과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2008년 이후 논술고사의 유형으로 등장한 통합논술의 의미와 취지를 바로 이해하기 위해 이론을 살펴보고 통합논술 지도방법을 연구하였다. 통합, 통합교육, 통합논술의 이론적 배경과 국어과에서의 통합지도 이론 및 논술 지도 이론을 검토하였다. 또한 그 이론들이 본 통합논술 지도방법 연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통합적 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법과 국어과 논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문학작품의 통합논술 지도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합논술에 접근해가는 수업방법을 도출해 봄으로써 통합논술에 보다 근접한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e Combined Subject Discourse’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part of the entrance system for students to pass through for entering a prominent university rather than as its original purpose to improve students’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power. However, delivering information effectively through the logical thinking of a given topic or demonstrative power to persuade others through communication is essential for students to continue to receive school education properly or gain academic achievements. Student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demonstrative power in order to lead their social life amicably when they become a social being. Integrated essay writing education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cultivate and internalize advanced thinking power, problem-solving ability, and appropriate communicative skills required from this contemporary society. Therefore, it is natural to grope for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essay writing foster such abilities.
Since the fundamental education for appropriate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starts from Korean education, essay writing as well as reading are considered as critical parts of the Korean subject, in general. Moreover, the ‘integration’ used in the Korean subject does not simply mean that a student can speak or read what she has listened to. It is more meaningful because it merges separate linguistic activities. In addition, the ability to use Korean properly becomes the foundation for learning or understanding other subject appropriately. too. In particular, the Korean subject can improve the insight for life through literary education and can also elevate the ability to think freely and profoundly and express fluently based on that. It can als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ssay writing ability through that.
Therefore, Korean teachers should play an initiative role in preparing for essay writing as an integrated subject. If researchers in the area of the Korean subject conduct studies on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essay writing continuously, it will be an excellent guide for teaching integrated essay writing in other subjects.
Thereupon, this article performs theoretical review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integrated essay writing correctly which appeared as a type of essay examination from 2008 by focusing on the literary textbook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studies the teaching method of integrated essay writing.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ion, integrated education, and integrated essay writing and the integrative teaching theories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essay writing in the Korean subject so as to figure out the connectivity of how these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is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essay writing.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teaching methods to improve students' integrated essay writing ability and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essay writing for literary works which occupy the main part of essay writing in the Korean sub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groping for the teaching methods more adequate integrated essay writing by figuring out the teaching methods more approachable in integrated essay writing.
Author(s)
김영이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통합논술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7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17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 Y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김남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5
3. 연구 방법 및 한계점 = 13
Ⅱ 이론적 배경 = 18
1. 통합논술의 도입 = 18
2. 통합, 통합교육, 통합논술에 대한 이해 = 20
가. 통합과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 20
나. 통합교육과 국어교육과의 연관성 = 21
다. 통합논술에 대한 이해 = 24
3. 통합논술 지도의 기초 = 34
가. 통합논술 지도의 이론적 기초 = 34
나. 학습독서 지도 = 41
다. 일반논술과 통합논술 지도방법의 차이점 = 45
라. 문학과 통합논술 = 48
Ⅲ 통합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방법 연구 = 57
1. 창의적·능동적 논술 학습지도 = 57
가. 단계별 교수·학습 방법 = 57
나. 상호작용적 논술지도 프로그램 = 63
2. 통합논술 능력 신장 지도 = 69
가. 학습독서 활용 = 69
나. 상호작용적 논술지도 프로그램 활용 = 71
다. 학교 정규과정 활용 = 74
라. 교실 안과 밖의 연계수업 활용 = 81
Ⅳ 문학작품의 통합논술 지도방법 연구 = 91
1. 문학작품의 통합논술 지도 방법 = 91
2. 문학 텍스트 통합논술 교수·학습의 실제 = 92
3. 문학작품의 통합논술 지도사례 = 98
Ⅴ 결론 = 106
참고문헌 = 11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