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Sports Club
Abstract
학교체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그동안 각 급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실시되어오던 과외 자율체육 및 체육동아리활동을 통합하여 각 시·도 교육청에서 등록·관리하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관한 정책을 2007년부터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정책도 현장에서 추진할 때에는 그 정책을 추진하는 사람의 인식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일선 학교에서 그 정책을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활성화 및 제도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나.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학교스포츠클럽의 효과(개인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운동부적 측면)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라. 학교스포츠클럽의 문제점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마.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선방안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08년도 부산광역시 소재 중학교 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본을 전집하였다. 이에 중학교 체육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547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총 326부가 회수되었다. 그 중 분석에 부적합한 4부를 제외한 322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중학교 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으며, 중학교 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 4점 척도로 평균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체육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참가종목은 축구, 주 운영회수는 1주일에 2회(36.6%), 1회 평균 운영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 미만(61.0%), 운영요일은 평일(76.8%), 운영시간대는 방과 후(59.1%)에 가장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대회 참가 경험에 있어서 외부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82.1%로 참가한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많았고, 참가회수는 2회(22.1%)가 가장 많았으며, 외부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교사의 경우 주된 불참 이유로 ‘준비가 덜 되어서’(48.0%)가 가장 많았다. 교내 대회 개최 경험에 있어서는 개최경험이 있는 교사가 55.2%로 개최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많았고, 개최회수는 1회(59.5%)가 가장 많았으며, 교내대회 개최경험이 없는 교사의 경우 주된 불참이유로 ‘시간/일정이 안 맞아서’(54.8%)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은 일부 종목에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외부대회에는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으나, 교내대회는 적극적으로 개최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운동부 문화개선을 위한 필요성보다는 건강하고 활기찬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10년 미만인 체육교사가 20년 이상인 체육교사보다, 학교스포츠클럽 담당여부에 따라서는 담당 체육교사가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이 10년 미만인 체육교사가 20년 이상인 체육교사보다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비율이 높으며,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의 경우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기 때문에 담당하여 학생들을 지도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학생들이 효과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이 높게 나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인적 측면의 효과에 대해서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 체육교사, 20년 미만 체육교사, 운동부 담당 체육교사,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는 스트레스 해소를 20년 이상 체육교사, 운동부 비담당 체육교사, 학교스포츠클럽 비담당 체육교사는 건강 및 체력증진을 여자 체육교사는 운동기능 향상과 성취감 및 자신감 배양을 학교스포츠클럽 개인적측면의 효과로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는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개인적측면의 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는 체육교사의 경우는 학생들이 개인적 측면의 효과 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교사 또한 학생들의 개인적 측면의 효과를 직접 보고, 확인함으로써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더 높게 인식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의 사회·문화적 측면의 효과에 대해서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건전한 여가문화 형성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10년 이상 20미만인 체육교사를 제외한 나머지 체육교사는 건전한 여가문화 형성을 10년 이상 20년 미만 체육교사는 평생체육으로 발전을 사회·문화적 측면의 효과로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는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사회·문화적측면의 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는 체육교사의 경우는 학생들이 사회·문화적 측면의 효과 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교사 또한 학생들의 개인적 측면의 효과를 직접 보고, 확인함으로써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더 높게 인식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의 운동부적 측면의 효과에 대해서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우수선수 발굴육성의 효과를 운동부 체질개선의 효과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부 담당체육교사를 제외한 나머지 체육교사는 우수선수 발굴 육성의 효과를 운동부 담당 체육교사는 운동부 체질개선의 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학교스포츠클럽의 운동부적 측면의 효과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서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성별, 경력별, 운동부 담당 여부,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여부에 따라서 모든 체육교사가 활동시간 제약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체육교사들이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지만 실제 운영되고,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문제점들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학생들의 활동시간 제약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스포츠클럽의 문제점에 대해서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가 비담당 체육교사 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고 있는 체육교사의 경우는 필요성이나 효과 면에서 비담당 체육교사보다 높게 인식을 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더 낮을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문제점들로 지적되던 부분이 다소 해결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담당 체육교사의 인식이 낮다고 생각된다.
일곱째,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선방안에 대해서 전체 중학교 체육교사는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성별, 경력별, 운동부 담당여부, 학교스포츠클럽 담당여부에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비담당 체육교사를 제외한 체육교사는 적극적 재정지원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담당 체육교사는 체육시설의 개선, 확충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선방안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체육교사가 적극적 재정지원과 체육시설의 개선 및 확충을 학교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발전을 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schools regarding the necessity of school sports clubs effect concerning point of issue, and improvement plans. It carried out the survey for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Busan. It i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school sports clubsand system settlement as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begin with, it seemed to be necessary to manage various criteria. An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solved through publicizing positively the program to students, influx of external lecturers who connected with physical education, and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by financial securities.
Second, the school sports club is a necessary polic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hich current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having. It is thought that it will have a great deal of effect on students. The school sports club will serve as a momentum boost that will revitalize more things, according to higher participation rates of the school sports club students. It isnecessary to publicize the effects widely to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hen it will rais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the necess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and its effects.
Third, it is thought that the school sports clubs have a lot of problems with settling down institutionally.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limitation of activity time, lack of understanding from parents of students, lack of support from the school's budget were pointed out as problems that deserve sympathy for al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t is thought that a lot of public informa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 school sports clubs and their effect on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r this should be given.
Forth, on the preferential basis, positive support for finances has to be accomp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school sports club. And it is thought that the expansion of various sports facilities has to be accomp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upport from an office of education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give effects to the first-line school from a part of an effect of education's budget. It is thought that the support of budget from a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nation also has to be accomplished by lifelong physical education commitment, and not from an office of education. The support for a budget like this has to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and it will be connec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to manage more various programs.
Author(s)
최수석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8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26
Alternative Author(s)
Choi, Soo Su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장한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학교스포츠클럽의 개념 = 4
2.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 = 8
3.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기능 = 9
4. 학교스포츠클럽의 문제점 = 22
Ⅲ. 연구방법 =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0
1.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실태 = 30
2. 학교스포츠클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34
3. 학교스포츠클럽의 효과에 대한 인식 = 38
4. 학교스포츠클럽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 50
5.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 54
Ⅴ. 요약 및 결론 = 58
참고문헌 = 66
부록 = 6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