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 of Ego-Resilience with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Sttachment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에 따른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와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와 상대적 설명력을 밝혀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중학생의 성에 따라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2.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1)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의 상관은 어떠한가?
2)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부모 및 또래애착의 상대적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3개교 학생 총 382명이었다.
검사지는 부모 및 또래애착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가 개발한 애착척도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의 개정본을 옥정(1998)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부모 및 또래애착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탄력성검사는 박은희(1996)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중학생의 성에 따라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검사 점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후, 성별에 따라 이들 집단의 구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 애착,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모 및 또래애착, 자아탄력성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부모 및 또래 애착을 투입변인으로 설정하여 자아탄력성 및 자아탄력성의 각 하위영역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에 따른 부모 애착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또래 애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자 중학생이 남자 중학생보다 또래애착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중학생들이 남자 중학생보다 친구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한편, 중학생의 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전체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에서 여자중학생이 남자 중학생보다 더 잘한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애착이 또래애착에 상관이 있으며 애착이 전 생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착 중에서 자아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또래애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에 따른 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에 부모애착보다 또래애착이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중학생들이 또래와의 애착수준을 높임으로써 적응의 성격특성인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학생의 또래 애착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래 애착을 신장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ego-resilience with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go-resilience,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x?
2. How does it have the relativ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were 382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located in Bus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Version 12.0 of SPSS WIN Program through the t-test, -test, Pearson's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er attachment according to gender. It was shown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peer attachment level than male studen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go-resiliency and in parent attach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s and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Third, ego-resilience is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is more powerful predictor of ego-resilience than parent attachment. It means peer attachment has more influence on ego-resilience than parent attachment.
That means we should pay attention to peer attachment that they experience at school to improve their abilities in ego-resilience.
And we should practice the program for increasing peer attachment.
Author(s)
오순옥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애착 자아탄력성 중학생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72
Alternative Author(s)
Oh, soon-o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이경화
Table Of Contents
Ⅰ.서론 =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연구문제 = 4
3.용어의 정의 = 5
Ⅱ.이론적 배경 = 7
1.자아탄력성 = 7
2.애착 = 12
3.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 19
Ⅲ.연구방법 = 23
1.연구대상 = 23
2.측정도구 = 24
3.자료 분석 = 28
Ⅳ.연구결과 및 해석 = 29
1.중학생의 성에 따른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29
2.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부모 및 또래애착의 설명력 = 35
Ⅴ.논의 및 결론 = 39
1.요약 = 39
2.논의 = 40
3.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