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Structural evolution of the Kunsan Basin, southern Yellow Se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남황해 군산분지의 구조발달
Abstract
중앙 소분지와 남서 소분지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남황해 군산분지의 층서구조는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로부터 근거한 9개의 광역적인 부정합면으로 확인된다. 2DMove?潁? 이용한 단면 (깊이 변환자료)의 복원은 아직까지 이해가 부족한 군산분지의 구조발달 형태와 시기에 대한 중요한 제약요소를 제시한다. 군산분지는 주로 후기 백악기 이후의 북서-남동 방향의 확장과 분지의 남쪽경계를 따라 일어난 좌수향의 주향이동 그리고 부분적인 역전현상이 등에 의해 발달되었다. 중앙 소분지에서의 확장과 침강은 중기 에오세까지 계속되며 중기 에오세 말에 들어 점차 완화되기 시작한다. 남서 소분지는 중기 에오세까지 상대적으로 약한 침강을 보인다. 중앙 소분지 퇴적중심의 남쪽 부분과 남서 소분지에서는 압축 구조운동에 의해 국지적인 역전이 일어났다. 후기 올리고세에 들어, 중앙 소분지의 남쪽 경계를 이루는 거대한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 움직임에 의해 단층주변에서 역전현상이 일어났다. 남서 분지의 일부분도 전기 마이오세에 약하지만 빠른 역전현상을 겪었으며, 현재까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군산 분지는 중기 마이오세 이후 침강단계에 속해있다.
The stratigraphic framework of the Kunsan Basin, southern Yellow Sea, that includes the Central Subbasin and part of the SW Subbasin,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nine regional unconformities, identified and correlated from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Restoration of depth-converted, representative cross sections, using 2DMove, has provided important constraints on timing and style of structural evolution of the area, which had remained poorly understood. The evolution of the Kunsan Basin is characterized largely by NW-SE extension (> 25 km) since the Late Cretaceous, punctuated by left-lateral strike-slip movement along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basin and local inversion. Extension and subsidence in the Central Subbasin continued until the Middle Eocene and became subdued in the late Middle Eocene. The SW Subbasin experienced relatively mild subsidence until the Middle Eocene. Compressional tectonism in the Late Eocene caused local inversion in the SW Subbasin and southern part of the depocenter in the Central Subbasin. In the Late Oligocene, left-lateral strike-slip movement along the large boundary fault, bounding the southern margin of the Central Subbasin, led to inversion near the fault. Part of the SW Subbasin also experienced rapid inversion in the Early Miocene which, although very mild, appears to continue today. The Kunsan Basin has been in the subsidence phase since the Middle Miocene.
Author(s)
한상훈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southern Yellow Sea Kunsan Basin Inversion Cross Section Restoration 2DMove 남황해 군산분지 역전현상 측선 복원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172
Alternative Author(s)
Han, Sang ho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환경탐사공학과
Advisor
이광훈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 1
2. GEOLOGICAL SETTING = 2
3. DATA AND METHODS = 5
4.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9
4.1 Cronostratigraphy and Basement Depths = 9
4.2 Cross-Section Restoration = 12
5. STRUCTURAL EVOLUTION OF THE KUNSAN BASIN = 56
6. SUMMARY AND CONCLUSIONS = 59
References = 61
Acknowledgments =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환경탐사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