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교사의 교육신념과 학교조직풍토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Teachers’ Beliefs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on Teachers’ Job Stress
Abstract
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정신보건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인들의 질병의 50~70%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방향과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인 교사가 스트레스 원인을 극복하지 못하면 부정적 자아개념, 부정적 직무태도, 학생에 대한 무관심과 함께 심리적인 불안정, 육체적 탈진상태, 비인간화, 성취좌절 등의 현상을 발생시켜 심각한 교육력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많은데, 교육신념(Teachers' Belief), 자기존중심(Self-Esteem), 통제신념(Locus of Control), 사회적 문제해결,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의 내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학교조직풍토(School Climate)의 환경적 변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개인의 내적 변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심층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교육활동의 계획과 실행에서 일관성 있는 태도인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집단이나 학교장의 행동에 따른 학교조직풍토 요인을 중심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조직풍토에 대한 인식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교육신념과 학교조직풍토 인식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로 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내 초중등 22개 학교의 교사 367명이다.
측정도구는 교사의 교수-학습관, 학습자관, 교과관, 교직관 영역의 교사신념 측정도구(Beliefs Test Inventory), 교사집단의 친교적, 헌신적, 방관적 풍토와 교장의 인간지향적, 목표지향적, 관료지향적 행동 영역의 학교조직풍토 설문지(OCDQ-KOR), 관료적 운영, 권위상실, 불화와 갈등, 낮은 대우, 업무과다, 학급관리, 학생지도 영역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질문지로 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수행의 결과는, 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대한t-검증 결과, 교수-학습관은 p<.001 수준에서. 교육신념, 학습자관, 교과관, 교직관의 하위영역은 p<.01수준에서 직무스트레스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집단의 친교적, 헌신적 풍토와, 방관적 풍토에서 p<.01, p<.001 수준에서 직무스트레스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교장의 관료지향적 풍토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신념과 학교조직풍토의 변인간의 상관은 -.20이상의 연구 수행을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첫째, 교육신념이 강한 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동일한 업무를 부여받아도 교육신념이 강한 교사일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느껴 성공적인 교직 적응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조직풍토 인식은 교사의 친교적 풍토, 헌신적 풍토가 클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느끼고, 교사의 방관적 풍토와 교장의 관료지향적 풍토가 클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설명력은 교사의 교수-학습관에 대한 교육신념, 방관적 풍토, 인간지향적 풍토, 친교적 풍토의 학교조직풍토가 각각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토대로 본다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육신념 및 학교조직풍토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려면 교사의 교육신념을 증진시키고 학교조직풍토를 개방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교육신념, 학교조직풍토,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질적인 면접, 관찰, 사례 연구 등의 방법을 병행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자아존중감, 통제신념, 교수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 해결 등의 교사의 내적 변인과, 학교조직풍토와 사회적 지지 등의 환경적 변인과의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연구문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on teachers' job stres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teachers' job stress by the teachers' belief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teachers' job stress by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3. How much do teachers' beliefs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 teachers' job str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367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s teachers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Pusan.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12.0 version program through the t-test,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beliefs that are composed of 4 factors, view of teaching-learning, view of learner, view of subject-matter, and view of teaching profession,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eachers' job stress(p<.01).
Seco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lso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eachers' job stress(p<.01). When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is disengaged and bureaucrat-oriented, the teachers had highly perceived the job stress(p<.001).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school principa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of school society.
Third, the analysis shows that teachers' beliefs of teaching-learning account for the biggest 9.7% in teachers' job stress. Next, disengaged climate accounts for 4.2%, teacher-oriented climate for 4.1%, intimate climate for 2.2%. Therefore, 4 sub-factors including teachers' beliefs of teaching-learning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of disengagement, teacher-oriented and intimacy, affect teachers' job stress by 20.2%.
In conclusion, it means that both teachers' beliefs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re considered to have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teachers' job stress.
Author(s)
주혜란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교육신념 학교조직풍토 직무스트레스 교수-학습관 방관적 풍토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58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722
Alternative Author(s)
Joo, Hye-R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이경화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교사의 교육신념 = 7
2. 학교조직풍토 = 10
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 15
Ⅲ. 연구방법 = 22
1. 연구대상 = 22
2. 연구도구 = 23
3. 자료 분석 = 28
Ⅳ. 연구결과 = 29
1. 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스트레스 = 29
2. 학교조직풍토와 직무스트레스 = 32
3. 교육신념 및 학교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 36
Ⅴ. 논의 및 결론 = 39
1. 요약 및 논의 = 39
2.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5
부록 = 5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