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영역별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Brain Preference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Field They Are Gifted in
Abstract
본 연구는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의 뇌선호 경향, 영재중학생의 영역별(수학·과학영재, 정보영재, 언어영재, 예술영재) 뇌선호 경향, 학년별 뇌선호 경향, 그리고 남녀별 뇌선호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 간에 뇌선호 경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영재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남녀별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운영하는 과학영재교육원, 정보영재교육원, 언어영재교육원, 예술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수학·과학영재 137명, 정보영재 59명, 언어영재 55명, 예술영재 26명 총 277명과 무선 표집한 일반중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뇌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 간에 뇌선호 경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영재중학생들은 통합뇌를 가장 선호하고 다음은 우뇌선호, 좌뇌선호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중학생은 우뇌를 가장 선호하고, 통합뇌선호, 좌뇌선호 순으로 나타났다. 영재 영역별로 일반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교차 분석한 결과, 수학·과학영재와 일반중학생, 정보영재와 일반중학생, 예술영재와 일반중학생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영재와 일반중학생은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언어영재가 일반중학생에 비해 통합뇌선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재중학생의 영재 영역별로 뇌선호 경향을 분석한 결과, 좌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수학·과학영재, 우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예술영재, 통합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언어영재로 나타났다. 정보영재는 우뇌선호와 통합뇌선호가 대동소이하였다.
셋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1학년과 3학년 모두 통합뇌, 우뇌, 좌뇌순이었으나, 좌뇌와 통합뇌에서는 3학년이, 우뇌에서는 1학년이 높아 1학년의 우뇌선호가 3학년으로 갈수록 좌뇌선호와 통합뇌선호로 변화했다. 학년별로 뇌선호 경향이 가장 많이 변화한 집단은 정보영재와 언어영재로, 정보영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뇌선호가 높아진 반면, 언어영재는 우뇌선호가 줄고, 좌뇌선호 및 통합뇌선호가 높아졌다. 예술영재는 대상자 수에 차이가 커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넷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높았으나, 우뇌선호와 좌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영재를 영역별로 나누어 보면, 수학·과학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좌뇌선호와 우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정보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와 좌뇌선호에는 남학생이, 우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높았다. 언어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우뇌, 좌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예술영재의 경우 남녀 간 대상자 수에 차이가 있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영재의 뇌 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뇌기능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 영역별 영재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 또한 구안·적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뇌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 여러 종류의 뇌선호도 측정도구가 나와 있으므로 이들 측정도구가 뇌선호도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측정도구 자체에 대한 검증이 후속연구로 이루어진다면 뇌선호 경향을 고려한 뇌기반학습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본 연구는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의 뇌선호 경향, 영재중학생의 영역별(수학·과학영재, 정보영재, 언어영재, 예술영재) 뇌선호 경향, 학년별 뇌선호 경향, 그리고 남녀별 뇌선호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 간에 뇌선호 경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영재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은 남녀별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운영하는 과학영재교육원, 정보영재교육원, 언어영재교육원, 예술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수학·과학영재 137명, 정보영재 59명, 언어영재 55명, 예술영재 26명 총 277명과 무선 표집한 일반중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뇌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 간에 뇌선호 경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영재중학생들은 통합뇌를 가장 선호하고 다음은 우뇌선호, 좌뇌선호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중학생은 우뇌를 가장 선호하고, 통합뇌선호, 좌뇌선호 순으로 나타났다. 영재 영역별로 일반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교차 분석한 결과, 수학·과학영재와 일반중학생, 정보영재와 일반중학생, 예술영재와 일반중학생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영재와 일반중학생은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언어영재가 일반중학생에 비해 통합뇌선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재중학생의 영재 영역별로 뇌선호 경향을 분석한 결과, 좌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수학·과학영재, 우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예술영재, 통합뇌선호가 가장 높은 집단은 언어영재로 나타났다. 정보영재는 우뇌선호와 통합뇌선호가 대동소이하였다.
셋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1학년과 3학년 모두 통합뇌, 우뇌, 좌뇌순이었으나, 좌뇌와 통합뇌에서는 3학년이, 우뇌에서는 1학년이 높아 1학년의 우뇌선호가 3학년으로 갈수록 좌뇌선호와 통합뇌선호로 변화했다. 학년별로 뇌선호 경향이 가장 많이 변화한 집단은 정보영재와 언어영재로, 정보영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뇌선호가 높아진 반면, 언어영재는 우뇌선호가 줄고, 좌뇌선호 및 통합뇌선호가 높아졌다. 예술영재는 대상자 수에 차이가 커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넷째, 영재중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높았으나, 우뇌선호와 좌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영재를 영역별로 나누어 보면, 수학·과학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좌뇌선호와 우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정보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와 좌뇌선호에는 남학생이, 우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높았다. 언어영재의 경우, 통합뇌선호에서는 여학생이, 우뇌, 좌뇌선호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예술영재의 경우 남녀 간 대상자 수에 차이가 있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영재의 뇌 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뇌기능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 영역별 영재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학생의 뇌선호 경향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 또한 구안·적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뇌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 여러 종류의 뇌선호도 측정도구가 나와 있으므로 이들 측정도구가 뇌선호도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측정도구 자체에 대한 검증이 후속연구로 이루어진다면 뇌선호 경향을 고려한 뇌기반학습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rain preference of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of the gifted students by their field, grade and gender is another purpose. To conduct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among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 field they excel in. The field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math and science, languages, computer and art.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among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grade?
Fourth, is there a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among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gen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 brain preference indicator test was given to the 277 gifted students who took special courses provid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ame test was given to randomly chosen 184 average students as well. Of the 277 gifted students, 137 were gifted in math and science, 59 in computer, 55 in languages, and 26 in art.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each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showed that in the gifted group, whole brain was most preferred and was followed by right brain preference and left brain dominance, On the other hand, among average students, right brained type was the largest in number and it was followed by whole brained type and left brained type. The result of cross analysis of difference in brain preference between average students and those who are gifted in each special field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verage students and gifted ones in math and science. The same result was shown between average students and those who were gifted in art and computer. However,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and average students. Gifted students were more whole brained compared to average student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their gifted field showed that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 were mostly left brained while those who were gifted in art were mostly right brained. Whole brain preference was dominant amo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hole brain dominance and right brain dominance were almost the same in number among gifted students in computer.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their grade showed that the first graders and third graders showed the same brain preference-that is the order of whole brain, right brain, and left brain preference. But relatively speaking, third graders were more left and whole brained while first graders were more right brained, which meant that right brain preference changed into left and whole brained as they went on to the higher grade. The language group and computer group showed the most changes according to their grade. The computer group students became more right brained as they went on to the higher grade. On the contrary, the language group students changed into more left and whole brained. In this group, there were less right brained students as they went on to the higher grade. The art group was excluded from this analysis since the difference in numbers of the students in each grade was too big to conclude a meaningful result.
Four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their gender was that girls showed whole brain preference while boys showed left and right brain dominance. In the math and science group, girls showed whole brain dominance while boys showed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In the computer group, whole brain and left brain dominance were apparent among boys while right brain preference was dominant among girls. In the language group, girls showed whole brain dominance while boys showed right and left brain preference. The art group was excluded from this analysis since the numbers of the girls and boys were too different to conclude a meaningful result.
Author(s)
심순미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뇌선호도 영역별 영재 좌뇌선호 통합뇌선호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343
Alternative Author(s)
Shim, Soon M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황희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영재의 정의 및 특성 = 7
2. 영역별 영재교육 현황 = 21
3. 뇌 기능의 특성 = 24
Ⅲ. 연구 방법 = 39
1. 연구 대상 = 39
2. 측정 도구 = 40
3. 연구 절차 = 41
Ⅳ. 연구 결과 = 43
Ⅴ. 논의 및 결론 = 59
1. 요약 = 59
2. 논의 = 61
3. 결론 = 66
참고 문헌 = 69
설문지 = 7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