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과학관련 태도가 과학성취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Learning Style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Achievements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과학관련 태도에 따라 과학성취에 차이가 있는지, 그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라 과학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따라 과학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중학생의 과학성취에 대한 학습양식 및 과학관련 태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740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 검사와 과학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양식과 과학성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독립형의 학습양식을 가진 학생의 과학성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학 교과의 특성상 스스로 탐구하고 사고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양식이 가장 적합함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성취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과학적 태도가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발성, 호기심, 객관성, 끈기, 창의성 등의 태도를 기르는 것이 효율적인 과학성취의 향상을 가지고 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중학생의 과학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양식의 독립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 주도적인 독립셩 학습양식이 과학성취 향상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arches for what differs in the scientif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learning style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students, and what is the degree of relative influence.
Research problems of the study is following.
What differs in the scientif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learning sty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at differs in the scientif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science-related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at is the degree of relative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n the scientif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to be carried test of learning style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74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styl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 students who have independent learning styles are utmost high. This implies that a self-leading learning styles are most appropriate to scientific subjects.
Second, the relations between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 scientific attitudes are most decisive variables. This implies that to foster an attitudes of spontaneity, curiosity, objectivity, and creativity lead to the improvement of efficient scientific achievement.
Third, independent learning styles are most decisive variables in the scientif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implies that independent self-leading learning styles are most appropriate to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achievement.
Author(s)
구진영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학습양식 과학관련 태도 중학생 과학성취 Learning Styles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0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75
Alternative Author(s)
Koo, Jin-Yo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이경화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5
3. 용어의 정리 = 5
Ⅱ. 이론적 배경 = 8
1. 학습양식(learning style) = 8
2. 과학관련 태도 = 18
3. 과학성취 관련 요인 = 24
Ⅲ. 연구 방법 = 30
1. 연구대상 = 30
2. 연구 절차 = 30
3. 검사도구 = 32
4. 자료 분석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6
1.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과학성취의 차이 = 37
2. 중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따른 과학성취의 차이 = 39
3. 중학생의 과학성취에 대한 학습양식과 과학관련 태도의 영향력 = 41
Ⅴ. 논의 및 결론 = 45
1. 요약 = 45
2. 논의 = 46
3. 결론 및 제언 = 48
참고 문헌 = 50
부록 = 5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