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동영상UCC 이용동기와 만족도 요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actor with the Use of UCC : Focusing to the University Student Users in Busan
Abstract
이용과 충족 접근은 미디어의 기능적 특성과 미디어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분석의 틀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능의 미디어 등장은 이용과 충족 접근의 시각에서 소비자들의 미디어 이용행위를 설명하려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관련 분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영상 UCC의 현황을 콘텐츠 수급과 서비스 측면을 공급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동영상 UCC의 해결해야 할 문제점과 과제는 무엇인지, 그 발전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UCC 이용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의 이용 실태 및 동기, 그리고 그러한 이용 동기에 미치는 행동적 요인과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동영상 UCC 사용동기는 ‘습관적 UCC 추구형’ ‘오락-휴식 UCC 추구형’ ‘정보 추구형 UCC 이용’ ‘관계-커뮤니티 추구형 UCC 이용’ ‘우연적 UCC 이용’ 등의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오락이나 정보추구와 같은 이용동기도 기존의 대부분의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도출된 동기들이다. 그러나 우연적 이용이나 습관적 이용동기는 다소 새로운 내용의 차원이라 볼 수 있다. 인터넷 검색이나 블로그 이용을 우연히 하지는 않지만 UCC의 경우에는 이 새로운 하나의 동기 차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UCC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평상시의 인터넷 혹은 UCC 이용습관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2개의 이용 행동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두 가지 이용행태는 ‘적극적 스타일의 인터넷-UCC 이용행태’ 와 ‘소극적 스타일의 이용행태’의 요인으로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한편 UCC 이용 만족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는 ‘재미-정보충족’ ‘시간-관리의 부담형’ ‘프라이버시 중시형’ ‘관계형 만족’ 등의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특히 ‘재미와 정보의 충족’ ‘관계-커뮤니티의 만족’ 요인은 기존 연구들에서도 발견된 요인들이다. 그러나 ‘시간 관리의 부담’과 ‘프라이버시 중시’ 요인은 다소 상이한 결과들이라 할 수 있다.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각 요인 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살펴본 결과 소극적 스타일의 행동 요인은 우연적 이용 동기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적극적 스타일의 행동 요인이 습관적 이용동기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매우 합리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 동기와 충족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오락 휴식형 이용동기와 재미-정보 충족 만족요인간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적극적 스타일의 행동요인은 정보추구 이용동기 요인 및 재미-정보충족 만족요인과, 습관적 이용형은 시간-관리의 부담형 만족 요인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Author(s)
강기정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UCC 만족도 이용동기
Publisher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4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258
Alternative Author(s)
Kang, Ki-je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Department
국제대학원 영상학과
Advisor
오창호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문제 = 5
제2장 이론적 배경 = 6
제1절 UCC 관련 연구 동향 = 6
1. UCC의 개념과 특징 = 6
2. 동영상 UCC의 등장 배경과 원인 = 13
3. 동영상 UCC 동향 = 19
4. UCC 미디어 연구 동향 = 29
제2절 뉴미디어 관련 이용과 충족 연구 = 32
1. 이용과 충족 연구의 개관 및 주요 개념 = 34
2. 이용과 충족 연구의 주요 연구 분야 = 39
3. 뉴미디어 관련 이용과 충족 연구 = 40
제3장 연구방법 = 44
1. 자료수집 = 44
2. 응답자 분포 = 44
3. 변인의 측정 = 46
제4장 연구결과 = 49
제1절 미디어 이용 및 UCC이용 관련 주요 결과 = 49
1. 미디어 이용 실태 = 49
2. UCC이용 실태 = 53
제2절 이용동기 및 충족에 대한 요인분석 = 56
1. UCC의 이용동기에 대한 요인분석(연구문제1) = 56
2. UCC 이용의 행동적 요인 분석(연구문제2) = 60
3. UCC 이용의 만족 요인 분석(연구문제3) = 63
4.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연구문제2, 3) = 66
제5장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0
국내문헌 = 70
외국문헌 = 75
부록1 = 79
부록2 = 8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정책대학원 > 영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