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 Components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hoon Track Influence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a Wind Profiler Radar
- Alternative Title
- 연직바람관측장비를 이용한 한반도 영향태풍 진로별 바람특성 분석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영향태풍; 서해를 지나가는 태풍 (TR1, MUIFA), 한반도 중심 통과 태풍 (TR2, KOMPASU), 그리고 남해를 지나가는 태풍 (TR3, DIANMU)을 대상으로 연직 바람관측에 유용한 지상기반 관측장비인 윈드프로파일러 (WPR)를 이용하여 태풍 진로에 따른 바람특성을 분석하였다.
보성 [BSWO (34.76° N, 127.21° E)] WPR를 이용한 U–V 시계열 분포에서, TR1과 TR2는 연속적 풍향 변화를 보이는 선형, TR3는 바람분포가 유사한 비선형 특성을 보였다. 선형 분포 태풍을 대상으로 이차 회귀 방정식을 산출하여 두 경로 유형의 수치적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시계열 U, V 변화량 분석을 통하여 태풍 경로 유형에 따른 바람특성 분류가 가능하였다. 또한, 태풍 중심과 관측지점 사이의 거리 (R), 방위각 (θ) 값을 이용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V 값을 추정할 수 있었다.
연직분포 분석은 시간 (T1–T4) 구간과 고도 (A1–A5) 구간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연직시어 (VWS)를 적용하여 고도 6.0 km 를 기준으로 상–하층의 바람분포 분리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주풍벡터의 방위각 (θ) 값을 이용한 Veering–Backing 분석을 통하여 1) A4–A5, 2) A1–A4 고도구간에 따라 상이한 풍향 변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uthor(s)
- 정민정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5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577
- Alternative Author(s)
- Min-Joung Jo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Ⅱ. Data and Method 7
2.1. Cases 7
2.2. Wind Profiler Radar 11
2.2.1. Boseong Wind Profiler Radar 11
2.2.2. Data Pre-processing 18
Ⅲ. Results 20
3.1. Time Series Analysis 20
3.1.1. U–V Scatter plot 20
3.1.2. Quadratic Regression Equation 23
3.1.3. Change Amount in U and V 27
3.1.4. Azimuth–Distance 37
3.2. Vertical Profile Analysis 48
3.2.1. Time–Height 48
3.2.2. U–V Scatter plot 52
3.2.3. VWS and Veering–Backing 59
Ⅳ. Summary and Conclusion 67
References 7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