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남향 판상형 아파트 주개구부 향(向) 관련 입주민의 만족도 조사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Opening Orientation in Non-South Oriented Flat-type Apartments
- Abstract
- 본 연구는 비남향 판상형 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주개구부 향 결정과 관련 외부 환경요인의 만족도와 우선순위 및 주개구부의 향 변경의사를 설문 조사하여 설계 전문가 등 건축 관계자의 판상형 비남형 아파트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부산에 소재하는 비남향 판상형 아파트 중에서 ㅡ자형,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배치유형으로 한정하여 이중 11개 단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개구부 향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외부 환경요인들 중에서 일조, 조망, 소음, 프라이버시의 4가지 요인들을 대상으로 한정 하였으며, 설문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성별, 연령별, 실제 거주기간별, 실제 거주층수, 단지유형 및 실제 거주 향 별로 각각 구분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는 2007년 4월 5일에서 5월 12일까지로서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48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답변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여 총 326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들 비남향 아파트 입주민들의 아파트생활 만족도, 환경 요인별 우선순위,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등을 설문조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조, 조망, 소음, 프라이버시 등 여러 요인들을 함께 고려할 경우 아파트(안방 및 거실)의 만족도는 아주 만족(11.0%), 조금 만족(23.3%)을 합쳐서 만족의 비율이 34.4%이며, 조금 불만(23.6%) 아주 불만(4.3%)을 합쳐서 불만의 비율이 27.9%로 나타나는 등 불만족보다 만족의 비율이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 종속변인 ‘일조’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p < 0.05 수준)를 보이는 독립변인으로서의 내용들은 연령, 거주층수, 단지유형, 거주 향이며, ‘조망’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p < 0.05 수준)를 보이는 내용들은 연령, 단지유형, 거주 향이며, ‘소음’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p < 0.05 수준)를 보이는 내용은 단지유형이며, ‘프라이버시’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p < 0.05 수준)를 보이는 내용들은 단지유형, 거주 향이다. 이를 종합하면 거주층수, 단지유형, 거주 향은 아파트 주개구부 향과 관련하여 입주민의 의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들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비남향 아파트 입주민들이 생각하는 일조, 조망, 소음, 프라이버시 등 4가지 외부 환경요인들의 우선순위는 일조 > 조망 > 프라이버시 > 소음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설계 전문가의 의식조사 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순위로서 설계 전문가의 향 결정을 위한 기초적 판단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또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남성은 프라이버시 > 조망의 순위를 보인 반면 여성은 조망 > 프라이버시의 순위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또 연령별로는 60대 시상의 노인층에서는 일조 선택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40대~50대 연령층에서는 조망 선택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셋째, 현재의 비남향 아파트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환경적 여건들을 고려해 볼 때 지금의 향이 아닌 반대편 향으로 주개구부를 바꿀 의사가 있는 입주민이 상당비율(42.0%) 존재한다는 설문결과에 설계 전문가들이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령별로 20대~30대의 젊은 층에서, 단지 배치유형별로는 ‘ㅁ자형 배치’에서, 실제 거주 향별로는 ‘북동향~동향’ 구간의 입주민들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넷째, 지금과 같은 아파트에서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에 따라 비남형 아파트의 주개구부 향을 달리 계획하는 설계안에 대하여서도 입주민들은 ‘입주 의사가 있다’라는 적극성을 보이는 비율이 46.0%로 ‘입주 의사가 없다’의 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노인층에서 그 비율이 가장 낮고(33.3%), 저층(5층 이하) 거주민이 타 층 거주민들 보다 비율이 높으며(54.4%), 거주 향이 ‘북서향~서향’ 거주민이 ‘입주 의사가 있다’ 비율이 가장 높게(70.0%) 나타났다.
다섯째, 이들 설문 결과들을 통해 얻은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현재의 판상형 비남향 아파트에서 주개구부 향 결정이 설계 전문가에 의해 잘못된 판단에 근거한 결과이었거나 또는 개별 아파트의 환경적 특성들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주개구부 향을 만든 설계에 대한 입주민의 불만족을 엿볼 수 있는 결과로 사료된다. 향후 판상형 아파트 주개구부 향 결정과 관련하여 설계전문가의 새로운 발상전환이 요구되며, 이에 본 연구결과는 그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rgeted for residents in Non-South Oriented Flat-Type Apartment which analyses a degree of satisfaction of exterior HABITAT factors and its priority order which constructors of Non-South Oriented Flat-Type Apartment are able to apply it as a basement information for their construction.
Under the condition of ㅡ, ㄱ, ㄷ, ㅁ arranged 11 Non-South Oriented Flat-Type Apartment in Busan a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4 factors such as solar radiations, view, noise , privacy that can influence the decision of replacing a gate way.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classified by sex, age, living period, living floor, complex type and direction of the living place.
Survey sheets were handed out 600 pages in total from 5th of April in year 2007 until 12th of may and 348 were handed in. Except for those uncorrectly answered sheets, 22 pages, 326 sheets were mainly analysed. This investigation was done by the use of statistic program SPSS.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sidents' degree of satisfaction, priority order of exterior factors and a opinion on the replacement of a gate way are shown below.
Concerning the factors of solar radiations, view, noise, privacy etc, a degree of satisfaction were observed as 11.0% of high satisfaction and low satisfaction of 23.3%. Satisfaction rate was 34.4% in total. Low dissatisfaction(23.6%) and high dissatisfaction(4.3%) were combined and indicated 27.9% of dissatisfaction level in total.
Therefore there were higher rate of satisfaction compared to dissatisfaction.
Specifically, a degree of satisfaction of invariable independent solar radiations that reveals a prominent difference(p < 0.05 level) is age, living floor, complex type and direction of their living place whereas degree of satisfaction of view that reveals a prominent difference(p < 0.05 level) contents is age, complex type and direction of the place. A degree of satisfaction of 'noise' that shows a prominent difference(p < 0.05 level) content is complex type and a degree of satisfaction of 'privacy' which also shows a prominent difference(p < 0.05 level) content is complex type and living direction.
Summing these all up, we are left with the conclusion that those 3 factors(living floor, complex type and direction of place) influence the residents in their thoughts.
Second of all, those residents living in Non-South Apartment, the priority order of exterior HABITAT factors were appeared to be solar radiations> view> privacy> noise.
Same result have come through by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ors' perspectives and therefore this survey took a major role in deciding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gender where man preferred privacy than view while woman preferred view than privacy. And also people in age over 60 choosing solar radiations were relatively high whereas age between 40~50 choosing view were relatively high.
Third of all, considering the living experiences in Non-South Oriented Apartment and many other exterior factors, constructors should carefully concern about resident‘s thoughts whether they are willing to replace the present existing direction to opposed direction or not as 42.0% of residents are appeared to be agreeing of changing apartment gate way analysed by the survey.
Forth, the survey about planning to replace the direction of gate way depending on low, middle and high building has also revealed a high rate of agreement by residents(46.0%) but a low rate of disagreement(25.2%). Age over 60 had the lowest rate of 33.3% out of all age classifications and low floor residents(below 5th) had relatively higher rate(54.4%) than the other residents . North ,west direction residents had the highest rate of agreeing the replacement of direction.
Lastly, by summing all these results from the survey operated, It shows a dissatisfaction of residents living in Non-South Oriented Flat-Type Apartment which also indicates the constructer wrong decision of a gate way by not considering the variable exterior factors and lead to a replacement of gate way. Different perspectives of gate way Flat-Type Apartment are required from constructors and this survey result seems to be significantly efficient.
- Author(s)
- 조태호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비남향 아파트 공동주택 조망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4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292
- Alternative Author(s)
- Jo, Tae-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건축학과
- Advisor
- 신용재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2. 이론적 고찰 = 3
2.1. 주택의 열린 향과 비남향 아파트 = 3
2.1.1 주택의 열린 향 = 3
2.1.2 비남향 아파트 = 4
2.1.3 비남향 아파트 방위와 구간 구분 = 5
2.1.4 비남향 아파트 주동배치의 유형화 = 6
2.2 공동주택에서 향 결정 관련 환경적 요인들의 선정 = 8
2.2.1 선정배경 = 8
2.2.2 일조(향) = 10
2.2.3 조망(개방감) = 11
2.2.4 소음 = 13
2.2.5 프라이버시 = 14
3. 외부 환경요인별 입주민의 만족도 조사 = 16
3.1 조사 개요 = 16
3.1.1 조사대상 아파트 현황 = 16
3.1.2 조사 대상자 = 17
3.2 현재 거주아파트의 만족도 = 19
3.3 환경요인 및 조사대상 특성과의 교차분석에 의한 유의성 검토 = 21
3.4 일조 만족도 분석 = 22
3.4.1 일조 만족도 : 전체 = 22
3.4.2 일조 만족도 : 연령별 = 23
3.4.3 일조 만족도 : 거주기간별 = 24
3.4.4 일조 만족도 : 거주층수별 = 25
3.4.5 일조 만족도 : 단지유형별 = 26
3.4.6 일조 만족도 : 실제 거주 향별 = 27
3.5 조망 만족도 분석 = 30
3.5.1 조망 만족도 : 전체 = 30
3.5.2 조망 만족도 : 연령별 = 31
3.5.3 조망 만족도 : 거주층수별 = 32
3.5.4 조망 만족도 : 단지유형별 = 33
3.5.5 조망 만족도 : 실제 거주 향별 = 35
3.6 소음 만족도 분석 = 38
3.6.1 소음 만족도 : 전체 = 38
3.6.2 소음 만족도 : 단지 유형별 = 39
3.7 프라이버시 만족도 분석 = 41
3.7.1 프라이버시 만족도 : 전체 = 41
3.7.2 프라이버시 만족도 : 단지 유형별 = 42
3.7.3 프라이버시 만족도 : 실제 거주 향별 = 43
4. 외부 환경요인 우선순위 및 주개구부 향 변경 = 45
4.1 외부 환경요인의 우선순위 조사 = 45
4.2 주개구부 향 변경 의사여부 조사 = 48
4.2.1 주개구부 향 변경의지와 조사대상 특성과의 유의성 검토 = 48
4.2.2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전체 = 49
4.2.3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연령별 = 51
4.2.4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거주기간별 = 52
4.2.5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단지유형별 = 53
4.2.6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실제 거주 향별 = 54
4.3 층수별 주개구부 향 변경시 입주의사 여부 = 56
4.3.1 주개구부 향 변경시 입주의사 : 전체 = 56
4.3.2 주개구부 향 변경시 입주의사 : 연령별 = 58
4.3.3 주개구부 향 변경시 입주의사 : 거주층수별 = 59
4.3.4 주개구부 향 변경시 입주의사 : 실제 거주 향별 = 60
5. 종합검토 및 결론 = 62
5.1 종합검토 = 62
5.1.1 만족도 조사 결과 종합 = 63
5.1.2 외부 환경요인의 우선순위 = 65
5.1.3 주개구부 향 변경의사 = 65
5.1.4 층수별 주개구부 향 변경 시 입주의사 = 66
5.2 결론 = 67
참고문헌 = 69
Abstract 71
부록 =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건축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