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가상의 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햅틱 시스템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Haptics, Virtual Environment, Force Feedback, Fuzzy,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Abstract
컴퓨터 화면 상에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구축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간의 감각적인 정보 조작(햅틱 렌더링)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현재 교육, 문화, 과학, 스포츠, 오락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햅틱 렌더링과 햅틱 인터페이스라는 말이 나오는데 먼저 햅틱 렌더링이라는 말은 “The process of computing and generating forces in response to user interactions with virtual objects”라는 말로 Haptic Interface에 가상의 물체와 물리적 장치사이에서 사실적인 힘(Realistic Force)를 느끼게 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계산적인 모든 과정이다. 그리고 햅틱 인터페이스는 넓은 의미로는 가상환경과 촉각적 Interaction을 하는 시스템 전체를 의미하며, 좁은 영역의 의미로 사람에게 촉감을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device)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햅틱 디바이스(Haptic Device)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상현실에서 위에 설명한 햅틱 렌더링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역감 요소를 추가하게 되면 뇌에 의해서 처리되는 정보가 증가하고, 이런 정보의 증가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오차와 특정 작업 시의 위험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상현실에서 인간의 감각 확장을 시청각에 제한하던 것을 역감의 분야까지 확대시키고자 필요한 알고리즘과 개념들을 정리하고 컴퓨터 화면상의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2자유도의 햅틱 조이스틱을 개발한다. 여기에서 가상현실은 C#과 Open GL을 사용하여 주행환경을 구축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햅틱 디바이스인 조이스틱으로 조종을 하고 위험상황 발생시 조이스틱에 반력을 가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과 알고리즘은 위험한 작업장이나 안전을 필요로 하는 조종 장치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Author(s)
박지영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Haptics Virtual Environment Force Feedback Fuzzy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58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698
Alternative Author(s)
Park, Ji-Yo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계공학부지능기계공학전공
Advisor
안두성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1. 1 연구 배경 = 1
1. 2 연구 목적 = 4
제 2 장 가상현실과 Haptic = 6
2. 1 가상 현실 = 6
2. 2 Haptic = 9
2. 2. 1 Haptic의 정의 = 9
2. 2. 2 Haptic Interface = 10
2. 2. 3 Haptic Rendering = 16
제 3 장 주행 시뮬레이션 = 20
3. 1 가상현실의 구성 = 20
3. 1. 1 윈도우 프로그램 = 20
3. 1. 2 그래픽 프로그램 = 21
3. 1. 3 가상환경 = 22
제 4 장 Haptic Device 개발 = 25
4. 1 디바이스의 구성 = 25
4. 2 디바이스의 구조 = 28
제 5 장 제어 알고리즘 = 29
5. 1 주행 알고리즘 = 29
5. 2 접촉 반력 모델링 = 30
5. 3 기존의 알고리즘 = 31
5. 4 반력 생성 = 32
5. 4. 1 병진 운동 방향의 반력 = 32
5. 4. 2 회전 운동 방향의 반력 = 34
5. 4. 3 DC모터의 제어 = 37
제 6 장 결론 = 40
참고문헌 = 43
부록 = 4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계공학부-지능기계공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