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프로젝트 학습이 중학생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
Abstract
본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쓰기 능력과 전반적인 영어능력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또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2. 프로젝트 수업은 과제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영어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가?
가설 3.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습자에게 전반적인 영어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가?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기 전 · 후의 설문조사, 결과물과 발표에 대한 평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반응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수업 전과 후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일반적 태도, 그룹 활동, 쓰기 활동에 대한 동기 변화 결과 프로젝트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영어공부를 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라는 문항에서 무려 21%의 향상을 가져왔다.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에서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영어 공부를 해야 할 필요성을 더욱 느낀 것 같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활동과 3차에 걸친 결과물 발표를 통해 자신감 습득과 능동적인 학습태도의 변화에 기인되었다고 본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결과 영어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1차, 2차, 3차 프로젝트 활동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프로젝트 수행 결과물에 있어 세 검사 점수를 분석해 본 결과 1차 평가, 2차 평가, 3차 평가의 결과가 향상된 것을 보여주었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과제 주제에 대해 조사하고 결과물을 작성함에 따라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결과물과 발표 평가에서도 1차에 비해 2차와 3차에서 향상을 보여 주었다. 1차 발표 때에 비해 2차와 3차 때에 평균점수에 있어 큰 향상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의 발표력에 대한 발표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가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프로젝트 학습은 소집단 토론 활동을 통해 프로젝트를 해결해야 하므로 토론 시에 가급적 영어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영어로 말할 기회를 더 많이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업으로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은 다양하고 재미있으며 실제적인 언어 상황을 경험하게 해 준다’에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냈다. 이것은 학습자와 실제로 연관된 내용을 주제로 하여 이뤄지기 때문에 실제적이고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은 영어 단어와 문장 익히기에 도움이 되었다’와 ‘영어 말하기에 도움이 되었다’, ‘영어 쓰기에 도움이 되었다’라는 문항에 긍정적이 반응을 하였다. 이러한 응답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학습자들의 태도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o the learner's interests, confidence, self-directed attitude towards English learning and to promote the use of English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classes.
The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can project-based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 EFL learners' affective traits? Second, can project-based learning help meaningfully improve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Third, can project-based learning meaningfully improve the learners' overall English language 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 middle school students. The choice of the topics by the learners in project-based learning is important. After learners' requests were met, three project works were assigned to the students. The projects were based on their self-reported interests, needs and preferences which had to be curricular-related. The project activities were comprised of 'group discussion',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nd 'sharing and evaluating the product'. In addition, they were requested to present their final work to the cla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was analyzed by the use of two questionnaire surveys(a pre-survey and a post survey was administered after the project-based instruction) and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achievement among the three projects was ma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5) in the change of students' affective traits in learning English before and after they were engaged in the project-based learning. After several month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the subjects were shown to be more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writ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through the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e Subjects had higher test scores in the two previous projects. Third, the project-based learning can bring about the improvement in the learner's overall English ability. The results of the learners' project work were shown to be meaningfully improv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project-based learning can be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classes. In particular, project work can induc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by providing learners with the learner-centered environment. Therefore, for effective project-based instruction, selection of the topics and relevant materials and procedures, which were appropriate for students' abilities,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Author(s)
조정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8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24
Alternative Author(s)
Cho, Jeong-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및 가설 = 2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영어 쓰기 교육 = 5
가. 쓰기의 개념 및 쓰기 지도의 필요성 = 5
나. 과정 중심 쓰기 접근법 = 7
다. 중등학교 영어 쓰기 교육 = 9
2. 프로젝트 학습 = 11
가. 프로젝트 학습 배경과 정의 = 11
나. 프로젝트 학습의 특성 및 이점 = 14
다.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 = 17
라. 전통적인 학습법과 프로젝트 학습법과의 비교 = 20
3. 영어 학습에 영향을 주는 정의적 요인 = 22
가. 흥미(Interest) = 22
나. 동기(Motivation) = 23
다. 자신감(Self-Confidence) = 25
라. 모험심(Risk-taking) = 25
4. 선행연구 = 26
Ⅲ. 연구 방법 = 30
1. 연구 대상 = 30
2. 연구 기간 및 절차 = 31
3. 연구 도구 = 33
가. 정의적 영역에 관한 학습자 설문조사 = 33
나. 쓰기 학습 태도에 관한 학습자 설문조사 = 34
다. 프로젝트 결과물과 발표에 대한 평가 = 35
라. 프로젝트 활동 수업에 대한 학습자 반응 = 35
4. 분석 방법 = 37
가. 정의적 영역과 쓰기 학습 태도에 대한 학습자 설문조사 = 37
나.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학습자 반응 조사 = 37
다. 프로젝트 결과물과 발표에 대한 평가 = 37
5.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 = 38
가. 단원지도 계획 및 프로젝트 일정 = 38
나.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 40
다. 프로젝트 수업 활동 = 40
라. 프로젝트 활동 교수ㆍ학습 지도안 = 42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46
1. 정의적 태도 설문조사 분석 = 46
가. 영어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 47
나. 그룹 활동에 대한 태도 = 48
다. 영어 쓰기에 대한 동기 = 48
라. 요약 = 49
2. 쓰기 학습 태도 설문조사 분석 = 50
가. 영어 학습에 있어서 관심 영역 = 50
나. 영어 쓰기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 방법 및 시간 = 51
다. 학습자의 영어 쓰기 평가 기준 = 53
라. 포트폴리오 평가 = 54
마. 요약 = 56
3. 전반적 영어능력 평가 결과 분석 = 57
가. 말하기ㆍ쓰기 능력에 대한 반응 = 59
나. 정의적 영역 및 학습 방법에 대한 반응 = 61
다. 교사ㆍ교재에 대한 만족도 = 63
라. 발표 평가 = 64
마. 요약 = 66
Ⅴ. 결론 및 제언 = 68
1. 결론 = 68
2. 제언 = 70
참고문헌 = 71
부록 = 7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