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 대학생들의 TOEIC 독해에서의 학습저해 요인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the Interfering Factors i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TOEIC 독해에서의 학습저해 요인을 분석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갖고 있는 저해 요인들을 파악하고 주어진 설문 문항들을 통해 독해 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 능력별 독해 저해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사항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TOEIC 시험을 대비하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독해 저해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요인 분석을 통해 TOEIC 독해 저해 요인들은 8가지로 나뉘고 그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요인 1 ‘장르’ 에 속한 요인들은 회람내용, 도표파악, 송장구성과 기사문이 있다. 요인 2 ‘언어영역’에 해당되는 것은 문법지식, 장문해석, 지문의도, 그리고 자신감을 들 수 있다. 요인 3 ‘환경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좌석불편, 시작시간, 시간여백, 쉬는 시간, 응시료, 낙서금지 등으로 다른 요인들에 비해 많은 종류의 저해 요인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인 4 ‘경험여부’에 해당되는 것은 응시경험부족, 시간부족, 어휘능력, 이중본문 등이 있다. 요인 5 ‘심리적 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활자크기, 집중력, 부담감, 독해유형, 그리고 지문길이 등이 있다. 요인 6 ‘인지전략’에는 세부정보, 내용기억, 이해부족 등의 요인들이 나타났다. 요인 7 ‘어휘’에는 다의어, 관용표현, 그리고 무역용어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요인 8 ‘기타’ 1개의 문항에서 취업을 제외하고는 토익 시험의 필요성을 잘 모르겠다는 내용이 있다.
이 들 중에서, 요인 4 '경험여부'는 다른 요인들과 비교해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상 집단의 평균값(M=3.05)과 하 집단의 평균값(M=3.80)을 보이고 있다. 그 다음으로 요인 7 ‘어휘’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3.20)과 하 집단의 평균값(M=3.67)을 보이며, 요인 3 '환경'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3.52)과 하 집단의 평균값(M=3.53)을 나타낸다. 이어서, 요인 8 '기타'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3.40)과 하 집단의 평균값(M=3.44)이 뒤따르고 있다.
그리고 다른 요인들의 평균값을 보면, 요인 6 '인지전략'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2.98)과 하 집단의 평균값(M=3.42)을 나타내고, 요인 5 '심리적 요인'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2.81)과 하 집단의 평균값(M=3.16)을 볼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요인 2 '언어영역'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2.53)과 하 집단의 평균값(M=3.11)을 보이고, 마지막으로 요인 1 '장르'에서 상 집단의 평균값(M=2.64)과 하 집단의 평균값(M=2.83)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요인 4 '경험여부', 요인 7 '어휘', 요인 3 '환경'과 요인 8 '기타'순으로 강한 TOEIC 독해 저해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요인 6 '인지전략', 요인 5 '심리적 요인', 요인 2 '언어영역'과 요인 1 '장르'가 뒤따른다. 따라서 TOEIC 독해 저해 요인들 8가지 중에서 가장 높은 요인이 되는 것은 요인 4 '경험여부'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요인 1 '장르'이다.
둘째, 최고점수가 990점을 요구하는 TOEIC시험을 친 경험을 바탕으로 설문에 응한 학생들을 695점을 기준으로 상하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에 능력별 독해 저해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요인 1 ‘장르’의 검정통계량의 유의확률이 0.083이었고, 요인 3 ‘환경’의 유의확률이 0.955이었고, 요인 8 ‘기타’는 0.838로 유의수준 0.05보다 크다. 그러므로 요인 1 '장르', 요인 3 '환경'과, 요인 8 '기타'에 대해서는 상하집단 간에 TOEIC 독해 저해 요인 설문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요인 1 ‘장르’, 요인 3 ‘환경’, 그리고 요인 8 ‘기타’에서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따라 TOEIC 독해 저해 요인에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요인 2 ‘언어영역’, 요인 4 '경험여부', 요인 5 '심리적 요인', 요인 6 '인지전략', 요인 7 '어휘'의 각각 유의확률은 모두 0.000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다. 그러므로 요인 2, 4, 5, 6, 7에서 능력별 상하집단 사이에 TOEIC 독해 저해 요인 설문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TOEIC 독해 저해 요인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들 중에서, 요인 4 '경험여부'에서 상 집단의 평균(M=3.05)과 하 집단의 평균(M=3.80)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TOEIC 독해 저해 요인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요인 5 '심리적 요인'에서 상 집단의 평균(M=2.81)과 하 집단의 평균(M=3.16)을 보면,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TOEIC 독해 저해 요인에서 차이가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the interfering factors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r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OEIC. It will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factors in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a lower and a higher group.
For this purpose, some students were offered a chance to explain the problems they experienced while solving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through e-mail and in person. All their thoughts were collected and questionnaires were made with them. A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8 different factors collected through SPSS 10.1 with the questionnaires. The factors are understood through several varying criteria: language factors, environment factors, experience factors, mental factors, cognitive strategic factors, lexical factors and etc. With the 8 factors, 5 factors could influenc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a lower group, such as with their language factor, experience factor, mental factor, cognitive strategic factor, and lexical factor.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lower and a higher grou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 few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First, experience factors can be the most affectable among the ot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reading materials and practice tests to get used to a restricted environment. TOEIC test is given in a limited time.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deal reading materials with time allotment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lower and a higher group. teachers should consider beginners'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5 factors could influenc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a lower group, such as with their language factor, experience factor, mental factor, cognitive strategic factor, and lexical factor.
Actually, easy and various grammar should be offered for beginners to overcome reading materials Teachers should offer a balanced allotment of controlled, guided reading, considering learners' needs and actual conditions. Through various chances of reading, learners can read and develop comprehension in English, rather than interpreting only a few sentences and delivering their own thoughts, feelings and ideas without hesitation.
Author(s)
김은정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TOEIC 독해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49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30
Alternative Author(s)
Kim, Eun 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조윤경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과제 = 3
1.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2.1 L2 독해의 정의 = 5
2.2 독해 기술 및 전략 = 7
2.2.1 독해 기술 = 7
2.2.2 독해 전략 = 8
2.3 TOEIC 시험의 구성 = 12
2.4 독해 저해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 14
Ⅲ. 연구 방법 = 20
3.1 연구 참여자 = 20
3.2 연구 도구 = 23
3.3 자료 수집 절차 및 분석 = 24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 26
4.1 신뢰도 분석 = 26
4.2 TOEIC 독해 저해 요인 분석 결과 = 26
4.3 능숙도 수준에 따른 TOEIC 독해 저해 요인 = 32
Ⅴ. 결론 및 제언 = 37
5.1 결론 = 37
5.2 제언 = 39
참고문헌 = 42
부록 = 48
■ 설문조사 ■ = 4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