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 이후 중국 정치엘리트 유형 변화요인에 대한 연구
- Abstract
- 개혁·개방 이후 더욱 복잡해진 시장경제 체제 속에서 중국의 정치개혁은 정치 엘리트의 선발과 충원을 제도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중국 시장경제가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 단계에 빠르게 편입됨에 따라 국가를 운영하는 전문화된 관료집단이 필요하고 전문지식을 갖추는 동시에 당과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으로 무장한 간부들의 행렬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 공산당 건설과 정부 행정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간부 인사제도 개혁이다. 덩샤오핑 시절부터 시진핑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도자들이 간부 인사제도에 대해 각기 다른 개혁정책을 제시한 것도 중국의 정치 엘리트들이 시기별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 데 일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간부제도 개혁과 그 과정을 통해 중국 당-정 정치체제 국가-사회조직노선의 주축인 간부들의 의미, 간부제도 개혁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개혁개방 이후 진행된 간부개혁의 주요 특징과 내용을 연구하고 간부인사제도 개혁과 중국 정치 엘리트의 두 차례 전환의 구체적 관계와 정치 엘리트의 전환 과정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 Author(s)
- HUANG HUICHAO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54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Advisor
- 이성봉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3
3. 선행 연구 검토 10
Ⅱ. 이론적 배경 15
1. 엘리트 변화요인에 관한 이론 15
2. 중국 정치엘리트 주요 유형 특징 22
Ⅲ.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정치엘리트 변화 26
1. 덩샤오핑 시기의 정치엘리트 유형: 혁명 관료의 쇠퇴와 기술 관료의 등장 27
2. 장쩌민 시기의 정치엘리트 유형: 기술 관료의 전성시대 39
3. 후진타오 시기의 정치엘리트 유형: 일반 관료의 등장 51
4. 시진핑 시기의 정치엘리트 유형: 일반 관료의 확대 61
Ⅳ. 중국 정치엘리트 유형 변화의 정치적 의미와 전망 72
1. 중국 정치엘리트 유형 변화의 정치적 의미 72
2. 중국 정치엘리트 유형 변화 전망 74
Ⅴ. 결론 76
참고 문헌 79
Abstract 8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