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와 신칸센
- Abstract
- 건국 이래 최대의 국책사업이라 불리는 고속철도가 2004년 4월 개통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프랑스, 일본, 독일, 스페인 등과 함께 시속 300km의 초고속철도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고속철도의 개통은 빠른 속도를 통한 시간단축으로 전국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시켜 국민들의 생활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빠르고, 안전하고, 편안하며, 친환경적이고, 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고속철도는 이제 차세대를 대표할 만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여기에 있어 규슈지역 최고의 지역, 교통, 문화, 관광산업의 역군으로 성장하고 있는 일본의 선진 고속열차인 신칸센, 쯔바메를 KTX와 비교 분석하여 향후 대한민국의 고속철도인 KTX가 지향해 가야할 바를 찾아보고자 본 작품은 제작되었다. 작품 제작에 있어 원활한 해외현지 로케이션 촬영과 보다 정확하고 사실적인 일본철도의 정보를 수급하기위해 연출자 추병헌은 일본여행전문가인 김종원씨의 안내를 받아 함께 출연하였고 직접 일본 큐슈지역의 철도를 탑승, 체험해보는 형식으로 여행을 하며 본 작품을 완성해가는 과정으로 설정을 잡았다. 촬영자는 곧 연출자가 동시에 맡아 전문가의 가이드를 통해 열차 구간을 확인하고 탑승하며 실제 촬영이 현장에서 이루어졌다. 촬영이 끝나고 열차 대기구간에서는 노트북을 이용하여 실시간 현장편집을 하는 형식으로 순서편집을 잡고 이후 촬영해야할 장면을 준비하였다.
작품의 주된 내용은 일본 큐슈지역의 철도를 대표하는 신칸센 쯔바메를 탑승하여 객차 내부와 외부의 시설, 편의성, 디자인 등을 알아보고 한국의 KTX와 비교를 해보는 것이었다. 그리고 신칸센 쯔바메와 연계되는 다양한 일본 큐슈지역의 열차들을 탑승해보고 열차를 이용하는 사람들, 주변 시설, 연계성, 편리성 등을 조사하여 일본 철도에게서 배울 수 있는 장점들을 살펴보았다. 신칸센이 연계되어 활성화되고 있는 큐슈지역의 전, 관광지들과 산업적 기반으로 성장해가고 있는 일본 철도의 현실을 조명하여 일본 철도가 과거와 현재를 통해 대중들과 함께하고 있는 지점을 확인했다. 그 이유는 향후 선진 철도를 이룩한 일본의 철도를 들여다봄으로 그들이 지향해가는 지점을 조명하여 한국의 철도 역시 차후, 철도의 발전을 위해 지향해 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가고시마 츄오역에서 신야스시로역으로 이어지는 일본 큐슈지역의 신칸센 구간은 한국의 고속철도 구간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점이 촬영대상 구간으로 적합한 이유가 되었다.
이 작품은 1인 디지털 제작방식을 통해 DVCAM 및 DV6mm 방식의 기존 디지털 제작기법을 토대로 촬영과 녹음, 편집을 1인이 담당하는 1인 제작방식을 활용하여 15분의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다. 촬영과정과 후반작업과정을 통해 촬영과 함께 현장에서 바로 이루어지는 현장편집의 기법은 작품제작에 있어 현장성, 효율성을 살리고 작품제작비의 절감과 후반작업의 용이함을 극대화하여 신속한 작품제작을 해외현지로케이션에서 이루어낼 수 있다. 단순히 디지털 영화제작 방식을 우선시 하는 것이 아닌 디지털 매체에 적합하고 영상이 가지는 정보전달의 역할에 있어 활용도가 뛰어난 제작방식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다큐멘터리를 제작함에 있어 1인 디지털영화 제작방식은 제작과정에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을 활용하여 극대화할 수 있다. 현장편집이 가능한 런리니어 편집기로 휴대가 편리한 노트북을 이용하였고 활용프로그램은 프리미어 6.0 과 아이무비 6.0을 사용하고 사운드 녹음과 믹싱은 사운드포지 6.0에서 활용을 하였다. 그리고 본 작품은 저예산 독립영화 제작방식을 통한 다큐멘터리 제작물을 완성시키기 위해 보다 효율적인 1인 디지털 제작방식의 과정을 거쳤다. 다큐멘터리 영화는 장르의 특성상 디지털 제작방식을 통해 제작과정의 저비용, 제작진행의 신속성, 제작기법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특히 KTX와 신칸센처럼 해외로케이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의 촬영에 있어 장점이 많다. 이렇듯 객관적인 사실의 전달과 정보의 취합을 거쳐 비디오 저널리즘을 실천하는 것에 1인 디지털 제작방식은 타 제작방식에 비해 유용한 방식이다.
This work is work that compare and analyzes Shinkansen that is rapid-transit railway of Japan with KTX that is Korean rapid-transit railway.
Wished to associate with Shinkansen that pierce Japan's Kyushu area and search various Japan's information of trains that is run.
Investigated advantage of Shinkansen of Japan specially among them.
Because the reason plays intention point that Korean railroad must develop forward. Composition of work is as following.
Production person who make work gets into and experiences railroad of Japan with specialist actually and made work.
And superintendence discusses method that Korean railroad serves to develop forward with specialist.
This work was made by 1 person manufacture method that a person takes charge all roles. Production person took charge photographing, edit, sound alone. Though photographing consisted in train that shake, camera hold and scene that film is much.
Manufacture format of work is digital 6mm, color. And completion quantity of work is 22 minutes and 50 seconds.
- Author(s)
- 추병헌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KTX 신칸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5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67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 Department
- 국제대학원 영상학과
- Advisor
- 한혜경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작품명 1
2. 제작의도 1
3. 1인 디지털제작 방식 3
II. 본론 7
1. 작품의 제작전략 7
2. 작품의 내용 및 제작형식 9
가. 작품의 내용 9
나. 작품의 제작형식 10
(1) 비디오저널리즘과 1인 디지털제작 방식 10
(2) 디지털 촬영과 현장편집 11
3. 작품의 주제 14
III. 결론 17
1. 1인 디지털영화 제작방식의 기술적 결과 17
2. 다큐멘터리 KTX와 신칸센의 주제적 결과 25
3. 제작후기 및 제언 28
Ⅳ. 별첨 34
1. 시놉시스 34
2. 시나리오 35
3. 작업일지 41
가. 기획과정 41
나. 촬영과정 42
다. 후반작업과정 43
4. 콘티대본 45
5. 제작일정표 53
6. 제작예산안 54
7. 참여스텝명단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정책대학원 > 영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